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Early Maturing Blackish Purple Pigmented Glutinous Rice Variety, 'Josaengheugchal'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 '조생흑찰'

  • Received : 2010.04.2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Josaengheugchal', a new blackish purple pigmented glutinous japonica rice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in 2004.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ohoku 149' as black glutinous source and 'Sx 864' as purple colored rice in 1992 and 1993 winter season, and selected by pedigree breeding method until $F_6$ generation. As a result, a promising line, YR15907-6-8-1-5, was advanc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Milyang 194' in 2001. The local adaptability test of 'Milyang 194' was carried out at seven locations from 2002 to 2004 and it was named as 'Josaengheugchal'. 'Josaengheugchal' is an early maturing cultivar and has 71 cm culm height. It has higher anthocyanian content compared with 'Heugnambyeo'.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leaf blast but susceptible to other disease and insect pests. The yield potential of 'Josaengheugchal' in brown rice was about 4.21 MT/ha at ordinary fertilizer level in local adaptability test. This cultivar would be adaptable to the plain paddy field of middle, Honam, and Yeomgnam in Korea under ordinary and double cropping system.

'조생흑찰'은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4년도에 육성한 조생 흑자색 찰벼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3일로 조생종이며 간장은 65 cm정도이고 현미외관은 흑자색인 찰벼 품종이다. 2. 불시 출수율이 일반 조생종 품종과 비슷한 수준이며, 위조는 강한 편이고 성숙기의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흑남벼'와 비슷한 정도의 내냉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발아는 '흑남벼'에 비해 강한 편이며 포장도복도 강한 반응을 보였다. 3. 잎도열병은 중정도 저항성 반응을 보이면서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검은줄오갈병 등 바이러스병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벼멸구, 애멸구 등 주요 해충에는 약하다. 4. 백미 완전미율은 '흑남벼' 보다 높았으며 현미 장폭비가 2.12로 약간 긴 편이며 종피는 흑자색으로 안토시아닌함량이 '흑남벼'에 비해 높은 흑자색 찰벼이다. 5. 수량성은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7개소에서 432 kg/10a로 '흑남벼' 보다 14% 감수되었으며, 남부평야 이모작재배 1개소에서는 463 kg/10a '화성벼'에 비해 1% 감수하였고, 만식재배에서는 '화성벼' 대비 415 kg/10a로 5% 증수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hen PN, Kuo WH, Chaing CL, Chiou HL, Hsieh YS, Chu SC. 2006.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 163:218-229. https://doi.org/10.1016/j.cbi.2006.08.003
  2. Cho SY, Park RK, Heu MH. 1998. Plant Breeding in the 21st Century. Korean J. Breed. Sci. 20(Supple):3-8
  3. Park YS, Kim SJ, Chang HI. 2008.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1):55-60.
  4. 박래경, 조수연. 1990. 쌀품질의 고급화 육종현황과 금후전략. '90 수입개발대책 pp. 45:30-40.
  5. 영남농업시험장. 2001. 시험연구보고서.
  6. 한국쌀연구회. 2002. 쌀 상품화 및 고부가가치화 생산현황과 개발전략. 한쌀회 총서 12권.
  7. 농촌진흥청. 2002.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pp. 9-163.
  8. 농촌진흥청. 2003.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pp. 9-167.
  9. 농촌진흥청. 2004a. 하계작물 신품종 공동 연구 보고서. pp. 9-161.
  10. 농촌진흥청. 2004b.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 결과. pp. 104-113.
  11. 농촌진흥청. 2004c. 하계작물 신품종개발공동사업과제 수행 계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