• 제목/요약/키워드: Lotus roo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초

냉장 중 연근 및 연잎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 of Pork Patty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Powd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경숙;박현숙;최영준;문윤희;이경수;김민주;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32-1739
    • /
    • 2011
  • 본 연구는 연근 및 연잎분말의 첨가가 돈육 패티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돈육 패티는 돈육 88%, 대두유 5%, 냉수 5%, 소금 2%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연잎분말 0.5% 첨가한 것(T1), 연근분말 0.25% 및 연잎분말 0.25% 첨가한 것(T2), 그리고 연잎분말 0.5% 첨가한 것(T3) 등 네 종류의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이들은 저장 중 색깔, 보수력, 가열감량, 두께 증가율, 직경 감소율, 기계적 조직감, pH, VBN 함량 및 TBARS값을 측정하였다. 저장 중 $a^*$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T3의 $L^*$$a^*$값이 가장 낮았으며, $b^*$값은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보수력은 저장 중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시료들 사이에 보수력, 가열감량, 두께 증가율 및 직경 감소율의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경도 및 저작성은 증가하였으며, 탄성은 감소하였다(p<0.05). pH는 저장 중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5). VBN 함량은 저장 중 변화가 없었으며, 시료들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값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9일째 T0, T1, T2 및 T3가 각각 4.57, 1.85, 0.43 및 0.41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 연근과 연잎분말을 병행 하거나 연잎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기능성 육제품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치자와 복분자분말을 첨가한 연근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Tea added with Gardenia jasminoides Powder and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 조수진;이지은;노정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7-604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tea (LT) prepared with Gardenia jasminoides powder (GLT) and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RLT). The proximate compositions,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s of samples were measured. GLT sample showed higher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moisture (p<0.001) as well as pH (p<0.001) compared to LT and RLT. In terms of colo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GLT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whereas redness (a) of GLT was the lowest. The results of mineral analysis showed that the mineral contents of K, Ca, and Fe of LT were the highest, whereas the content of Mg of GLT was the highest. The results of browning color intensity of all samples showed that LT had the lowest. GLT showed higher contents of water soluble solids than LT and RLT.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color, flavor, aftertaste, feeling of throat, and overall preference of LT and GL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RLT.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addition of Gardenia jasminoides powder was effective for preparation of lotus root tea in the aspects of consumer acceptability.

파스 접촉 알레르기 치료 중 연근 복용 후 악화된 중등도 알레르기 피부 1례 (A Case of Contact Dermatitis by Pain Relieving Patch Deteriorated after Taking Lotus Root)

  • 임경민;최정화;박수연;김종한;김선종;신정철;정민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6-134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 is good for deteriorated moderate allergic skin after taking lotus root while getting treatment for contact dermatitis by pain relieving patch.Methods : A 54-year-old woman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received treatment with acupuncture, herbal medicine, etc. We used observation and Visual Anologue Scale(VAS) to evaluate recovery from erythema, pruritus and skin damages.Results : A visible symptoms to the naked eye and VAS scale were effectively decrease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s.Conclusions : Korean medical treatments were effective fo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eteriorated by lotus root while getting treatment contact dermatitis by pain relieving patch.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ive Activity of Lotus Root(Nelumbo nucifera G.) Extracts.)

  • 이재준;하진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37-12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근 추출물을 제조하여 in vitro 에서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BHT와의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각 분획별 항산화력 활성을 검토하였다. 연근 분획물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 Rancimat에 의한 항산화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등을 측정하였고, 총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9.14% 이었고,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계통 분획한 수율은 n-butano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water, eth-ylacetate, chloroform, n-hexane 순이었다.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0.306 mg/ml이었고, 각 분획물 중 ethylacetate 분획물이 0.843 mg/ml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15.69 ${\mu}g/ ml$로 가장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 BHT의 15.38 ${\mu}g$/ml 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ncimat의 지질 산패도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길었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유도기간에 비하여 짧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pH 1.2에서 ethylacetate 분획물이 88.33%로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87.23%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근 ethylacetate 분획물은 BHT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연근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연근정과의 재료 및 조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gredients Preparation Method of Lotus Root Jung Kwa)

  • 조신호;강유경;이효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2-50
    • /
    • 1984
  • 설탕이나 꿀에졸인 한국의 전통적인 한과류의 하나인 정과를 1600년대 부터 현재 까지 소개된 조리책을 중심으로 정과의 변천과정을 정리하고 아울러 연근정과를 주제로 연근의 삶는 방법과 물, 설탕, 꿀의 배합비, 졸임시간의 변화가 연근정과의 모양, 맛, 질감, 색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관능검사와 기계적 방법으로 알아내어 가장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알아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리책에 소개된 정과의 종류는 34종류이며 그 중 연근정과가 가장 많이 소개되었다. (2) 처음에는 정과를 졸일 때. 꿀을 사용했으나 1843년에 출판된 음식법(飮食法)에서 처음으로 설탕을 사용해서 졸인 감자정과가 소개되었다. (3) 연근을 7 mm 두께로 썰어 물 150 ml, 연근 100 g, 식초 4 ml를 넣고 12분간 삶는다. 이 때의 hardness는 5.86 mm였다. (4) 모양, 맛, 진감, 적에 가강 좋은 영향을 주는 물의 량은 200 ml 였고 이 때의 hardness는 3.3 mm 였다. (5) 모양, 맛, 질감, 색에 가장 종은 영향을 주는 설탕의 양은 30 I이었고 이때의 hardness는 3.8mm 이었다. (6) 모양, 맛, 질감, 색에 가장 좋은 영향을 주는 꿀의 앙은 40 g 이었고 이 때의 hardness는 4.9 mm 였다. (7) 가장 좋은 졸임시간은 삶은 연근 100 g에 물 200 ml, 설탕 30 g을 넣고 30분간 졸이다가 꿀 40 g을 넣어 12분간 졸인다. 이 때의 hardness는 4.9 mm 였다. (8) 연근정과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연근 100 g, 물 200 ml, 설탕 30 g꿀 40 g으로 총 42분간 졸이는 것이다.

  • PDF

연(蓮) 잎과 뿌리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 정창호;손기봉;김진희;강선경;박은영;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8
    • /
    • 2010
  •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백련(白蓮)과 홍련(紅蓮)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and Pink-flowered Lotus in Different Parts)

  • 허남칠;최경철;안양준;양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19
    • /
    • 2007
  • 전남도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무안의 백련과 나주의 홍련을 대상으로 부위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품종별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두 품종 모두 무기영양성분 중 세포 내 액의 산${\cdot}$알칼리평형에 가장 중요한 mineral인 potassium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sodium, calcium, magnesium이 주요 무기영양성분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뿌리에서의 철분 함유량이 무안의 백련에서 14.70mg%, 나주 홍련에서 9.26mg%로 다른 농산물에 비해 높게 나타나 철 결핍성 빈혈환자나 임신, 출산 등으로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될 수 있는 여성에게 연근이 좋은 영양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당 함유량은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뿌리의 경우 sucrose가 월등히 많은 반면 잎의 경우는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종자의 경우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자의 경우 oligosaccharide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구성아미노산 함유량 또한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종자와 잎에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연근의 경우 간 기능 회복과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aspartic acid가 월등히 높은 함유량을 보여 각각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원료로서 연근과 더덕의 절임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otus and Lance Asia bell as Ingredients of Kimchi)

  • 조정은;유가영;이미애;정영배;양지희;한응수;서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144-1150
    • /
    • 2012
  • 본 연구는 김치원료의 다양화를 위해 기존의 김치 주원료인 배추를 대체할 수 있는 근채류를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연근과 더덕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절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근과 더덕의 김치원료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도, pH, 산도, 환원당, 경도, 색도, 수분, 일반세균, 젖산균을 측정하였다. 절임시간에 따라 더덕의 수분함량 감소가 연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경도의 변화 역시 더덕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근과 더덕의 초기 pH는 각각 5.7과 6.3이었으며, 절임기간이 늘어날수록 pH는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다. 김치는 발효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발효성 당류가 유기산 등 다른 물질로 전환되므로 발효를 위해서는 환원당이 필수요소로 더덕의 경우는 환원당이 25~39 mg/g의 범위로 나타났으나, 연근의 경우는 환원당이 1.1~2.5 mg/g의 범위로 나타나 환원당이 거의 없어 김치의 주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특성도 연근의 경우 김치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젖산균의 증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아 김치의 주원료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나, 더덕의 경우는 절임 48시간 후 젖산균수가 $2.1{\times}10^4CFU/mL$로 나타나 김치 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3T3-L1 전지방세포에서 연잎-연근 혼합 발효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이신지;;이수진;정지은;구병수;김동일;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4-83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rmented lotus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Extracts of lotus leaf and lotus root were fermented using 4 different probiotics separately,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xamined by Oil red O dye staining. Expressions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were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Fermented lotus extracts inhibited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by inhibiting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All of the groups fermented by 4 kinds of probiotics showed reduction in Oil Red O dye staining. Bifidobacterium breve showed the most effective inhibition of C/$EBP{\alpha}$.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showed the best downregulation of $PPAR{\gamma}$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unfermented lotus group. Conclusions: Fermented lotus extrac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showing correlation with insulin sensitivity and lipid metabolism related with obesity.

The Effect of Vinegar Ferment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Lotus Flower Fermented Product

  • Nam, Mikyung;Chrysta, Maynanda Brigita;Lee, Eunsuk;Choi, Won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1-69
    • /
    • 2019
  • All the parts of lotus, including the seed, rhizome, leaf, stalk, petal, anther, pericarp, and fruit receptacl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 as a health beneficial supplement. However the most usually used from lotus plant is only the root.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be discussed more the utilization of other parts of the lotus, namely the flower of lotus. The petals and stamens of lotus actually are also rich in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flavonoids and alkaloid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tissue inflammation, cancer, skin disease, and also for us as antidotes. One of the biotechnological proces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content, sensory, and also antioxidant activities is fermentation process. The final product desired from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is vinegar. The microbial strain powder used is Uinkin fermented powder with three variations of fermentation. The variations given in this study were initial sugar 32%, 24%, and 14% with the same fermentation temperature, $35^{\circ}C$ for 3 month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pH value and sugar content of product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ere decreasing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83.7{\pm}97.6mg/100g\;QA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3.3{\pm}0.0mg/100g\;QAE$.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ation product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ORAC activity of the product showed a high activity of $20.7{\pm}0.41{\mu}M$ TE. Therefor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the one of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 The efficiency of lotus flower vinegar fermentation can be reached with an initial sugar condition of 25% (sample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