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Registration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8초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의 세계측지계변환을 위한 경계미세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Fine-tuning of Boundary for World Geodetic Transformation of a Digital Cadastre)

  • 김창환;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23
    • /
    • 2017
  • 국토부에서 추진하는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변환사업이 면적 위치 등의 미세한 차이로 지적공부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경계점좌표등록지역을 세계측지계로 좌표변환 시 경계점좌표를 법정좌표단위로 변경해야 한다. 그런데 좌표단위의 변경 시 나타나는 미세한 면적변화가 기존 지적공부에 등록된 면적과 일치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적재조사에서 사용하는 수동적 경계미세조정방식을 응용하여 다수의 필지들을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하였다. 조정구간 범위와 면적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필지 수에 따라 전수1, 전수2+1, 구간1, 구간2+1 등의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각 방식의 비교를 위해 SW를 개발하여 실험대상 지역을 분석한 결과 위치 정확성측면에서는 전수2+1, 시간적 효율성은 구간2+1 방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IPv4에서 VPN 게이트웨이 통과를 위한 AAA 기반의 인증 방법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AA to Traverse the VPN Gateway in Mobile IPv4)

  • 김미영;문영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B호
    • /
    • pp.191-199
    • /
    • 2007
  • 이동 노드가 홈 망을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홈 에이전트로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 노드의 홈 에이전트가 홈 망의 VPN 게이트웨이에 의해 보호되고 외부로부터의 비 인가된 엑세스가 차단되는 경우 이동 노드는 등록 절차를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데 이는 이동 노드가 외부 망으로부터 얻은 임시 주소(CoA)와 홈 망의 보안 정책간의 보안 협약(SA)의 부재로 인해 바인딩 등록 메시지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Mobile IPv4 사용자가 VPN 게이트웨이에 의해 보호되는 인트라넷을 엑세스할 수 있도록 AAA 인프라 구조를 사용한 인증 및 키 교환 방법을 제시한다. 각 에이전트나 릴레이 엔티티를 위한 인증 및 터널 처리를 정의함으로써 이동 중인 노드가 안전한 방법으로 VPN 내부의 홈 에이전트로의 바인딩 등록 절차를 하였고, 이동 및 트래픽 특성에 따른 인증 비용 항목에 대해 일반적인 방식과 제안 방식을 비교하였는데 최대 40% 성능향상을 보였다.

청주읍성(淸州邑城) 관아공해고 - 규모(規模) 및 위치(位置) 추정(推定)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Chongju Castle in the Late Yi-dynasty)

  • 김동식;김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2
    • /
    • 1999
  • This study aims to infer the plan and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ongju Castle in the Late Yi-dynast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Chongju Castle Map(淸州邑城圖, late in the 18th century, hereinafter referred to CCM) provides the detail arrangement and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ongju Castle. And the road structure and plan of the CCM is almost same with the present time. 2. As compared with CCM and a Chongju-land Registration Map(淸州面地籍原圖, 1913, CRM) to infer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ongju Castle, the building locations of Gaek-Sa(客舍) Donghun(東軒)'s region in CCM are almost accordance with today's. But those of Byungyoung(兵營) Group's region are represented by a little error. So the locations of Byungyoung(兵營) Group's region rearranged, moved down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circulation of Main Gate(閉門樓) which is shown in CRM. 3. The records, on the plan of the tradition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ongju Castle, have proved that the plan of Gaek-Sa was a width of 11 bay and a depth of 2 bay. A width of 3 bay drawn in CCM, the present plan of Donghun is a width of 7 bay and a depth of 4 bay. The main building and especially the double-storied Main Gate($4{\times}3$) of Byungyoung Group are exactly in keeping with the present road structure.

  • PDF

전방향 능동 거리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기 위치 추정 (Self-localization for Mobile Robot Navigation using an Active Omni-directional Range Sensor)

  • 정인수;조형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1호통권94호
    • /
    • pp.253-264
    • /
    • 1999
  • Most autonomous mobile robots view only things in front of them, and as a result, they may collide with objects moving from the side or behind. To overcome this problem. an Active Omni-directional Range Sensor System has been built that can obtain an omni-directional range data through the use of a laser conic plane and a conic mirror. Also, mobile robot has to know its current location and heading angle by itself as accurately as possible to successfully navigate in real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capability, we propose a self-localization algorithm of a mobile robot using an active omni-directional range sensor in an unknown environment. The proposed algorithm estimates the current position and head angle of a mobile robot by a registration of the range data obtained at two positions, current and previou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a series of simulation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y efficient, and can be utilized for self-localization of a mobile robot in an unknown environment.

  • PDF

PDOP 가중치 기반 정밀 탄궤적 정합 알고리즘 (A Precise Projectile Trajectory Registration Algorithm Based on Weighted PDOP)

  • 신석현;김종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02-511
    • /
    • 2016
  • 최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스마트 무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화포탄의 경우 스마트 탄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 신관 내부에 GNSS 수신기를 장착하여 탄자의 비행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착점을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신기 성능 및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오차유발 원인들로 인해 항법데이터의 위치정확도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PRODAS로부터 얻은 모의궤적 데이터를 수신기로부터 얻은 항법데이터에 포함된 PDOP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합함으로써 탄의 발사부터 탄착까지의 전체 비행궤적 및 탄착점을 보다 정밀하게 추정하는 개선된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계층적 이동 IP 네트워크에서의 비용 효율적인 IP 페이징 기법 (A Cost-Effective IP Paging Scheme for Hierarchical Mobile IP Networks)

  • 공기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4-90
    • /
    • 2011
  • IP 기반의 이동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메커니즘을 IP 계층에서 처리하는 기술(즉, IP 페이징)은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와 위치 등록 시그널링 부하를 감소시켜주며, 이기종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통신이 매우 빈번한 환경 하에서는 증가하는 페이징 시그널링 부하와 잦은 페이징 지연으로 인하여 오히려 IP 페이징의 사용은 역효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IP 페이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동 단말이 자신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적인 위치 등록 및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비용 효율적인 IP 페이징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 기법은 IP 기반의 계층적 이동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정도의 페이징 시그널링 부하와 잦은 페이징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면 전환에서의 물체 추적을 통한 모델기반추적 방법 연구 (The Model based Tracking using the Object Tracking method in the Sequence Scene)

  • 김세훈;황중원;김기상;최형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775-778
    • /
    • 2008
  • 증강현실은 가상현실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장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 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세계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의 합성을 구현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는 기반 기술인 레지스트레이션 방법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방법은 실사영상과 3차원 그래픽 객체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모델기반추적과 Move-Matching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기반추적방법에 대하여 물체 추적을 통한 물체의 정보와 색상 분포를 이용하여 각 장면간의 물체 추적을 통하여 전환되는 장면에서의 모델을 통해 상대적 좌표계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배경 구축 기법과 형태학적 연산 기반의 다중 선박 객체 검출 (Multiple Ship Object Detection Based on Background Registration Technique and Morphology Operation)

  • 김원희;;김종남;문광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284-1291
    • /
    • 2012
  • 선박 객체 검출 기술은 입력된 비디오 및 영상 데이터에서 선박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선박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로서 입력 영상의 환경 변화와 잡음의 영향에 따라서 검출 정확도의 편차가 높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배경 구축 기법과 형태학적 연산 기반의 다중 선박 객체 검출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배경 제거 단계, 잡음 제거 단계, 객체 기준 위치 설정 단계, 객체 재구성 단계, 다중 객체 검출 단계 등 5단계를 거쳐서 선박을 검출한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15가지 실험 비디오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서 98.7%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환경 변화에 강인한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해상 관제와 선박 자동 운항 기술의 기반 기술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선거에 적합한 스마트계약 기반 투표 모델 (The Smart Contract based Voting Model for Internet Community Election)

  • 윤성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67-72
    • /
    • 2019
  • 인터넷 투표는 유권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투표할 수 있으므로 유권자의 투표 참여율을 높이고 선거에 사용되는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점은 모든 구성원들이 선거 관리를 위한 인터넷 서버를 전적으로 신뢰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선거 관리 서버가 특정 후보자와 공모한다면, 다른 후보자들은 부정 선거임을 증명할 수 없다. 더불어 인터넷 투표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유권자가 사는 나라와 지역에 제약을 받는다. 유투브 채널과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투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인터넷 커뮤니티는 구성원이 사는 지역과 나라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투표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기반의 인터넷 투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계약 모델은 후보자 등록, 유권자 등록, 투표 및 개표 단계로 구성된다. 유권자 등록 및 투표 단계에서 유권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개표 단계에서 후보자들에 의하여 선거의 공정성이 보장된다.

지적도면정보 좌표등록의 통일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nified Method of Coordinate Registration in Cadastral Map Information)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55-7862
    • /
    • 2015
  • 지적도면정보는 필지단위로 소재지, 지번, 지목, 경계 등의 일정한 사항을 지적측량 등에 의해 등록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러나 전산화된 지적도면정보는 경계점좌표가 소수점 3자리인 mm 단위의 등록과 소수점 2자리인 cm 단위로 이원화되어 등록되고 있어 지적행정과 지적측량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면정보의 좌표등록과 면적산정에 대한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지적도면정보 좌표등록의 소수점 자리수 통일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수점 자리수에 의한 면적의 변화량을 실험한 결과 토지이동으로 인한 면적의 변동과 미세폴리곤의 발생은 좌표의 등록을 소수점 2자리의 등록을 소수점 3자리로 변경한다면 해결이 가능함을 제시할 수 있었고, 이를 위해 제도적으로 소수점 3자리까지 등록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여 운용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