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Korea - A Focus on the South-Western Area -

전남지역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서남권을 중심으로 -

  • Lim, Dong-Ok (Dept. of Life Sciences, Honam Univ.) ;
  • Park, Moon-Su (School of Forest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 ;
  • Kim, Ha-Song (Dept. of Herbal Medicine Resources Development, Naju College)
  •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박문수 (순천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하송 (나주대학 한약자원개발과)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Korea from May 10, 2005 to December 20, 2006, and to suggeste the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The naturalized plants constisted of 29 families, 84 genera, 122 species, 8 varieties, totaling 130 taxa and ratio of naturalization was 45 percents at the study sit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ies investigated from each sites, 103 taxa were from Yeongam, 98 taxa were from Mokpo, 97 taxa were from Shinan, while it was higher in the other sites. A total of 30 naturalized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 those eight sites, the common appearance communit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Bromus catharticus, Eragrostis curvula, Festuca arundinacea, Festuca myuros, Lolium multiflorum, Lolium perenne,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Rumex obtusifolius, Oenothera biennis, Lepidium apetalum, Trifolium repens, Ambrosia artemisiofolia var. elatior, Comos bipinnatus, Rudbeckia bicolor, Erigeron annuus, Erigeron annuus-Erigeron canadensis, Coreopsis lanceolata, Cosmos sulphureus community.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six areas associated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본 조사는 2005년 5월 10일부터 2006년 12월 20일까지 전남 서남해권 목포시, 진도군, 영암군, 해남군, 신안군, 완도군, 무안군, 강진군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군락을 조사함으로서 귀화식물의 지리적, 서식지 특성별 분포실태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9과 84속 122종 8변종으로 총 130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률은 45%이고, 각 조사지역의 출현종수는 염암에서 103종, 목포에서 98종, 신안에서 97종으로서,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30개 귀화식물군락으로 분류되었다. 8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나무군락, 돌소리쟁이군락, 능수참새그령군락, 토끼풀군락, 호밀풀군락, 큰금계국군락, 큰김의털군락, 개보리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원추천인국군락, 다닥냉이군락, 개망초군락, 겹달맞이꽃군락, 개망초-망초군락, 쥐보리군락, 돼지풀군락, 들묵새군락, 코스모스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등이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징은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영향 조사(I). 국립환경연구원 조사보고서. pp. 215
  2.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1996. 귀화식 물에 의한 생태계영향 조사(II). 국립한경연구원보 18: 25-35
  3.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한국생물상연구지 2: 139-164
  4. 김보현. 2000.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지리산국 립공원성상재 관통도로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5. 김준민, 김철수, 박봉규. 1987. 식생조사법(식물사회학적 연구 법). 일신사. pp. 170 소흑산도 업무보고. 1993. 흑산면 가거도리 출장소
  6.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pp. 281
  7. 김하송. 1999. 임자도의 귀화식물상과 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 구. 한국도서(섬)학회지 10: 21-28
  8. 김하송. 2006.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 분포 변화에 관한 생 태학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586-591
  9. 길지현, 박수현, 고강석. 2006. 울릉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 원식물학회지 19(2): 237-242
  10. 박문수. 2002. 임도 절토비탈면의 우점식물과 식물피복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1): 19-27
  11.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서울. pp. 371
  12. 박수현.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 귀 화식물의 분포도와 자생경로- 그린스카우트. pp. 5-14
  13.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pp. 178
  14.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 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pp. 184
  15. 박용하, 이상돈, 김정원. 1998. 외래종 유입에 대한 환경정책 추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396
  16.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 2004. 생태계 위해외래종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p. 325
  17. 우보명, 권태호, 김남춘. 1993. 임도 비탈면의 자연식생 침입과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2(4): 381-395
  18. 이경재. 1996. 외래식물의 국내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외래식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그린스카우트. pp. 10-25
  19.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0. 한의정. 2002. 귀화식물의 지리적 분포와 인위적인 요인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8
  21. 牧野富太郞. 1979. 新日本植物圖鑑. 北陸館, 東京. pp. 1137
  22. 寺崎留吉. 1977. 寺崎日本植物圖譜. 平凡社. 日本, 東京. pp. 1181
  2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24.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
  25. Ohwi Jisaburo. 1984. Flora of Japan. pp.1066
  26. Groves, R.H. and J.J. Burden. 1986.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ge Univ. Press. pp. 137-149
  27. Mooney, H.A. 1996. The SCOPE initiatives: The background and plans for a global strategy on invasive species. pp. 30-37
  28. Newsome, A.E. and I.R. Noble. 1986. Ecological of Biological Invasions (Ed., R.H. Groves and J.J. Burdon, Cambridge Univ. Press). pp.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