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Gamut Boundary based on Modified Segment Maxima to Reduce Color Artifacts

컬러 결점을 줄이기 위한 수정된 segment maxima 기반의 색역 추정

  • Ha, Ho-Gun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In-Su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Tae-Hyoung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 Yeong-Ho (School of Electronics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8.17
  • Accepted : 2010.12.02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for estimating an accurate gamut based on segment maxima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gments in the segment maxima, a local concavity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lightness axis or a gamut is reduced in high chroma region. It induces artifacts or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To remove these artifacts, the number of segm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mples. and a local concavity is modified by extending a detected concave point to the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boundary poi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tours in a uniform color region and speckle artifacts from the conventional segment maxima algorithm are removed.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segment maxima을 기반으로 한 색역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Segment maxima은 CIELab 공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의 최외각 측정 데이터를 계산하여 색역을 추정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색공간의 분할 개수에 따라서 지역적인 색역 왜곡이 나타나 색역 사상시에 컬러 결점(color artifact)을 발생시킨다. 색공간 분할 개수가 적으면 높은 채도 부근에서 추정된 색역 정보가 분실되어 컬러 컨투어(color contour)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색공간 분할 개수가 많으면 CIELab 밝기 축 부근에서 색역이 오목하게 되는 왜곡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역적인 색역 왜곡은 색역 사상시 결과 영상에 컬러 결점이 유발한다. 제안한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데이터 수에 따른 적절한 색공간 분할개수를 설정하여 높은 채도 부근에 색역 축소를 줄이며, 오목하게 나타나는 지역적인 색역 왜곡을 다양한 색역 분할에 따른 색역 경계 서술자(gamut boundary descriptor) 비교를 통해 이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segment maxima보다 정확한 장치의 색역을 추정할 수가 있었고, 결과 영상에서도 컬러 컨투어나 반점과 같은 컬러 결점이 줄어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IE TC 8-03,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Gamut Mapping Algorithms," CIE, (2004).
  2. Jan Morovic, "Color gamut mapping," Wieley (2008)
  3. Kress W. and Stevens M.,"Derivation of 3-dimensional gamut descriptors for graphic arts output devices," TAGA Proceeding, pp. 199-214 (1994).
  4. Raja Balasubramanian and Edul Dalal,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color gamut of an output device," Proceedings of SPIE, vol. 3018, pp. 110-116 (1997)
  5. Bakke A. M., Hardeberg J. Y., and Farup I., "Evaluation of gamut boundary descriptors," IS&T/SID, 14th Color Image Conference, pp. 50-55 (2006).
  6. Morovic J, and Luo. M. R, "Calculating medium and image gamut boundary for gamut mapping,"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vol. 25, pp. 394-401 (2000) https://doi.org/10.1002/1520-6378(200012)25:6<394::AID-COL3>3.0.CO;2-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