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life housing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전통주거(韓國傳統住居)에 나타난 가택신앙(家宅信仰)과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hamanistic House Sprits and Spatial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천득염;나경수;손희하;나하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4호
    • /
    • pp.43-55
    • /
    • 2001
  • Living spaces are the results of social environment and also the reflection of the viewpoints by their residents toward human culture and society. Therefore, in studying living spaces, the true essence of the spaces could be easily distorted when cultural and symbolic motives and values are disregarded and only their apparent characteristics are looked into. Hence, it'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understand both physical dwelling spaces from architecture's view points and social ideas, simultaneously, of people who form and interact with the spaces. Hence, this paper tries to study housing religion which is one of shamanistic religions which, in turn, have been the fundamental element of ancient religions and came into existence on the basis of dwelling spaces. This study presumes that house religion may have been permeated with its creators' ideas about living and those ideas could be one of those factors which plays a role in organizing of dwelling spaces. As such, with these prior analyses, this thesis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arious dwelling spaces via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various house spirits which are mentioned in a local house religion and also will find out spatial harmony of Korean traditional living spaces by way of corelations among living spaces, people, and personalized house spirits. Almost all traditional Korean houses have assigned a house spirit to their individual dwelling space. This means a traditional house was considered as a scared space in a secular world called human society and the space was actually intended to protect sacredness of dwelling places from earthliness outside. So when the hierarchy of house spirits in housing religion is projected to a Korean traditional house, it can be shown that a dwelling house as a building was personified to a respectable human statu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each space was synonymous with a dwelling place for each house spirit and was considered a sacred godly place. In a nutshell, not only each space in a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a physical and functional space, but also it formed a scared spatial place along with the concept of house spirits intending to ward off disasters and enjoy a comfortable life through those religious symbols and meanings. Housing shamanistic religion which has long been existing with residents and their lives is seeped with the viewpoints of the residents toward life, and hence understanding the meanings and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can reveal commonly practiced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Therefore a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on the basis of humanistic social ideas will help learn Korea's traditional houses which need to be understood in various methods.

  • PDF

사국(四國)산촌의 은거옥(隱居屋)의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일본 덕도현(德島縣) 동조곡산촌(東祖谷山村) 낙합지구(落合地區)를 중심으로- (Survey Research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Retirement House in Mountain Village of Shikoku - Focusing on Ochiai area in Higashiiyayama-son in Tokushima Prefecture of Japan)

  • 박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7-64
    • /
    • 2006
  • This research is the survey result of the retirement house in Ochiai area that is a famous as mountain village of Japan. This area is being formed in a steep slope and be arranged the building long a side along the contour line. As for the plan type of a main house 'the middle bedroom three-madori(bay) type' and 'the parallel two madori(bay) type' occupy many. As for in the retirement custom of Ochiai area the independence family style (separation/ separate meal/separate household economy) is a principle and a parents family builds the retirement house and move out. The plan. of the retirement house is two-room type of 'Omote(public room) and Uchi(kitchen and living room)' and agree with the plane prototype 'plan constitution of a necessary minimum' of farmhouse of this area. The reconstruction that the retirement house is remodeled handily with a main home, especially intend the convenience of the life such as a kitchen and toilet has been done. The retirement custom has been succeeded thoroughly until recent years in this area. However, this traditional custom is seeing the end, without there is the successor of a main house with depopulation.

노인의 일상생활장애 정도에 따른 고령친화제품 분류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Senior Friendly Products by Difficulty of Daily Living for Senior Citizens)

  • 이윤희;황성원;최령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7-331
    • /
    • 2008
  • In Korea, welfare needs brought on by the rapidly growing of elderly population. Also, the senior group with spare time, wealth and health is increasing. Currently, the people have known about needs welfare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during senescence personally and socially. In addition to the senior friendly industry, having distinction with simple approach medical services, will be great expanding after 2010. And there will be a new welfare services plan supporting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But we don't have prepared systematically organized senior friendly industry and products yet. S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friendly product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daily living for senior citizens. Above all, the study finds out the senior friendly produc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sumer's various situations about health and housing space.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s that the simulation guidelines for choosing the products depend on the customer's needs are essential and useful to improve senior friendly industry. And the post evaluation data of senior friendly products would be put to practical use in the industry.

  • PDF

현장실험을 통한 건식경량벽체의 부착물에 대한 하중 저항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Load Resistancy of Lightweight Wall against Wall Attachments through Field Tests)

  • 김태익;이주민;김상헌;최수경;서치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3-184
    • /
    • 2015
  • Recent structural approach of the House of Commons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for dry wall light due to a change in load bearing composite structure of a flat plate type structure under the name of long-life housing, attach the attachment to the wall as the needs of the residents of reserved space increases things that are on the rise. However,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collapse accidents is shown wall and recent wall deposits are required, a load resist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deposit of the need is the sit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of dry lightweight wall as widely used gypsum board and ALC lightweight wall of two types of laboratory the wall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to be installed in direct co-housing to the target and field experiments I want to evaluate the different points.

  • PDF

공주시 마을습지 인벤토리 구축 및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ventor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illage Wetlands in Gongju-city, Korea)

  • 박미옥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4호
    • /
    • pp.67-74
    • /
    • 2020
  • Despite its ecological importance of wetlands in our life, wetlands around cities and villages have been steadily disappearing. It is mainly due to either natural geological changes or man-made causes such as permitted land zone changes for the purpose to convert to agriculture lan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atabase of wetlands using GIS in a historic conservation city Gongju City. The systemic data management would enable to identify distribution of wetlands and their ecological attributes, and to estimate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The data base will be able to use in strategic way to preserve the local ecological areas for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and manage the quality of wetlands in the historic and conservation city. For the purpose, it is suggested organising a wider network with not only local residents but local authorities and relevant stakeholders would be beneficial. This study also recommends that long-term strategic plan to preserve the existing wetlands. This study findings as a seminal case example can be used to apply to other geographical areas of the country and can contribute to create a national ecological nature map as well as evaluate the attributes and quality of natural ecosystem service of the region.

청년의 주거독립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Residential Independence of Youth and Policy Implications)

  • 정윤혜;성진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2호
    • /
    • pp.39-56
    • /
    • 2024
  • 최근 우리 사회의 전 영역에 걸쳐 청년 세대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들은 생애 주기 과정상 독립, 취업, 혼인 등 다양한 이행기에 있어 다차원적이며 중첩된 문제에 놓여 있으며 특히, 가장 체감할 수 있는 주거분야에서 주거독립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사회적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독립은 주거독립 중단의 가능성이 높고 불안정한 독립일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많은 청년들은 자의든 타의든 주거독립으로 인해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이에 청년가구와 같은 취약계층의 자립 용이성 측면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지지체계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의 일반적 특성에 국한하기보다 내재적 다양성 및 이질성을 고려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일시적 주거비 부담 완화와 같은 단편적 정책보다 실질적으로 자립을 이행할 수 있는 장기적 정책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청년 일자리, 고용 안정 등의 복합적 지원도 필요하다. 청년가구의 주거독립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대중교통 이용과 문화시설 등에 대한 생활 인프라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정된 재원인 정책자금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서는 입지 선정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또한 주거독립을 위한 다양한 주택유형 및 점유형태를 제공하여 청년의 이행기 및 생애 주기 관점에서의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청년의 이행기 지연은 개인의 생애 주기 단절, 만혼, 저출생 등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손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가장 체감할 수 있는 주거상황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차원에서 통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나아가 미래세대의 주요 구성원으로써 자립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사회적 공감대와 지지가 필요하다.

건설구조물(建設構造物)의 장수명화(長壽命化)와 건설폐기물(建設廢棄物)의 유효이용기술(有效利用技術) (Long- Term Durability of Construction Structure and Effective Use of Technology for Construction Waste)

  • 김규용;최형길;남정수;송하영;이도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11-19
    • /
    • 2009
  • 최근 지구환경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자원절약 및 자원의 유효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부터 각종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재활용과 자원절약에 관한 관심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난화 방지, 자연환경파괴의 방지,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등 지구환경보전 측면에서 콘크리트용 골재 자원의 고갈, 시멘트 소성에너지, $CO_2$ 저감 등은 해결이 불가피한 문제로서의 당면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건설 산업의 분야에 있어서도 건축물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내구수명이 길게 설계된 장수명화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건설행위를 억제하여 지구자원 및 에너지를 절감하는 창조적인 사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건설폐기물 발생 억제 및 유한한 지구자원의 유효이용과 재활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지구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건축생산 및 건축물의 성능설계 측면에서 건축적 요구와 지구환경을 고려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방법 및 건설폐기물의 유효이용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생활시설 종사자가 경험한 남성노인의 성적욕구 표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Desire Outburst of the Male Elderly Residents Experienced by the Workers in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31-49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plore verbal and behavioral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among male elderly residents who have been living in long tenn care facilities. There are three topics covered in this study; first, in what situations and how seriously do care workers encounter expression of sexual desires of the elderly residents? Second, what kind of negative consequences do they believe those sexual behaviors will lead to? Third, how can we implement defensive measures against the sexual behaviors? In this study, twenty three care workers working full time in five retirement and care facilities were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bove study agendas, and answer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elderly residents apparently show a variety of sexual harassment and provoking behaviors such as sticking to specific women, physically touching and attacking, and induce obscenely activities against female residents, care workers, and volunteer visitors. Second, their sexual behaviors are often influenced by their isolated and abandoned emotionality as well as living situation in rural areas. Third, their sexual behaviors often critically affect care work plan and facility managements by severely discouraging female care givers and community supporter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ions and defensive measures were mad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toward female workers and volunteer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programs should cove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mechanism of sexuality in later life. Second, self control plans need to be empowered toward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plans, the elderly residents shall be encouraged to evaluate primary cause and proper solutions of sexual behaviors of their peering residents. Third, combination of healthy housing and care facilities for frail elderly need to be integrated in a neighboring location, so that when residents and workers encounter extreme episodes of sexuality of healthy residents in a housing facility, the problematic sexual residents are partially transferred into a neighboring care facility and thereafter other residents and cafe givers are relieved from stressful contacts with the extremely sexual residents.

민속마을 거주자의 법적 제약으로 인한 충돌과 절충 K지역의 Y마을 고가옥 거주자를 중심으로 (Conflicts and Compromises due to Legal Limitations among the Residents of Folk Villages With a focus on the residents of old houses in Y village of K)

  • 손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74-95
    • /
    • 2009
  • 민속마을로 지정된 마을은 다른 마을에 비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마을로서 지금까지 전통적 요소가 상당히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현재 민속마을로 지정된 곳은 7개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서 마을 전체가 보호를 받고 있다. 민속 마을에 적용되는 문화재보호법은 개별적으로 지정되는 일반 유형문화재와 달리 마을 내 전체 주민이 실제 거주 사용하는 가옥과 부속건물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문화재보호법이 마을 전체를 지정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마을 안에 있는 건축물을 마음대로 개보수할 수 없다. 그 결과 민속마을 거주자들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는데, 그 중에서 주거생활의 제약이 가장 크다. 민속마을 지정은 마을 보존의 측면에서 보면 긍정적이지만, 거주자의 입장에서 보면 법적으로 주거생활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부정적이다. 왜냐하면 현대사회의 첨단 기술이 주거생활에 도입되어 일반 사람들은 편리한 생활을 하고 있는데, 민속마을 주민들은 전통문화의 보존이라는 명목으로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민속마을 지정과 함께 주민들은 각종 건축규제를 받으며 직간접적으로 주거생활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부문에까지 상당한 영향을 입게 된다. 그러므로 민속마을 주민들은 문화재보호법에 적지 않은 불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한 전통문화 보존을 추구하는 국가와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거주자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민속마을 거주자들 역시 일상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려는 욕구는 당연하다. 그래서 거주자들은 불법적으로 가옥 개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가기관에서도 일정부분 알고 있지만, 무조건 법의 잣대로 그들의 일상생활을 제약만 할 수 없다. 이런 불법 개조의 암묵적 허용은 거주자의 사유재산을 사용하는 권리와 국가의 문화재보호정책이 절충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거주자들도 국가 기관에서 법적 제재를 가하지는 않는 범위 내에서 개조를 하려고 하고, 국가 역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가옥 내 개조를 허용해준다. 이는 곧 국가와 거주자들이 가지고 있는 각자의 불만을 봉합하고 절충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시설 모델제안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Community Facilities Model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 박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929-943
    • /
    • 2018
  • 주도적 주거유형이 공동주택단지로 자리잡아가며 현대사회에서 주거환경에 따른 커뮤니티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이는 전통적 공동체의 붕괴와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의 양산으로 나타나기 시작한지 오래이다. 공동주택단지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지방대도시의 공동주택단지를 조사 분석하여 커뮤니티 시설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설계형 연구로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커뮤니티 시설 기준에 견주어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있어서는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점차 여가의 질의 향상을 기대하는 거주민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데 한계로 나타나고 있으며, 물리적인 시설환경을 중심으로 기준화하고 있는 시설기준은 점차 질에 있어서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가주민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시설기준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접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의 외부공간 이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오늘날 커뮤니티시설의 지하공간을 활용하며, 건축적 요소를 통해 환경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시설의 내·외부 공간의 이용성을 높이는데 장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