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Data

검색결과 1,662건 처리시간 0.029초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와 삶의 만족도 (Transition in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 백옥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01-308
    • /
    • 2018
  • 본 연구는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 궤적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종단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1-4차년도(2005-2011) 자료를 활용, 1-4차년도 조사당시 거주형태를 측정, 두 시점간 거주형태 변화 유형을 16개 유형으로 구분, 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을 적용해 삶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는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다. 전반적으로 마지막 조사시점에서 부부상태를 유지했던 집단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또한 노년기 자녀와의 동거여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결과 자녀와의 동거는 부부가 함께 동거였을 경우에만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을 뿐 홀로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의 경우 독거를 지속한 가구보다도 오히려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의 궤적과 대표적 심리적 복지 개념인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는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 차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과정의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Clinical Practicum with Simulation Used Additionally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 오한교;송라윤;안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57-369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과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D시 소재 일 간호대학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임상실습과 병행하여 받은 일 개 학년 학생들을 대상(n=77)으로 2년 동안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종단연구이다. 본 연구대상 대학의 실습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수집된 자료 중 일부(2015~2016년도)를 사용한 2차 자료분석으로, 3학년과 4학년의 학년 초와 학년 말에 측정된 변수들을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에서의 임상수행능력이 학년 초에 비해 학년 말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t=-13.75, p<.001), 임상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는 2년에 거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F=177.86, p<.001; F=247.79, p<.001). 한편, 문제해결능력은 시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청소년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다층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to Change in Adolescent Depression: A Multilevel Latent Growth Analysis)

  • 최유정;이태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9-8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 in adolescent depression across tim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and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multilevel latent growth analysis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2,351 adolescents who were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0. Results: Results showed that both initial level and downward trajectory of depression varied significantly across individuals as well as across neighborhoods. On the individual level, self-rated economic condition(b=-0.203, p<.001) was related to the initial level of depression. Adolescents whose father had a high educational level(b=0.028, p<.001) or whose mother had a low educational level(b=-0.022, p=.011) had lower rates of decline in adolescent depression. On the neighborhood level, neighborhood deprivation index (b=0.003, p=.019) and gini coefficient(b=0.124, p=.040) were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decline in depression. Conclusions: Low SES in adolescence is correlated with worse mental health, especially depression. Social disparities in depression likely originate before adulthood. The findings argue for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depression in adolescence from a multilevel or ecological framework.

매체환경과 청소년 사이버비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성인매체몰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Environment and Adolescent Cyber-Delinquency : Focused on X-rated Media Commitment)

  • 이창문;문진영;박주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65-379
    • /
    • 2019
  • 본 연구는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검토된 일반긴장 이론, 비행기회 이론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 이후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패널 4차 자료와 7차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단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이버 비행을 저지르는 결정요인을 패널 로짓분석을 통해 살펴본 다음 이후 패널 토빗확률효과 모형을 통하여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비행횟수와 관련해서는 성인매체몰입, 컴퓨터 사용시간, 휴대폰 의존 정도는 사이버 비행횟수를 증가시켰으며, 연령증가, 부모의 양육태도 중 관심적 감독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곡측정법을 이용한 신 레일의 잔류응력 분석 (Residual Stress Analysis of New Rails Using Contour Method)

  • 송민지;최욱진;임남형;김동규;우완측;이수열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93-399
    • /
    • 2018
  • 레일의 잔류응력은 레일의 피로 및 파괴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서, 레일의 가공 및 열처리 등 생산 과정 단계에서 이미 형성되며,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잔류응력 분석방법의 하나인 파괴법 기반 굴곡측정법을 적용하여 레일 축 방향의 잔류응력을 평가하였다. 레일의 축 방향과 수직한 단면을 방전가공을 사용하여 느린 속도로 단면을 절단한 후 레이저 기반인 굴곡 측정기를 이용하여 단면의 굴곡을 정밀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ABAQUS를 활용하여 설정한 요소로 잔류응력으로 변환시켰으며, 총 3종의 다른 규격을 갖고 있는 신 레일 (50N, KR60, UIC60)의 잔류응력 값의 경향과 수치를 비교하였다.

다변량회귀에서 주선택 반응변수 차원축소 (Principal selected response reduction in multivariate regression)

  • 유재근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4호
    • /
    • pp.659-669
    • /
    • 2021
  • 다변량 회귀분석은 경시적 자료분석이나 함수적 자료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론이다. 다변량 회귀분석은 설명변수의 차원 뿐만 아니라 반응변수의 차원때문에 일변량 회귀분석에서 보다 차원의 저주문제에 더 강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Yoo (2018)와 Yoo (2019a)에 세 가지 모형기반 반응변수 차원축소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Yoo (2019a)에서 제시한 기본 방법은 모의실험 결과 모형에 가장 영향을 덜 받지만, 다른 두 방법 중 더 나은 방법보다 더 좋은 추정결과를 제시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본 방법의 결과 다른 두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여, 자료에 따라 최선의 방법을 제시하는 선택 알고리듬을 제시하고, 이를 주선택 반응변수 차원축소라 명명한다. 다양한 모의실험 결과 주선택 반응변수 차원축소는 Yoo (2019a)의 기본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차원을 축소하고, 모든 경우에 있더 더 바람직한 방법을 선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제안한 주선택 반응변수의 차원축소 방법의 실제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IDM을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점유율 변화가 고속도로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Autonomous Vehicle Market Share Changes on Expressway Traffic Flow Using IDM)

  • 고우리;박상민;소재현;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영동고속도로 용인IC~양지IC구간을 대상으로 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시장점유율 변화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추정하기 위해 미시교통시뮬레이션 모형인 VISSIM을 활용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종방향 제어를 반영하기 위해서 intelligent driver model(IDM)을 구축 후 VISSIM에 적용하여 일반차와 비교를 수행하고 주행행태를 검증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시장점유율에 따른 이동성 및 안전성 분석 결과,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시 시장점유율이 높아질수록 네트워크의 이동성은 향상되지만, 안전성의 경우 차종이 혼재되었을 때 교통류가 불안정해지므로 더욱 안전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규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소진의 변화 (Chang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for Newly Graduated Nurses)

  • 주은아;박미현;김인혜;백지선;반자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3호
    • /
    • pp.327-33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hang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according to work periods for new nurses. Methods: A longitudinal study was done using surveys of 91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these newly graduated nurses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18 to September 2019, three times (2 months, 4 months and 6 months after starting to work). Results: Hop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ecreased after 6 months of work (F=7.11,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ecreased after 4 months of work (F=15.30, p<.001).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nts' burnout included the optimism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inua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factors explained 51.3% of the variance in burnout (F=48.47, p<.001). Conclusion: Organizational support for new nurses is urgently need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strength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ewly graduated nurses to reduce their burnout and to help their job adaptation.

Economic construction management of composite beam using the head stud shear connector with encased cold-formed steel built-up fix beam via efficient computer simulation

  • Yin, Jinzhao;Tong, Huizhi;Gholizadeh, Morteza;Zandi, Yousef;Selmi, Abdellatif;Roco-Videla, Angel;Issakhov, Alibek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1권5호
    • /
    • pp.429-445
    • /
    • 2021
  • With regard to economic efficiency, composite fix beams are widely used to pass longitudinal shear forces across the interface. The current knowledge of the composite beam load-slip activity and shear capability are restricted to data from measurements of push-off. Modelling and analysis of the composite beams based on Euro-code 4 regarding to shear, bending, and deflection under differing loads were carried out using Finite Element through an efficient computer simulation and the final loading and sections capacity based on the failure modes was analysed. In bending, the section potential was increased by an improvement of the strength in both steel and concrete, but the flexural and compressive resistance growth is very weak (3.2% 3.1% and 3.0%), while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has increased respectively from 25 N/mm2 to 30, 35, and 40 N/mm2 compared to the increment of steel strength by 27% and 21% when it was raised from 275 to 355 and 460 N/mm2,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final flexural load capacity of fix beams was declined with increase in the fix beam span for both three steel strength. The shear capacity of sections was remained unchanged at constant steel strength and different length, but raised with final yield strength increment of steel sections by 29%, and 67% when it was raised from 275 N/mm2 to 355 N/mm2 and 460 N/mm2, respectively.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과 기능적 수행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안승헌;조규행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3호
    • /
    • pp.7-18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MBI(Modified Barthel Index), BBS(Berg Balance Scale), an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MBI, BBS, Fugl Meyer-motor function(FM-M), and to predict MBI-subscales from the variables. Methods : 58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me,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TCT, PASS-TC, TIS, and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daily living was obtained by MBI, and dynamic balance ability(by BBS). Trunk control scores from the difference MBI, BBS were compared using the 1-way ANOVA(Mann Whitney U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subscale. Results : Trunk control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BI(F=2.139~13.737, p<.05~.001), BBS(t=3.491~7.705, p<.01~.001).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 of the MBI(r=.25~.50), BBS(r=.38~.68), FMM( r=.31~.48).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additional,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TCT, in addition to the PASS-TC, dynamic sitting balance subscale of the TIS for measures of MBI subscales. Conclusion :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MBI, BBS score, so the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stroke patients. Further study about trunk control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