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lium perenn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5초

산지초지 개량에 관한 연구 II. 임지의 선점식생이 겉뿌린 목초의 정착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outainous Pasture II. Effect of existing vegetation on establishment and herbage production of oversown grasses in forest)

  • 이인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8-114
    • /
    • 1983
  • Lycopodium serratum이 우점된 곳에서는 심한 영향을 받았다. 선점식생(先占植生)에 따른 겉뿌림 초종(草種)의 반응은 시일(時日)이 경과함에 따라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및 Ladino clover와 같은 $2{\sim}3$개의 초종(草種)으로 식생(植生)이 단순화(單純化)되는 경향이었고 Orchardgrass가 우점종(優占種)이었다. 식생변화(植生變化)는 예취회수(刈取回數)에 따라 선점식생(先占植生)은 현저히 감소되었고 반면에 목초식생(牧草植生)은 급격히 증가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겉뿌림 임간초지조성시(林間草地造成時) 선점식생(先占植生)인 Miscanthus sinensis와 Festuca ovina가 우정된 곳의 초지(草地) 개량(改良)은 용이한 편이나, Lycopodium serratum 우점지는 지표처리(地表處理)없이 개량이 어렵다고 보며 개량방법(改良方法)도 낮은 잠재생산성(潛在生産性)에 적합(適合)해야 될 것으로 본다.

  • PDF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한지형 잔디 3종의 하절기 활력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Vitality among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 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547-555
    • /
    • 2021
  • To compare the vitality among cool-season turfgrasses under summer weather conditions and to obtain informa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urfgrasses in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commonly planted on golf courses in the Jeju area was measured. The turfgrasses were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In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the chlorophyll index was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creeping bentgrass, it remained low throughout the study. Fo tended to be low in the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the three turfgrasses. However, the difference in Fo between late summer and early summer was markedly higher in perennial ryegrass than in Kentucky bluegrass or creeping bentgrass. Fm tended to be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without obvious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urfgrasses. Fv/Fm, a measure of photochemical efficiency, was also low in early summer and high in late summer in the three turfgrasses. However, Fv/Fm in late summer was mostly higher in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than in perennial ryegrass, indicating that the former are more resistant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of late summer. Furthermore, Kentucky bluegrass had a high chlorophyll index in late summer and would be most resistant to the harsh conditions of late summer.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꽃사슴(Servus nippo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od Habits of Sika Deer(Servus Nippon)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0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r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a,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Weed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꽃사슴(수컷) 5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92.5 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 kg씩 급여하여 시험하였으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 성분과 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꽃사슴은 Quercus aliena Blume(갈참나무 잎, 500g)을 가장 즐겨 채식하였으며, 다음은 Prunus jamasakura Sieb.(벚나무 잎, 491g)과 Quercus serrata Thunb.(졸참나무 잎, 491g), Trifolium pratense(red clover, 481g) 순으로 즐겨 채식하였던 반면에, Phragmites comunis Trin(갈대, 8g)를 가장 적게 채식하였다. 꽃사슴의 채식습성은 수엽 36.5%, 두과목초 34.2%, 화본과목초 14.0%, 야초는 13.5% 및 잡초를 1.8%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전형적인 수엽채식형(browser type)에 가깝다고 하겠다.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유 산양 (Saane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Dairy Goats (Saanen)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3-322
    • /
    • 2007
  • 본 연구는 몇 가지 조사료원을 유 산양에 급여하였을 때 조사료의 중류에 따른 채식습성을 구명하고자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 (gr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 (혼합목초)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a,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 (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 (Weed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 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Saanen종 유 산양(female) 10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1 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 kg씩 급여하였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성분과 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고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공시된 25 초종 중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red clover 순으로 즐겨 채식하였으며, 소리쟁이가 가장 기호성이 낮았다. 유 산양 (Saanen)은 화본과목초 (33.3%) 및 두과목초 (25.7%)를 총 59.0% 채식하였던 반면에 수엽은 19.6%, 잡초는 15.9%, 야초는 5.5%를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초류채식형 (grazer type)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에서 질소공급형태 및 수준에 따른 질소동화와 탄수화물 대사산물의 변화 (Nitrogen Assimilation and Carbohydrate Concentration as Affected by the N Supply Form and Their Level in Shoot of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 Lee, Bok-Rye;Jung, Woo-Jin;Kim, Dae-Hyun;Kim, Kil-Yong;Kim, Tae-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7-144
    • /
    • 2002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에서 질소의 공급형태 ( $NO_3\;^-$ or $NH_4\;^+$) 및 수준 (0.2, 1.0 and 6.0mM)에 따른 질소동화와 탄수화물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itrate, nitrate reductase, sugar 농도와 Fructan 농도를 조사하였다. $NH_4\;^+$공급구에서 잎의 생체량은 약간 증가하다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반면 $NO_3\;^-$ 공급구에서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처음수준에 비해 약 25%에서 30% 증가하였다. $NO_3\;^-$ 공급구에서 Nitrate 농도는 Nitrate 농도가 더 높을 때 현저히 증가하는 반면에 $NH_4\;^+$ 공급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Nitrate reductase activity(NRA)는 초기수준에 비해 0.2, 1.0 and 6.0mM $NO_3\;^-$ 공급구에서 13.7, 40.3 and 84.0% 각각 증가하였다.$NH_4\;^+$공급구는 실험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ugar의 축적은 $NH_4\;^+$공급구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며 특히 공급수준이 가장 낮은 0.2mM에서 107.2 mg $NO_3\;^-$ DW로 다른 공급수준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NO_3\;^-$ 공급구에서 sugar의 농도는 초기수준에 비해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 후 72시간에서 fructan 농도를 비교할 때 $NH_4\;^+$공급구의 경우 3 공급수준에서 공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NO_3\;^-$ 공급구에서는 약간 증가하거나 초기 수준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8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e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e,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樹葉, 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native grasse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재래산양(남) 10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0.6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kg씩 급여하였고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축사내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 성분과 5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이었다. 재래산양은 Quercus serrata Thunb.(졸참나무 잎, 500g)을 가장 즐겨 채식하였으며, 다음은 Quercus aliena Blume(갈참나무 잎, 441g), Trifolium repens(white clover, 433g), Pinus densiflora(소나무 잎, 417g) 순이었으며 다른 가축이 즐겨 먹지 않는 Pinus densiflora나 Artemisia princeps Pampanini(쑥)도 즐겨 채식하였다. 재래산양의 조사료원별 채식분포를 보면 수엽 29.9%, 두과목초 23%, 잡초 21.6%, 화본과목초 21.5% 및 야초 4.0%를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수엽채식형(browser type)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단파 또는 혼파초지에서 Italian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and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Plant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age Species on Suppressing Weeds)

  • 김문철;김종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1-250
    • /
    • 1999
  • 본 연구는 1995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제주대학교 동물사육장 초지시험포장에서 초종혼파조합 차이에 따른 잡초억제 효과를 구명키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 처리(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세구 4처리(보조초종 단파; T1, 툴페스큐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2,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3,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4)를 3반복하여 분할구 배치법으로 처리되었다. 목초의 2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주구 즉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에서 각각 15,437kg/ha, 14,581kg/ha이었고, 세구 즉 T1, T2, T3 및 T4에서는 각각 14,815kg/ha, 15,407kg/ha, 14,629kg/ha, 15,187kg/ha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년차 1차수확시 주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으나 세구간 즉 T1(보조초종 단파)구가 3,376kg/ha로서 가장 낮은 건물수량을 보였고 T3, T4가 각각 4,591kg/ha, 4,816kg/ha로서 T1의 건물수량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2년째 평균 건물수량 역시 세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며 T4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 T1 및 T3구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초년도 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보조초종으로 이용하는 것이 켄터키 블루그라스보다 잡초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여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없어져서 서로 비슷한 추세였다. 2년차 말에 보조초종 켄터키 블루그라스 이용으로 다소 잡초를 감소케 하는 경향이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2년 전체적으로 볼 때 오차드 그라스를 조합한 구(T2, T3 및 T4)가 보조초종 단파구(T1) 보다 잡초율을 낮게 했다. 목초의 조단백질은 처리별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10월 수확시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NDF와 ADF 함량이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것에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7월 수확시에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ADF 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것 보다 고도히 유의적 차이로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초년도 봄에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혼파하므로 잡초 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건물생산에 뚜렷한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본 시험결과로서 오차드그라스 조합이 잡초 억제에 가장 유리한 초종이었으며 건물수량도 가장 높았다.

  • PDF

들잔디에 오버씨딩 시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과 초종전이 (Effects of Cool-Season Grass Overseeding on Coverage and Spring Transition in Zoysiagrass)

  • 정기완;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70-377
    • /
    • 2014
  • 본 연구는 들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단파 및 혼파로 오버씨딩 후 잔디피복율 및 초종전이 특성과 함께 적합한 초종 및 파종량을 구명함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한지형 잔디 피복율 및 난지형 잔디의 초종전이는 처리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피복율은 초기부터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 초종이 우수하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저조하였다. 혼합구는 초종 구성상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가 많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없는 파종량 150 g인 Mixture IV가 가장 양호하였다. 초종 전이는 3월 하순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최대 80%까지 들잔디 점유율이 증가하였지만, 10월 초순 이후 점유율은 감소하였다. 단일 초종구에서 들잔디 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처리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이었고, 가장 낮게 나타난 처리구는 톨 페스큐이었으며, 혼합구의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동절기 잔디피복에 적합한 처리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100 g, 혼합구인 경우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1/2씩 혼합해서 150 g을 파종할 경우 가장 적합하였다. 하지만 들잔디로 초종전이는 단일 초종구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50 g이 가장 우수하였다.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와 천이 - 강원도 임도를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 of the Decomposed Granite Cut-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angwon-do -)

  • 송호경;박관수;이준우;이미정;이상화;김효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4-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s cut-slope. From two to six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four regional areas of Gangwon-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soil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 the decomposed granite soils were below 1.32%, 0.08%, 10.0%, and above 1.24g/$cm^3$,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oil was not good for plant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species in the granite forest roads were the elapsed year, cut-slope, elevation, and cut-slope aspect. Species with high frequency in the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ordered Lespedeza bicolor, Rubus crataegifolius, Pinus densiflora, Lysimachia clethroides, Amorpha fruticosa, Dactylis glomerata, Lespedeza cyrtobotrya, Festuca arundinacea, Spodiopogon sibiricus, Artemisia stolonifera, and Weigela subsessilis. Herbs seeded in earth stage such as Dactylis glomerata, Lolium perenne, and Festuca arundinacea had changed into perennial herbs such as Carex lanceolata, Poa sphondylodes, Patrinia villos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Spodiopogon sibiricus, Melica onoei,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stolonifer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Spodiopogon sibiricus, and those had changed into shrubs such as Rubus crataegifolius and Weigela subsessilis, and those had changed into trees such as Salix hulteni, Salix koreensis, and Fraxinus rhyncholhylla according to elapsed year of forest roads. Legumes such as Lespedeza sp., Pueraria thunbergiana, Amorpha fruticosa, etc., herbs such as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stolonifer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etc., and woody plants such as Pinus densiflora, Rubus crataegifolius, Weigela subsessilis, Zanthoxylum schinifolium, Rhododendron mucronulatum, etc., with foreign herbs were considered as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Acidification of pig slurry effects on ammonia and nitrous oxide emissions, nitrate leaching, and perennial ryegrass regrowth as estimated by 15N-urea flux

  • Park, Sang Hyun;Lee, Bok Rye;Jung, Kwang Hwa;Kim, Tae 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457-466
    • /
    • 2018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nitrogen (N) use efficiency of acidified pig slurry for regrowth yield and its environmental impacts on perennial ryegrass swards. Methods: The pH of digested pig slurry was adjusted to 5.0 or 7.0 by the addition of sulfuric acid and untreated as a control. The pig slurry urea of each treatment was labeled with $^{15}N$ urea and applied at a rate of 200 kg N/ha immediately after cutting. Soil and herbage samples were collected at 7, 14, and 56 d of regrowth. The flux of pig slurry-N to regrowth yield and soil N mineralization were analyzed, and N losses via $NH_3$, $N_2O$ emission and $NO_3{^-}$ leaching were also estimated. Results: The pH level of the applied slurr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erbage yield or N content of herbage at the end of regrowth, whereas the amount of N derived from pig slurry urea (NdfSU) was higher in both herbage and soils in pH-controlled plots. The $NH_4{^+}-N$ content and the amount of N derived from slurry urea into soil $NH_4{^+}$ fraction ($NdfSU-NH_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 the pH 5 plot, whereas $NO_3{^-}$ and $NdfSU-NO_3{^-}$ were lower than in control plots over the entire regrowth period. Nitrification of $NH_4{^+}-N$ was delayed in soil amended with acidified slurry. Compared to non-pH-controlled pig slurry (i.e. control plots), application of acidified slurry reduced $NH_3$ emissions by 78.1%, $N_2O$ emissions by 78.9% and $NO_3{^-}$ leaching by 17.81% over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ig slurry acidification may represent an effective means of minimizing hazardous environmental impacts without depressing regrowth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