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institutions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11초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민간기록관리 운영과 현황에 관한 연구 서울기록원과 경남기록원을 중심으로 (An Study on the Operation and Current Status of Non-public Records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Archives : Focused on the Seoul Archives and Gyeongnam Archives)

  • 김지호;윤은하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273-309
    • /
    • 2022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논의는 2000년대 초기부터 시작되었다. 법률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1999년에 처음 등장하였고, 2007년 지자체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실질적인 설치는 법 개정으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후인 2018년 경남기록원, 2019년 서울기록원의 설립으로 실현되었다. 그리고 2021년 현재는 경기도를 비롯해 여러 지자체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이지만, 실질적인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운영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고 있지 않다. 특히 오랫동안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사명이라고 여겨지던 민간기록관리는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모호하다. 이에 본 논문은 민간기록관리를 중심으로 이제껏 이루어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관한 논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운영 중인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 등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현황을 통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민간기록관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경기도 지역 지방자치단체 노인복지시설의 효율성 격차 분석 (Analysis of Efficiency Gap of Local Governments' Aged Welfare Institutions in Gyeonggi-do Province)

  • 윤의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74-788
    • /
    • 2009
  •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27개 기초자치단체의 노인복지시설의 상대적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12개 자치단체의 노인복지시설이 각각의 준거집단들에 비해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기도 내 지역 간에 노인복지서비스의 효율성 측면에서 격차가 있음을 의미한다. 노인복지시설의 효율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경기도 지역 전체를 보았을 때 산출변수 중에서는 노인복지예산(노인1인당복지비), 투입변수 중에서는 복지시설의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자치단체별로는 영향력 변수가 각기 다르다.

  • PDF

The Primary Care Performance of Three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 Public Survey using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 Jung, Hye-Min;Jo, Min-Woo;Kim, Hyun-Joo;Jang, Won-Mo;Lee, Jin-Yong;Eun, Sang-Jun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25
    • /
    • 2019
  • Purpose:The healthcare system of South Korea is at the extreme of the dispersed system. Few regulations limit patients from directly visiting higher-level medical institutions for prima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s a result, similar to local clinics, general and tertiary teaching hospitals also provide diverse primary care services. Our study aimed to examine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s of their primary care performance. Methods: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000 adults who were living in South Korea with the aid of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Korean Primary Care Assessment Tool (KPCAT). The KPCAT consists of five domains, which are the main indicators of primary care performance: first contact, comprehensiveness, coordination, personalized care, and family/community orient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KPCAT scores across the three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Domain-wise analyses revealed two different patterns. With regard to first contact and its subdomains, the highest and lowest scores emerged for local clinics and tertiary teaching hospitals, respectively. However, the other four domain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local clinics than for the other two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Conclusions: Local clinics were perceived to be medical institu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primary care. However, the general public perceived only one domain of their primary care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other two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first contact. National efforts should be taken to strengthen their other four domains of primary care by training their workforce and providing appropriate incentives.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 - 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Institution for Family-Friendly Community Initiated by Local People - The Case Study of Livable Community Making Projects -)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4호
    • /
    • pp.77-100
    • /
    • 2010
  • Locals' initiating the community making projects is considered as a good approach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government's budget. But there are not the local institutions' support, while local people alone may face difficulties in starting and managing the project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s of the institutions for starting and managing the family-friendly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18 secondary source cases from the livable community making projects were analyzed. 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ocal) institutions need to gain credibility from the locals before starting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project. In the motivation steps, the institution performs the role of a proposer, a survey researcher, an opinion gatherer and mediator. In the systematization steps, the institution needs to perform as a mentor, a developer of human and non-human resources, a conflict mediator, an education practitioner, an instructor, a networker, and an administrative staff. In the execution steps, the institution needs to perform as a cultural program planner, a public relations personnel, and an assessor. In conclusion, the institution needs to train community coordinator and develop programs to educate local residents for the effective family-friendly community projects.

  • PDF

An Assessment of ICT Infrastructure, Deployment and Application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 Research Institutions in Ghana

  • Kwafoa, Paulina Nana Yaa;Entsua-Mensah, Cle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9-48
    • /
    • 2021
  • The paper discusses the ICT infrastructure as far as the availability of (computers, local or wide area networks, Internet connectivity and its reliability, size of the bandwidth and its optimization, etc.) in the S&T research institution. It also examined the profile of the research scientists and looked at the type of ICT infrastructure that is available for their use as well as the reliability of the Internet connectivity within these research institutions. It looked at the broadband capacities of the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ICT capabilities in respect of the technical and managerial support back-up that are available to the research institutions. The study us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with a questionnaire as well as personal observation to gather the data. From the data gathered, it was realized that the internet connectivity and the size of the bandwidth that the R&D institutions subscribed to differed significantly. Again, the extent to which the research scientists were able to access the internet in their respective institutions depended on the quality of the local network in place. Generally, the investments in ICT were made for different management objectives, and these were meant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new knowledge as well as make measurable improvements in R&D activities.

지방의료원의 선택요인분석을 통한 복합적인 의료서비스 전략 구축 (Through a selection factor analysis of the local healthcare institutions Building complex medical services strategy)

  • 이진우;안상윤;이종형;이무식;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97-307
    • /
    • 2015
  • 본 연구는 접근성과 의료서비스 품질, 대외적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향후 지방의료원이 지역 내 대표의료기관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영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604명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NOVA, 공분산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론을 보면, 의료기관 선택요인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나 선호도가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는 앞으로 지방의료원이 의료서비스 전문화 전략을 수립할 때 주요 고객집단의 욕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료원이 진료비 수준에 대한 치료효과와 타 의료기관에 비해 저렴한 진료비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요인으로 이에 따른 이미지 부각과 의료서비스의 질의 향상을 극대화하여 의료소비자들을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유형과 시사점 (Participatory Budgeting's Types and Policy Implications by Participatory Institutions and Participatory Levels)

  • 윤성일;임동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53
    • /
    • 2016
  • 본 연구는 2011년에 개정된 "지방재정법"에 의해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행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참여기구와 참여수준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243개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조례"와 운영계획 및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의견제시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참여기구 없이 운영되는 형태로 10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원회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만 운영하는 형태로 85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회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와 지역회의를 운영하고 있거나 지역위원회만을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21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민관협의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민관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30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권한위임형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사업박람회 또는 모바일 참여를 운영하거나 양자를 모두 운영하고 있는 형태로 7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이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의견제시형과 위원회형이 전체의 76.5%를 차지하고 있어서 제도화 수준이 높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더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참여기구로서 민관협의회, 사업박람회 및 모바일 참여 등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 분석 연구 -혁신도시내 공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Contribution A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in Wonju Innovation City-)

  • 이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1-370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공헌에 대한 기존 연구자료를 통해 사회공헌의 중요성과 그동안의 진전과정을 살펴보고 강원원주혁신 도시내에 입주해 있는 공공기관들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총 14개의 공공기관 중에서 9개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근의 경향은 단순 기부나 후원 형태의 사회공헌보다는 공익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 협력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둘째, 일회성 단발성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사회와 파트너쉽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여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일방적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시민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경제를 창출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협력과 국제 의료관광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센텀 메디컬 파트너스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Network on Medical Association and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 Based on Centum Medical Partners -)

  • 박기수;배종철;최봉준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9-71
    • /
    • 2014
  • Purpose. Medical tourism is recently becoming a new industry with great growth potentia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shifting medical tourism from simple cultural tourism 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with a new paradigm. Methods.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positive support and marketing polic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concerning foreign patient attraction to the medical law in 2009, and various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around the country has participated actively in medical tourism by themselves or in cooperation of government bodies and made increasingly greater performance.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have been making efforts to see more development and profitability in diverse ways, including medical tourism for foreign patients and the advance of the Korean medical institutions into foreign markets. However, many local governing bodies and medic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medical tourism around the country have primarily focused on examination and treatment on the basis of foreign patients' visit to South Korea and rarely built a medical network with other countries directly for medical tourism.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building a local medical network and a network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successfully on the basis of the local medical association, CMP, which has been formed naturally in Busan. The success factors for CMP included 1) enthusiasm of the official in charge; 2) the medical level, the service level, and open-mindedness of participant medical institutions; 3) cost efficiency due to executive office management with no costs, no conflicts, and constant partnership; 4) security of non-competitive expertise for participants; 5) local factors of CMP; 6) participation of good agencies; 7) reinforcement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8) post facto management and local doctor management. Conclusions. Its positive effects included patient introduction and greater profitability on an internal basis as well as construction of the collaboration system with the institutions related to medical tourism and confidenc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t is still difficult to predict performance due to the short period of their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observe their constant activities since a single medical association was involved.

창업 인프라 기관의 지역 고용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N사 파트너스퀘어를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the Entrepreneurial Infrastructure Institution on the Regional Employment: Focusing on the Partner Square of N Company)

  • 김종성;심재훈;김도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3-231
    • /
    • 2020
  • 정부와 민간기업에서는 현재의 청년실업을 극복하고 청년창업 및 지역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창업 인프라 기관을 지역 내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창업 인프라 기관이 예비창업자들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 지역 창업 인프라 기관이 지역 고용에 과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N사의 창업 인프라 기관인 파트너스퀘어를 대상으로 규명해 보고, 향후 창업 인프라 효과성 검증 관련 후속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N사 파트너스퀘어의 지역 고용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정부통계데이터인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의 원자료를 계량모형인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트너스퀘어 서울의 설립은 서울 청년층의 취업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파트너스퀘어 부산의 설립은 2017년 5월~2019년 7월 기간에 평균 취업자 수(575천 명)의 약 3%를 상승시켜 지역 청년취업자수를 약 1만 7천 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트너스퀘어 광주는 설립된 후 2018년 9월~2019년 7월 기간에 평균 취업자 수(267천 명)의 약 1.7%인 4천 5백 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창업 인프라 기관인 파트너스퀘어 부산과 광주가 지역의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창업교육프로그램 및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창업자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역 고용을 활성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창업 인프라 기관이 지역경제 및 고용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정부통계데이터를 통해 탐색적으로 실증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추후 연구에서는 정부의 산업육성정책, 파트너스퀘어 이외 창업 인프라 기관 등 지역 고용효과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외생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