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vestigatory Study about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5.15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eply investigate the process experience of making the local organization with the supervisors and the social workers-in-field with the research question, 'how is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is, 6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selected among 22 ones participated in the public contest of Seoul Welfare Foundation, and 15 line workers including the top supervisors working ther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The interview source materials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sistent comparison of Strauss and Corbin(1996).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roject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lea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indicated 4 phases such as 'the step of change of recognition', 'the step of mutual communication', 'the step of cooperation expansion', and 'initiative construction'.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pposed political and practical tasks for promoting that local residents voluntarily build the community and the change of paradigm that is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local residents. Also, this study will be relevant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ffered as base line data for exten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building community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community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관리자 및 사회복지사들의 마을만들기 사업 과정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복지재단에서 공모한 사업에 참여한 22곳의 지역사회복지관 중 6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근무하는 최고 관리자를 포함한 라인워커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6)의 지속비교 분석방법을 활용해 분석한 것이다. 도출된 연구결과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도한 마을만들기 사업과정의 단계는 '인식전환의 단계', '상호소통의 단계', '협업확대의 단계', '주도성 구축의 단계'의 네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에서 주민 중심으로 복지관의 관점을 전환하여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신뢰적 관계망의 회복을 통해 주민공동체 조직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원활한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결과는 복지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는 이론적 실천적 논의에 기초자료로 제공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