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welfare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서비스공간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 22개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rogram Space Layou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 Case study of 22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Honam Province -)

  • 유은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1-110
    • /
    • 2007
  • 현재 노인복지회관은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여가시설로 규정되어, 각 시도별로 건립되고 있지만, 각 시설 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로 인해 각 자치단체별로 건립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호남지역의 경우 2005년 36개소가 운영 중이며 노인복지회관의 건립 형태를 보면, 노인인구를 고려하여 건립되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져되고 있어 이용서비스프로그램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간구성계획이나 면적구성계획들에 관한 세부계획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을 조사대상으로 연면적분류에 따른 이용서비스프로그램 공간분류와 공간위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이용공간으로 상담지도공간, 의료재활공간, 사회교육공간, 복리후생공간, 관리공간의 각 시설의 공간규모와 구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연면적에 따른 이용서비스공간구성과 규모를 분석하여 향후 노인복지회관의 공간구성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폐교활용 노인요양시설의 유형별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Type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by Remodeling Closed School)

  • 김재영;이종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69-76
    • /
    • 2013
  • With people leaving the countryside to the cities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drastic reduction of school children due to low birthrate, nationwide, total 3,438 schools have been shut down following the closed schools policy. Consequentl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ctive in selling, utilizing, and leasing the closed schools but there are still 466 closed schools that need to be addressed quickly. In addition to this phenomenon, aging popul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nd demand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population is also increasing as a result. However, the supply of welfare services remains inadequat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attempt to solve both local and social problems at the same time, caused by the closing of schools and an aging population, through the use of closed schools as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suggests plans for per-unit space according to its type, and prototype, through research analysis of practical use, based on case studies. With the conclusions of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rawn from its type, we are hoping to be able to use this study by adapting its type, or mixing, according to one's needs.

농촌지역 고령자 보건∙의료∙복지 집약시설내 서비스연계에 대한 직원의 의식조사 - 일본 동북지방의 궁성현(宮城県) 남향정(南鄕町)과 산형현(山形県) 서천정(西川町)을 대상으로 - (A Survey of Employees' Perception on the Service Network of Concentrated Arrangement of the Health,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Elderly in Japan - Focused on Miyagi-ken Nango-cho and Yamagata-ken Nishigawa-cho in Tohoku area of Japan -)

  • 남윤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1-48
    • /
    • 2008
  • Recently, Rural village of japan are enlarging and enriching the service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oncentrated arrangement of the three types of facilities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especially for the small-scale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focus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employees who work in the facilities to evaluate service network. Using this survey data, it is used to make a plan of intensive arrangement. As a result, their satisfaction with concentrated arrangement was considerable high. In particular,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service network between Medical and Welfare. Due to increasing outpatients,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has contributed to hospital funds and given emotional security to the aged in welf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service network effect,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management of health facilities(local governments) is needed.

  • PDF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자치법규 내용에 관한 분석 : 서울특별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elf-Regulations Relating to Deleg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Private Sector by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Seoul Autonomous Region)

  • 오세민;박지현;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65-176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과 관련하여 최근 학계와 현장에서 활발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에 관한 자치법규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타 기초자치단체에 제 개정될 자치법규의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5년 5월 1일을 기준으로 자치법규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서울특별시 자치구에서 제정한 자치법규를 수집하였으며, 최항순(2003)이 제시한 민간위탁 단계에 따라 조항의 존재여부와 내용구성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첫째, 수탁자 모집단계에서 모집공고나 적용시설 유형의 명확성, 위탁기간의 이원화, 둘째, 수탁자 선정단계에서 수탁자 선정기준과 위원회의 위원장 선출방식의 개선, 셋째, 행정기관의 관리감독에 관한 조항, 넷째, 재위탁 단계에서 위탁사무에 관한 평가와 심의에 관한 조항의 전반적 보완과 더불어 투명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적용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ommunity System for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Healthy Families Center and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강기정;박수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125-144
    • /
    • 2013
  • This aim 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ase management and management in general from the case manger's perspective, as well as case mangers' abilities and networks. We also propose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ntegrated family-centered community management system. Regarding the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1 case managers fr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city of C. The interviews consisted of open-ended questions i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of case management, case managers' abilities, case management environments, and local community networks. According to the interview analysis, a total of 16 subcategories in 9 categories and 4 domains have been identified. Due to the ambiguity regarding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was completely dependent upon individual case managers' abilities. In particular,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was found to exist in several organizations in the same region. In terms of case management environments,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observed: absence of related departments and staff, confusion regarding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limitations in sharing information among organizations, limitations in resource exploration and management, redundant support, and an uncomfor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Horizontal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are essential to establish and facilitate a local community network. After all, to establish a local family-centered community case management system, the roles of a Healthy Families Center and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s parts of a family-centered transfer system should be fully emphasized in local society, and the performance of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 PDF

주거복지에 대한 이론적 개관 및 향후 정책과제 (Theoretical Overview of Housing Welfare and Future Policy Issues)

  • 김영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7-134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housing welfare' which constitutes an important theme of discussion today and to present some future policy issues. Recently, the expression 'housing welfare' is widely used in our daily life and written in some laws, but its concept is still ambiguous. Housing welfare can be defined as 'the situation in which citizens gain access to a decent housing and adapt themselves well to the community life. In this context, the goals of housing welfare policy should be as follows: reduction of the number of households living below the minimum standard in housing, promotion of the right to housing, housing provision and management based on housing needs, linkage of housing and other welfare measures, realization of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But, there are still some controversies on such questions as target group, moral hazard of beneficiaries, social equity, etc. To get all the policy alternatives more effect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general infrastructure of welfare policies, to prevent NIMBY phenomenon of local actors, and so on.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ory Study about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 조혜진;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59-183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관리자 및 사회복지사들의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복지재단에서 공모한 사업에 참여한 22곳의 지역사회복지관 중 6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근무하는 최고 관리자를 포함한 라인워커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6)의 지속비교 분석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도출된 연구결과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한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의 단계는 '인식전환의 단계', '상호소통의 단계', '협업확대의 단계', '주도성 구축의 단계'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주민 중심으로 복지관의 관점을 전환하여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신뢰적 관계망의 회복을 통해 주민공동체 조직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결과는 복지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는 이론적 실천적 논의에 기초자료로 제공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 PDF

장애인복지비 지출의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Capital Expenditures)

  • 김금환;박애경;김윤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121-131
    • /
    • 2012
  •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이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장애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장애인복지예산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수도권 3개 지자체의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조 3천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8,015.9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7,673.2명의 고용 및 26,825.2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사회복지예산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장애인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PDF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기금의 성격분석:6대 도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Funds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6 Major Cities)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72-1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6대 도시 사회복지기금 규모 및 성격 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기금의 현주소를 구체화하고, 사회복지기금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과 학술적 연구를 증진시키는데 있다. 기존의 기금관련 연구는 연금과 같은 거대기금에 집중되어 있어서 지역문제 해결에 실질적 도구로 작동할 수 있는 지자체 사회복지기금과 관련한 연구 성과가 미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금규모(기금조성액 및 집행액 추이, 기금계정별 규모와 일반회계 규모 비교), 기금사업 성격(기금계정별 기금사업규모 비교, 기금계정별 사업내용, 기금계정별 예산성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금운용의 유지, 축소, 확대 3유형에 따라 기금규모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금과 일반회계 규모를 비교하였을 때 기금은 일반회계의 0.02~1% 규모로 미비하였다. 셋째, 기금사업은 자활중심의 빈곤감소 성격이 강하였다. 넷째, 일부 지자체의 경우에는 사회복지기금과 여성기금이 혼재되어 사회복지기금의 정체성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다섯째, 기금사업은 일반회계사업과 달리 민간이전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금규모 증대, 저소득층 빈곤감소를 위한 자활사업의 다각화, 사회복지기금 정체성 확립, 공공과 민간의 거버넌스 확립을 제안하였다.

로컬푸드의 소비자 지식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로컬푸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Knowledge and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Local Foods: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 오지현;홍은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97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nsum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o local foods on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hree-week online survey of 500 household food purchasers who had bought local foods within the previous yea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local food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married people had more knowledge of local foods than singl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college graduates and higher had more knowledge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lower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s local food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ed people more than single peopl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people in their 30s more than those in their 20s according to age and college graduates and higher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lower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local foo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s local food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ccording to age, and housewives had the lowest purchase intention towards local foods according to occupation. (Ed- I cannot understand: the se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ccording to age, and housewives had' is confused) People engaged in office/specialized/managerial jobs and those engaged in production/sales/service ha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In regard to monthly average income, households that made less than KRW 4 million had the lowest purchase intention, and those that made KRW 4-8 million ha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knowledge of local foods affected attitudes towards local foods. Fifth, attitudes towards local foods affect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people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local foods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