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Community Facilities Model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es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시설 모델제안 연구

  • Park, Ho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Desig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04.26
  • Accepted : 2018.06.08
  • Published : 2018.07.31

Abstract

Together with the increase of public housing complex, the issues of community following residential environment under contemporary society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nd the collapse of traditional community has long been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ties within the public housing complex,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continued, and for addressing such an issue under this study, the public housing complexes n Seoul, the capital region and other major cities have been surveyed and analyzed to draw following conclusion as the design-type study to propose a model of community facilities. It displays that there is certain limitation with respect to the diversity of programs when comparing the community facility standard defined under the public hous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is a limitation to satisfy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that expect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eisure life, and the facility standard that is standardized around the physical facility environment has certain limitations to enh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when the demand has been on the rise with respect to quality. For this fact, the approach in consideration of diversity for the facility standard has to be made in advance. As the utility of external space for the public housing is increased,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plan to secure environment through the architectural factors, and it has the strength in enhancing the utility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the community facilities.

주도적 주거유형이 공동주택단지로 자리잡아가며 현대사회에서 주거환경에 따른 커뮤니티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이는 전통적 공동체의 붕괴와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의 양산으로 나타나기 시작한지 오래이다. 공동주택단지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서울, 수도권, 지방대도시의 공동주택단지를 조사 분석하여 커뮤니티 시설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설계형 연구로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관련 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커뮤니티 시설 기준에 견주어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있어서는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점차 여가의 질의 향상을 기대하는 거주민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데 한계로 나타나고 있으며, 물리적인 시설환경을 중심으로 기준화하고 있는 시설기준은 점차 질에 있어서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가주민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시설기준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접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의 외부공간 이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오늘날 커뮤니티시설의 지하공간을 활용하며, 건축적 요소를 통해 환경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시설의 내·외부 공간의 이용성을 높이는데 장점을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