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Maxim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1초

Local maxima 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오류역전파 알고리즘 (Developed BackPropagation which solve the problem of Local maxima)

  • 서원택;조범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05-608
    • /
    • 2001
  • 다층 신경망의 학습에 쓰이는 오류 역전파 학습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학습 속도가 너무 느리고 최적의 은닉충의 뉴런의 수를 결정하는 해답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또한 가끔은 국부 최소점(Local maxima)에 빠져 학습이 끝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Local maxima 를 효과적으로 탈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국부 최소점은 연결강도와 전체 오차 사이의 이차원 공간에서 표현할 수 있는데 본 알고리즘은 이러한 연결강도와 오차와의 관계를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결론적으로 Local maxima 를 탈출하게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은 네트웍이 학습중에 Local maxima 에 빠졌을 때 은닉층의 뉴런의 수를 추가하여 인위적으로 연결강도 평면의 위상을 변조시킨다. 또한 은닉충의 뉴런의 수를 동적으로 변화 시키면서 최적의 뉴런의 수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위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XOR 문제와 $10{\times}8$ 영문폰트와 숫자의 학습에 적용하여 일반적인 역전파 학습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의 Local maxima를 탈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thod which escapee from Local maxima of Error-Backpropagation Algorithm)

  • 서원택;조범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313-315
    • /
    • 2001
  •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알고리즘을 은닉층의 뉴런의 수를 학습하는 동안 동적으로 변화시켜 역전파 알고리즘의 단점인 Local maxima를 탈출하고 또한 은닉층의 뉴런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없애기 위해 연구되었다. 본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에 적용하였는데 첫번째는 Exclusive-OR 문제이고 두번째는 7$\times$8 한글 자음과 모음의 폰트 학습에 적용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 네트웍이 local maxima에 빠져드는 확률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습속도 또한 일반적인 역전파 알고리즘보다 빠른 것으로 증명되었다.

  • PDF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의 국부 계수 최대치 및 특이점 검출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Reduction of blocking artifacts using the local moduls maxima and singularity detection in wavelet transform)

  • 이석환;김승진;김태수;이건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6호
    • /
    • pp.109-1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층스케일 에지로부터 특이점 검출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방법을 제안하였다. 블록 부호화된 영상에서 블록화 현상 및 에지와 같은 특이점들은 다층스케일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국부 계수 최대치로 검출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국부 계수 최대치의 Lipschitz 정칙 상수를 이용하여 블록화 현상 및 에지의 특이점들을 구분하고,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블록화 현상에 의한 특이점들을 영역에 따라 스케일별로 제거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객관적 화질 및 주관적 화질 측면에서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컬러 결점을 줄이기 위한 수정된 segment maxima 기반의 색역 추정 (Estimation of Gamut Boundary based on Modified Segment Maxima to Reduce Color Artifacts)

  • 하호건;장인수;이태형;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3호
    • /
    • pp.99-10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segment maxima을 기반으로 한 색역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Segment maxima은 CIELab 공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의 최외각 측정 데이터를 계산하여 색역을 추정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색공간의 분할 개수에 따라서 지역적인 색역 왜곡이 나타나 색역 사상시에 컬러 결점(color artifact)을 발생시킨다. 색공간 분할 개수가 적으면 높은 채도 부근에서 추정된 색역 정보가 분실되어 컬러 컨투어(color contour)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색공간 분할 개수가 많으면 CIELab 밝기 축 부근에서 색역이 오목하게 되는 왜곡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역적인 색역 왜곡은 색역 사상시 결과 영상에 컬러 결점이 유발한다. 제안한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수에 따른 적절한 색공간 분할개수를 설정하여 높은 채도 부근에 색역 축소를 줄이며, 오목하게 나타나는 지역적인 색역 왜곡을 다양한 색역 분할에 따른 색역 경계 서술자(gamut boundary descriptor) 비교를 통해 이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segment maxima보다 정확한 장치의 색역을 추정할 수가 있었고, 결과 영상에서도 컬러 컨투어나 반점과 같은 컬러 결점이 줄어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iDAR자료의 지면정보 추출기법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Ground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from LiDAR Data)

  • 최연웅;최내인;이준환;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통권38호
    • /
    • pp.19-2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LiDAR 자료로부터의 지면정보 추출기법들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특히, 포인트 형태의 벡터자료인 LiDAR 원시자료를 직접 활용하는 기법과 정규격자형식의 DSM 형식으로 변형하여 활용하는 기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정규격자형식의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경계추출 및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는 방법, 평균필터링에 의하여 생성된 추세면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벡터구조의 원시LiDAR 자료를 직접 활용하는 기법으로써 Local Maxima 및 엔트로피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수작업을 통하여 제작된 DEM 및 수치지도의 축척별 오차허용범위를 이용하여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경계검출 및 필터링, 추세면, Local Maxima, 엔트로피를 이용한 각 기법의 DEM의 평균 오차는 0.27m, 2.43m, 0.13m, 0.10m로써 엔트로피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벡터형식의 LiDAR원시자료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이 격자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 PDF

다층스케일 웨이블릿 변환영역에서 특이점 검출 및 Lipschitz 정칙 상수를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Blocking artifact reduction using singularities detection and Lipschitz regularity from multiscale edges)

  • 이석환;권기구;김병주;권성근;이종원;이건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0A호
    • /
    • pp.1011-102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다층스케일 웨이블릿 변환영역에서의 특이점 검출 및 Lipschitz 정칙 상수를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방법을 제안하였다. 블록 부호화된 영상에서 블록화 현상 및 에지와 같은 특이점들은 다층스케일 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 국부 계수 최대치 (local modulus maxima)로 검출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국부 계수 최대치의 Lipschitz 정칙 상수를 이용하여 블록화 현상 및 에지의 특이점들을 구분하고,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블록화 현상에 의한 특이점들을 연역에 따라 스케일별로 제거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PSRN이 0.046~0.42 dB 향상되었고, 복잡한 영역에서 에지의 불연속성이 제거되므로 객관적 화질 및 주관적 화질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변곡점 검출을 이용한 AM-FM 신호의 순간주파수 추정 (Instantaneous Frequency Estimation of AM-FM Signals using the Inflection Point Detection)

  • 임병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081-1085
    • /
    • 2020
  • 변곡점 추출방법을 활용하여 AM-FM신호의 순간주파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AM-FM신호의 국부적인 최대값/최소값을 변곡점 추출법을 활용하여 검출하며, 검출된 인접한 최대값/최소값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여 FM성분의 순간주파수를 추정한다. AM성분의 경우, 검출된 최소값/최대값의 포락선을 먼저 구하고 포락선의 최고값 간의 시간을 계산하여 순간주파수를 추정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FM성분의 주파수가 고정된 경우와 변화하는 경우에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FM성분의 주파수가 일정한 AM-FM신호의 경우, 제안된 방법은 두 주파수 성분을 적절하게 추정한다. FM성분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AM-FM신호의 경우, AM성분의 순간주파수는 적절히 추정되었으나 FM성분의 순간 주파수는 이론적인 주파수에서 편이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국소적인 최고점/최대점 검출로 표본수가 적어지는 효과에 따른 것으로, 저역통과 필터와 같은 후처리로 개선될 수 있다.

Characterization of Ion Fragmentations of Fatty Acids

  • 최성신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6호
    • /
    • pp.573-578
    • /
    • 1997
  • Ion fragmentations of fatty acids such as stearic acid, palmitic acid, myristic acid, and lauric acid were studied using mass spectrometry and semiempirical calculations. The mass spectra of fatty acids showed the distributions of CH₃(CH₂)$_n^+$ and $[(CH_2)_nCO_2H]^+$ fragment ions. The relative ion abundance distributions of $[(CH_2)_nCO_2H]^+$ showed the local maxima at n=6, 10, and 14. The local maximum phenomena were also found in the mass spectra of methyl stearate but not in those of normal alcohols. These local maxima could be explained not by heats of reaction for fragmentation but by the cyclic structures of the molecular ions. The AM1 semiempirical calculations for fatty acids clearly show that the linear structures are more favorable than the cyclic ones for neutral molecules while the cyclic structures are more favorable than the linear ones for ionic molecules. The distances between carboxyl group and methylene of the cylic structures of ionized fatty acids were calculated. The methylene carbons with n=6, 10, and 14 were closer to the carboxyl group than adjacent ones.

ICG 망막영상에서 국부적 특징점 분석에 의한 혈관의 자동 추적 (Automatic Tracking of Retinal Vessels by Analyzing Local Feature Points in IndoCyanine Green Retinal Images)

  • 임문철;김우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3호
    • /
    • pp.202-210
    • /
    • 2002
  • 최근 수년 동안 의료영상에서 혈관의 추출 및 재구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망막혈관 구조의 분석은 망막에 관련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ICG(Indocyanine Green) 기술에 의해 촬영된 망막영상에서 전체 망막혈관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각 혈관의 기울기크기 단면도(profile)로부터 국부적 최대점들(local maxima)과 처리방향을 평가하여 혈관의 외형과 중심을 추출하며, 국부적 최대점들의 방향성분을 비교하여 혈관의 분기점 및 교차점을 감지한다. 본 알고리즘을 환자의 ICG 망막영상에 적용하여 전체혈관이 자동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정확성과 연결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실험결과로 제시하였다.

Morphology-pair 연산과 중간 값을 이용한 심전도 신호의 기저선 변동 잡음 제거 (Removing Baseline Drift in ECG Signal using Morphology-pair Operation and median value)

  • 박길흠;김정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07-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파형에서 P, R, T-wave와 같은 local maxima 신호 영역과 Q, S-wave와 같은 local minima 신호영역을 제거하여 기저선 변동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형태연산을 개선한 morphology-pair 연산을 심전도 파형에 적용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돌출 파형을 제거하고자 중간 값 연산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심전도 임상 데이터인 MIT/BIH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원 신호를 왜곡 하지 않고, 기저선 변동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