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ivar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2초

고추 더뎅이병 저항성 계통의 세포질웅성불임 관련 핵내유전자형 검정 (Testing Bacterial Spot Resistant Lines of Capsicum Pepper for Nuclear Genotype Interacting with Male Sterile Cytoplasm)

  • 김병수;황희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16
    • /
    • 1998
  • Capsicum pepper selections fro PI163192, PI241670, PI244670, PI271322, PI308787, PI322719, and PI369994 were confirmed to be non-hypersensitively resistant to race 3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A resistant cultivar,‘SR’, was shown to be hypersensitive. Four Koran local cultivars, a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A-line) and its maintainer (B-line)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selections and cultivars were crossed with a male sterile A-line (Smsms) and fertility of their F1 hybrids was examined by observing he pollen production, testing pollen germination, and quantifying the amount of pollen produced per anther to identify the genotype interacting with the male sterile cytoplasm. The seven resistant PI selections turned out to be restorers (N(S)MsMs) and‘SR’to be a maintainer (Nmsms).

  • PDF

세균 분리주 KTB61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 감염 억제 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Bacterial Isolate Pseudomonas sp. KTB61 against Tobacco Mosaic Virus(TMV) Infection to Tobacco Plants)

  • 김영숙;여운형;유승헌;김갑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2
    • /
    • 2002
  • During the screening or antiviral substances having inhibitory effect on tobacco mosaic virus(TMV) infection to tobacco plants, we found that a bacterial isolate, KTB61, which was identified as a Pseudomonas sp., strong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TMV local lesions. When the culture filtrate from KTB61 wa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leaves of N. tabaccum Xanthi-nc tobacco at the same time of or 24 hours before TMV inoculation, almost complete inhibition was achieved. Incidence of systemic TMV infection to the susceptible tobacco cultivar, NC82, was reduced by 95% when TMV was inoculated onto the upper surface of leaves 24 hours after spraying the culture filtrate. Also 75∼80% of inhibitory effect was obtained by the inoculation of TMV onto the under surface of the leaves treated with culture filtrate 24 hours beforehand. In field trials, the TMV infection was reduced by 96.5% when the tobacco seedlings, N. tabaccum cv. NC82, were soaked with culture filtrate before transplanting.

재식밀도차이가 단작택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Alisma plantago L. in Mono Cropping)

  • 최달호;장영석;권병선;신종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4-37
    • /
    • 2000
  •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in Alisma plantago in the southern areas of Korea, Alisma plantago local cultivar was grown under different planting density. The plant height, number of stems and diameter of root were 30cm, 12 and 3.4mm respectively on the planting density, row 20cm $\times$ intrarow 35cm. The fresh yield of root and dry yield of root were 261.2Kg110a, 211.5Kg/10a respectively on the planting density, row 20cm x intrarow 35cm. Therefore, the proper planting density for high yield bumper crop of Alisma plantago for exporting to Japan is planting density with row 20cm $\times$ intrarow 35cm.

  • PDF

구약감자 수집종들의 시비 및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 (Fertilizer and Row-spacing Effects on Growth and Yields in Amorphophallus konjac K.)

  • 이희덕;노태홍;최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27
    • /
    • 1992
  • 본시험은 구약감자의 수량향상을 위해 시비적량과 재식거리에 따른 품종비교시험에 관해 국내수집종 3개와 외국수집종 2개를 공시하여 이들에 대한 생육과 수량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요소 성분량은 적정시비량은 N-P$_2$ $O_{5}$-K$_2$O를 14-10-11kg/10a로 처리했을때 경장이 21.1cm 엽폭 15.1cm로 무처리에 비해 경장이 3.2cm 엽폭이 2.0cm 신장하였고 수량도 10a당 393kg으로 무비구에 비해 62% 증수되었다. 2. 자구크기별 적정재식거리는 출아기, 출아율에 차이가 없고 주당에서는 자구의 크기가 크고 재식거리 50$\times$25cm에서 경수, 자구수가 증가한 반면 수량은 50cm$\times$15cm 밀식구에서 증가하였다. 3. 수집종에 대한 파종후 출현시기는 대부분 60여일 소요되어 전체적인 생육기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4. 품종비교시험에서는 전수집종이 생육기간이 짧아 단위면적당 수량이 낮았으며 국내수집종중 제천수집종이 경수 3.1개와 자구착생수 3.6개로 가장 많아 번식용으로 적당하였고 수량은 일본 수집종에서 높은편이었다.

  • PDF

고추 주요 재래종 선발계통의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Selections from Local Cultivars of Pepper)

  • 권영석;김병수;정호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17-123
    • /
    • 1992
  • 우수한 재래종(在來種)에 더뎅이병과 역병 저항성(抵抗性) 인자(因子)를 도입(導入)하기 위한품질친(品質親)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칼미초'에서 선발한 20계통과 '풍각초'에서 선발한24계통을 공시하여 본(本) 대학(大學) 시험포양(試驗圃楊)에 재배(栽培)하여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 초장 및 과실특성을 조사(調査)하였다. '칼미초'와 '풍각초' 선발 계통(系統)들은 모두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가 많은 만생종(晩生種)이었고, '칼미초' 계통들이 '풍각초' 보다 변이복(變異福)이 더 크게 나타났다. '칼미초'의 일부 계통(系統)들은 초세(草勢)가 강하고 당도(糖度)가 높으며 포양(圃楊)에서 바이러스에 저항성(抵抗性)으로 나타났다. '풍각초'의 일부 계통(系統)은 과종(果種)이 무거운 대과종(大果種)이었으며 과피가 두텁고 제분율(製粉率)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서 더뎅이병과 역병에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을 육성하기 위한 여고잡육종에서 반복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材料)로 '칼미초' 계통 6, 9, 14, 18과 '풍각초' 계통 14, 16, 18등 7계통(系統)을 선발(選拔)하였다.

  • PDF

경기도 화성시 벼 재배지의 기후스마트 농업 기반의 평가 (Climate-Smart Agriculture(CSA)-Based Assessment of a Local Rice Cultivation in Hwaseong-city, Gyeonggi-do)

  • 주옥정;소호섭;이상우;이영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2-40
    • /
    • 2022
  • BACKGROUND: Climate-smart agriculture (CSA) has been proposed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in an agricultural ecosystem disturbed by climate change. However, scientific approaches to local agricultural ecosystems to realize CSA are rare.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weather condition, rice produc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rice cultivation in Hwaseong-si, Gyeonggi-do to fulfill CSA of the rice cultivation. METHODS AND RESULTS: Over the past 3 years (2017~2019), Chucheong rice cultivar yield and methane emissions were analyzed from the rice field plot (37°13'15"N, 127° 02'22"E) in th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located in Gisan-dong, Hwaseong-si, Gyeonggi-do. Metha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automated closed chambers installed in the plot. The weather data measured through automatic weather station located in near the plot were analyzed. CONCLUSION(S): The rice productivity was found to vary with weather environment in the agricultural ecosystem. And methane emissions are high in a favorable weather condition for rice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trade-off betwee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target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for CSA in a local rice cultivation.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 '조생흑찰' (A New Early Maturing Blackish Purple Pigmented Glutinous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 송유천;이점식;하운구;황흥구;임상종;여운상;박노봉;곽도연;장재기;이종희;박동수;정국현;정응기;남민희;김영두;김명기;권오경;오병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2-266
    • /
    • 2010
  • '조생흑찰'은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4년도에 육성한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3일로 조생종이며 간장은 65 cm정도이고 현미외관은 흑자색인 찰벼 품종이다. 2. 불시 출수율이 일반 조생종 품종과 비슷한 수준이며, 위조는 강한 편이고 성숙기의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흑남벼'와 비슷한 정도의 내냉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발아는 '흑남벼'에 비해 강한 편이며 포장도복도 강한 반응을 보였다. 3. 잎도열병은 중정도 저항성 반응을 보이면서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검은줄오갈병 등 바이러스병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벼멸구, 애멸구 등 주요 해충에는 약하다. 4. 백미 완전미율은 '흑남벼' 보다 높았으며 현미 장폭비가 2.12로 약간 긴 편이며 종피는 흑자색으로 안토시아닌함량이 '흑남벼'에 비해 높은 흑자색 찰벼이다. 5.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7개소에서 432 kg/10a로 '흑남벼' 보다 14% 감수되었으며, 남부평야 이모작재배 1개소에서는 463 kg/10a '화성벼'에 비해 1% 감수하였고, 만식재배에서는 '화성벼' 대비 415 kg/10a로 5% 증수 되었다.

조생 고품질 벼 신품종 '조아미' (A New Early-Maturing, High Quality Rice Cultivar 'Joami')

  • 강종래;남민희;곽도연;정진일;김대식;김정일;송유천;여운상;이종희;박노봉;박동수;이기환;조준현;김춘송;이지윤;전명기;신문식;오병근;강항원;안진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5-622
    • /
    • 2010
  • '조아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중산간지 재배에 알맞은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일본품종 'Yukara'와 중국품종 'Tonggae112'가 교배된 조합에 밥맛이 좋은 '삼백벼'를 삼원교배한 이후 계통육성시험에서 YR20557-1-1-3-B-3을 선발하였고,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에 공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아 '상주 36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상주 36호'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에서 표준품종 대비 그 수량 및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조아미'로 명명하였다. '조아미'는 중북부평야지. 중부중산간지 및 동북부 해안지에 적응성이 높은 조생 고품질 벼 품종으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북부평야지 보비재배에서 7월 28일로 '화성벼'에 비해 15일정도 빠르고, 남부중산간지, 중부중산간지지 및 동북부 해안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7월 30일로 '오대벼'의 출수기와 같은 조생종이다. 2. 이삭 길이는 18 cm 정도로 다소 짧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추출은 양호한 편이다. 까락이 해에 따라 다소 발생하며 탈립은 안되는 편이다. 3. '오대벼' 대비 주당수수가 많고 수당립수는 비슷하며 등숙비율은 높지만 현미 천립중이 다소 가벼운 20.6 g의 소립종이다. 4. 쌀의 완전미율이 '오대벼' 보다 높고, 심복백이 없으며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밥맛이 양호하다. 5. 도열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과 바이러스병에는 약하며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6. 전국 9개소 3개년의 지역적응성시험에서 수량성은 5.4MT/ha으로 '오대벼' 대비 6% 증수되었다.

경북지역(慶北地域)에서 재배중(栽培中)인 작약(芍藥)의 Paeoniflorin 함량분석(含量分析) (Analysis of the Content of Paeoniflorin in Peony Roots Cultivated on Kyeongbuk Area)

  • 김태강;주길재;정재동;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15-28
    • /
    • 1996
  • 주(主) 재배품종인 의성종과 영천종의 유효성분을 HPLC 및 TLC로 분석한 결과 주(主)성분인 paeoniflorin 함량은 의성종이 영천종보다 높으며 albiflorin과 oxypaeoniflorin의 함량을 두 재배종에서 비교하면 의성종은 albiflorin 함량이 많고 영천종은 oxypaeoniflorin의 함량이 많았다. 생산지에 따른 paeoniflorin의 함량차이는 2.15% 에서 4.08% 의 범위였고 의성과 거창의 것은 비슷하였으며 영천의 것이 가장 낮았다. 18종의 재배종들은 품종에 따라 다양한 paeoniflorin 함량 차이를 보이며 작약성분분석의 HPLC 크로마토그랍을 albiflorin, oxypaeoniflorin 및 paeoniflorin 피크를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크게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할수 있었다. 이 세가지 유형은 의성종 패턴 9종, 영천종 패턴 4종 풍기표준종패턴 5종 이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작약의 paeoniflorin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3월과 9월에 수확한 것이 낮았으며 5월과 11월에 수확한 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이 높았다.

  • PDF

고품질 복합내병성 조생종 벼 신품종 "주남조생" (A New Early Maturing Rice Cultivar "Junamjosaeng" with Multiple Disease Resistance and High Grain Quality Traits)

  • 이종희;여운상;이점식;강종래;곽도연;박동수;조준현;송유천;박노봉;김춘송;이기환;임상종;오병근;신문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9-153
    • /
    • 2009
  • "주남조생"은 소득작물 전 후작에 적응하는 벼를 육성하고자, '98/'99년 동계에 밥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고시히까리에 밀양165호(주남벼)를 2회 여교배하여 육성한 조생종 단기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남조생의 영남 평야지의 소득작물 후작 만기재배에서 8월 26일로 "금오벼"보다 6일 빠른 조생종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금오벼보다 2개 많은 편이고, 수당립수는 약간 적은편이며 현미천립중은 금오벼보다 약간 무거운 편이다. 2. 불시출수는 금오벼보다 덜 되는 편이지만 수발아는 금오벼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금오벼와 비슷하며, 성숙기 임실율은 78%로 금오벼보다 높은 편이다. 3. 잎도열병 저항성반응은 금오벼와 비슷한 수준이며, 흰잎 마름병 레이스 $K_1$, $K_2$$K_3$에 저항성이며, 바이러스병은 줄무늬잎마름병에만 저항성이고, 벼멸구등 해충에는 감수성이다. 4. 쌀알은 맑고 심복백은 없다. 아밀로스 함량은 19.8%이고 단백질함량은 6.7%로 금오벼와 같고 밥맛은 금오벼보다 약간 양호하며, 도정수율은 금오벼와 약간 높은편이다. 5. 쌀수량은 '04~'06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4.43 MT/ha로 금오벼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