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lium perenn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그늘하에서의 Kentucky Bluegrass와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생육비교 (A Comparison of Vegetativ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in Different Levels of Shade)

  • 구자형;김태일;원동찬;송남현;송천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3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egetative growth of two cool 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Ten respective cultivars of Kentucky bluegrass [Poapratensis L.] and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were exposed to unshaded, 30% and 60% shade for 4odays. First mowing height was 7cm, and then clippings were harvested every ten days at the same height. Shading increased the total length of clippings of all cultivars of two turfgrasses, but fresh and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highest shoot length obtained at 30% shade in Kentucky bluegrass and at 60% shade in perennial ryegrass. 'Rugky', 'Sydsport', 'Wabash' and 'Baron' of Kentucky bluegrass and 'Repel', 'Omega II', 'Ovation', 'Linn', 'Bell' and 'Manhattan' of perennial ryegrass showed relatively high tolerance to shade. Especially, in 'Citation II' perennial ryegrass, fresh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by 30% shade. The number of tillers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de. In 30% shade, 'Midnight' Kentucky bluegrass and 'Omega II' perennial ryegrass were least reduced and 'Baron' Kentucky bluegrass and 'Pennant' perennial ryegrass were most reduced. The cultivars of lower growth habit in full sunlight showed shade tolerance compared to those of higher growth habit.

  • PDF

목초의 생산성에 미치는 차광의 영향 (Influence of Shading on the Productivity of Grasses and Legumes)

  • 최진용;홍광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7
    • /
    • 1987
  • Four foreign pasture cultivars such as Lotus corniculatus cv. Maitland, Trifolium pratense cv. Deben, Lolium perenne cv. $S_{23}$ and .Dactylis glomerata cv. $S_{26}$ were tested with "Kwisan" series, a common upland soil in Southern part of Korea. The cultivars in single or mixture were grown in pot with two levels of light intensity, i.e. a full sun light condition and 50% interception. Dry matter yield of top and root and their seasonal changes, the number of tillers or branches per plant and finally competative effects of mixtures were evaluated by estimating the expected yield, relative yield totals and compensation index.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aitlan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ry matter yield in shade condition, but the number of branches of Maitland was higher than those of Deben. 2. Maitland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Deben during the mid-summer period, while $S_{23}$, showed higher dry matter yield than $S_{26}$ during early season. 3. Mixtures of $S_{23}$ and Maitland, and $S_{26}$ and Deben gave better response to grass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illers in shade condition. 4. Combinations of Lotus corniculatus cv. Maitland and Dactylis glomerata cv. $S_{26}$ and Trifolium pratense cv. Deben and Dactylis glomerata cv. $S_{26}$ gave higher relative yield totals and higher compensation index, which envisages that the pasture establishment rates can be enhanced when those mixtures were sown by the oversowing method in the upland soil where phosphate level is very low and infertile in general.n general.

  • PDF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for Environment Factor of Road Slope)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2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to report the revegetation of cutting-rock slopes and a design standard in the highway cut-slopes. The fiel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67 sites cutting-rock slopes of highways, local roads, and field test. As the result of analyze,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measures were 16 types. There were Vine planting(3 types),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5 types), Vegetaion-base spraying measures(5 types), and Stability measures(3 types).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verage rates of cutting-rock slopes were the slope gradient, the slope width and direction. The plant coverage rate decreases in the condition of steep slope and long slope width and length(height). In addition, the plant coverage rates of the westward and southward were lower than that of the northward and eastward. Most dominant species were Zoysia japonica, Lespedeza cyrtobotrya, Lespedeza cuneata, Rubus crataegifolius, Miscanthus sinensis, Arrundinella hirta, Themeda triandra, and Oenothera odorata. Exotic species were Eragrostis curvula(Weeping lovegrass), Dactylis glomerata Orchardgrass), Lolium perenne(Perennial ryegrass), and Festuca arundinacea(Tall fescu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proposed factor as environment, topsoil, classification of rock, field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ed with revegetation measures on slopes for the presentation of revegetation standard.

사면(斜面) 녹화용(綠化用) 외래초종(外來草種)의 혼파조합(混播組合)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ixed-Seeding Rates of Exotic Grasses for Slope Revegetation Measures)

  • 전기성;우보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2-109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mixed-seeding in the grasses for slope revegetation measures. Seeding treatment with six combination types of five grasses used for this experiment such as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Potomac'),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Manhattan'),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Jaguar'),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Majestic') and weeping lovegrass(Eragrostis curvula). The growth of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were good on mixed-seeding condition in case of number of individuals, heights and coverages at this experiment. These plants will useful for revegetation measures mixed-seeding, but weeping love grass and kentucky bluegrass did not show a desirable growth in mixed-seeding condition, and these plant prefered mixed seeding to single seeding. Regeneration percents of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were higher than that of weeping love grass and kentucky bluegrass, and coverage kept on good condition through one year after seeding,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initial stage revegetation measures.

  • PDF

비탈면 입지조건에 따른 녹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getation Character for Environment Factor of Slope)

  • 우경진;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47-5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revegetation character for environment factor of slope. Field test carried out for the man-made slope with three types(0.5cm no net, 3.0cm no net, 3.0cm net) revegetation methods in Hwaseong. Test revegetation plants were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il hardness, the soil acidity, and the soil humidity of three types(0.5cm no net, 3.0cm no net, 3.0cm net) revegetation methods were at a suitable value for plants growth. 2. All plant growth index(seedling number, ground coverage, plant height, plant weight, etc) of south slope were better than north slope. But plant growth index of net plots were similar to no net plots. 3. For washout investigation, washout quantity of north slope was plentifully measured from south slope, and 1 amount of rainfall will be big was visible appears plentifully.

한지형 잔디 3종의 하절기 광계II 활성과 기상요인과의 상관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Weather Factors and Photosystem II Activity in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in Summer)

  • 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1-318
    • /
    • 2022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eather factors and photosystem II activity (Fv/Fm), as a measure of photochemical efficiency, in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commonly planted on golf courses in Jeju, South Korea: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and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In all three turfgrasses, Fv/Fm was higher during late summer than during early summer. However, in late summer, Fv/Fm was significantly lower in perennial ryegrass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In early summer, Fv/Fm in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low temperature and extreme minimum temperature, whereas, in late summer, this parameter in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ve humidity, and in creeping bentgra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high temperature, mean low temperature, and extreme maximum tempera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ising low temperatures is favorable for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in early summer, whereas, in late summer, the lowering of high temperatures proves to be beneficial for creeping bentgrass, and raising relative humidity is conducive to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creeping bentgras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urfgrasses on golf courses and sports fields.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하절기 동안 한지형 잔디 3종의 활력도 비교 분석 (Comparion of Vitality among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 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골프 코스에서 하절기 고온기간에 온도의 상승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생육 장애가 심한 한지형 잔디인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3종에 대하여 엽록소형광과 엽록소지수를 측정하여 골프 코스와 스포츠 필드에서 잔디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Fo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perennial ryegrass의 경우는 하절기 초기와 후기 간의 Fo 값의 변화가 컸으며, 특히, 후기에 Fo 값은 다른 2종 월등하게 보다 높았다. Fm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하절기 후기에 증가하였으나 3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의 척도인 Fv/Fm 값은 3종 모두에서 하절기 초기에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하절기 후기에 Kentucky bluegrass와 creeping bentgrass는 perennial ryegrass에 비해 Fv/Fm 값이 다소 높아 하절기 고온에서도 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엽록소지수는 perennial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에서는 뚜렷하게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높은 양상을 보였으나, creeping bentgrass는 조사기간 내내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Kentucky bluegrass가 하절기 후기의 고온이나 빈번한 강우에 의한 습한 조건에 가장 강하고, perennial ryegrass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육환경에 따른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및 Festuca arundinacea Schreb.의 초종 및 품종별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비교 (Comparison of Early Germinating Vigor, Germination Speed and Germination Rate of Varieties in Poa pratensis L., Lolium perenne L. and Festuca arundinacea Schreb. Grown Under Different Growing Conditions)

  • 김경남;남상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03
  •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 한지형 잔디인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및 톨훼스큐의 발아실험 결과 초종, 품종 및 생육환경에 따라 발아특성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환경 차이에 따라 발아세, 발아속도 및 발아율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초종간 발아 특성을 파악해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품종별 발아 경향 차이도 크기 때문에 동일 초종 안에서도 조성목적에 따라 품종별 발아특성을 고려한 선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 한지형 잔디의 초기 발아세 및 최종 발아율경향이 초종 및 품종에 따라 다르고, 또한 실무적으로 대면적을 적기에 파종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하지만, 품종별 발아세 및 발아속도 특성은 중요하기 때문에 종자 파종량 결정시 초기 발아세 및 최종 발아율 결과를 동시에 검토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초종별 발아속도는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7∼10일로 가장 빨랐고, 켄터키블루그라스가 14 ∼21일로 가장 느렸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인 10∼14일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성 후 잔디품질 및 환경적응력보다도 파종후 급속 피복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곳에는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적합하였다. 4. 실온, 변온 및 항온에 따라 퍼레니얼라이그라스 및 톨훼스큐 잔디는 초기 발아 경향 차이는 있었지만, 최종 발아율은 거의 비슷하였다. 이에 비해 켄터키블루그라스는 초기 발아 경향뿐만 아니라 최종 발아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켄터키블루그라스 품종간 차이도 커서 변온조건에서 최종 발아율이 91.7%였던 Midnight 품종은 실온 조건에서는 71.0%로 20% 정도, 그리고 항온 조건에서는 15.3%로 75% 정도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5. 따라서, 켄터키블루그라스로 잔디밭 조성시 조성 지역 및 파종 시점의 생육환경 분석 및 품종별 발아특성을 고려해서 전문가에 의한 초종선정과 파종량 결정을 하는 것이 양질의 잔디품질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6. 한지형 잔디 모두 발아환경에 따라 초기 발아속도, 발아경향 및 발아율 차이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파종량 결정 시 ISTA규정의 표준 발아 실험에서 수행한 발아율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7. ISTA규정의 표준발아실험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 저관리용으로 많이 쓰이는 퍼레니얼라이그라스 또는 톨훼스큐는 봄과 가을에 실온의 환경이 10∼$25^{\circ}C$ 사이의 자연적인 변온이 가능하다면 실온에서의 발아검정 결과를 간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8. 하지만, 고품질의 골프장 또는 경기장에 많이 쓰이고 있는 켄터키블루그라스는 생육환경에 따라 발아세 및 발아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변온조건의 생육상에서 4주간 발아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9. 한지형 잔디의 발아율 검정 기간은 ISTA 규정에서 퍼레니얼라이그라스 및 톨훼스큐는 2주, 그리고 켄터키블루그라스는 4주이지만, 시공상 충분한 시험기간이 어려운 경우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10일, 톨훼스큐는 2주, 그리고 켄터키블루그라스는 3주 정도면 해당 종자의 90%전후 수준의 발아력 검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10. 골프장이나 경기장 등 대면적의 잔디밭 조성시 선행 공정, 시공 상황 및 기후 등의 변수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적기 파종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및 톨훼스큐 초종별 여러가지 품종을 1일 간격으로 ISTA 규정의 변온조건 및 계절별 실온조건에서 발아세, 발아속도, 발아경향 및 발아율 등 발아검정 특성 시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검정시험을 통해 파악된 초종 및 품종별 발아특성과 함께 조성지의 발아온도를 올릴 수 있는 비닐피복 등의 방법을 실무현장에 활용 시 양질의 잔디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상방목 체계하에서 고능력 착우유에 의한 초지이용율에 대한 연구 II. 일당 채식허용량의 수준에 따른 채식량 및 산유량 (Studies on Herbage Utilization by Grazing Dairy Cows under Strip Grazing II. Herbage intake and milk yield affected by levels of daily herbage allowance)

  • 김태환;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119
    • /
    • 1994
  • 대상방목 체계하에서 Lolium perenne초생의 채식 허용량을 3 수준으로 달리 하여 고능력 착유우에 의한 방목시험으로부터 얻은 채식량과 산유량을 조사하여 얻을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채식된 사포로부터 배설된 분증질소, 크롬 및 회분 함량은 시험시기가 늦을수록, 채식허용량이 낮을수록 약간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시험시기별 채식 허용량의 수준에 따른 채식초의 소화율은 시험시기 1의 82.7%에서 시험시기 3의 79.1%로 감소하였고, 고수준의 채식허용량일 때 81.6%에서 저수준일 때 79.9%로 감소하였다. 일당 채식량은 고와 중 수준의 채식허용량에서 15.8과15.9kg OM/cow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저수준에서는 14.6 kg OM/cow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시험시기별 채식량은 시험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일당 4%유지방 보정 산유량은 시험시기 1의 23.6kg OM/cow에서 시험시기 3에서는 20.6kg OM/cow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채식허용량의 수준에 따른 일당 산유량은 고와 중 수준일 때 각각 23.5와 22.2kg OM/cow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채식허용량의 수준과 채식량(r=0.88)및 산유량(r=0.81)간에 고도(p<0.01)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전남지역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서남권을 중심으로 -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Korea - A Focus on the South-Western Area -)

  • 임동옥;박문수;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3-361
    • /
    • 2007
  • 본 조사는 2005년 5월 10일부터 2006년 12월 20일까지 전남 서남해권 목포시, 진도군, 영암군, 해남군, 신안군, 완도군, 무안군, 강진군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군락을 조사함으로서 귀화식물의 지리적, 서식지 특성별 분포실태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9과 84속 122종 8변종으로 총 130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률은 45%이고, 각 조사지역의 출현종수는 염암에서 103종, 목포에서 98종, 신안에서 97종으로서,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30개 귀화식물군락으로 분류되었다. 8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나무군락, 돌소리쟁이군락, 능수참새그령군락, 토끼풀군락, 호밀풀군락, 큰금계국군락, 큰김의털군락, 개보리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원추천인국군락, 다닥냉이군락, 개망초군락, 겹달맞이꽃군락, 개망초-망초군락, 쥐보리군락, 돼지풀군락, 들묵새군락, 코스모스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등이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징은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