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ookstor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 독립서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and Methods to Vitalize the Bookstores : Focused on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 노미령;정경운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85-111
    • /
    • 2020
  • 국내에서 1990년대 중반 등장하기 시작한 독립출판물 시장의 성장과 함께, 2008년에는 이 출판물들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독립서점이 문을 열었다. 2019년 말 기준, 국내 독립서점은 총 466개로, 지난 10년 동안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만큼, 폐점하고 있는 비율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광주지역 독립서점 또한 유사한 상황이다. 뒤늦게 출발해 활발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던 광주 독립서점들의 폐점비율은 전국 평균의 2배를 상회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 독립서점의 현황을 파악한 후, 이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분석해 그 해법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현재 광주 독립서점들은 북큐레이션, 다양한 부대프로그램, 북마켓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큐레이션과 프로그램, 20,30대 특정 연령층에 대한 집중, 수도권의 출판물에 대한 의존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지역콘텐츠 기획·개발을 통한 출판물의 다양화, 취향 기반의 살롱 성격 강화, 독립서점 네트워크 조직화, 독립서점의 체계적 인큐베이팅 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제도적 측면에서, 지역서점인증제, 완전한 도서정가제 시행, 공급률의 공정성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지역 서점에서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in Korean independent bookstores)

  • 주수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71-377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 서점에서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증가하는 지역 서점에 대해 공급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된 사례가 많다. 하지만 실제 사용자의 경험이 산업 발전에 중요하기 때문에 사용자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 서점을 독립서점, 전문서점, 복합서점으로 분류하여, 경험경제의 4가지 경험 영역의 구체적인 경험 요인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수치를 보이는 요인으로 3가지 항목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공급자 기준의 선행 연구들과 달리 실제 사용자인 고객 경험에 초점을 두고 주요 경험 요인을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지역 서점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터넷 서점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on Intentions to Use Online Bookstores)

  • 서창교;정현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1-134
    • /
    • 2008
  • As students can purchase textbooks online or from local bookstores, we proposed a model to study the predictors of textbook purchasing from online bookstores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51 items to assess 10 constructs of the proposed model, where the items used to measure the constructs were adapted from previous literature. Pre-testing and pilot testing of the measures were conducted by selected users of online bookst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purchased and intend to purchase their textbooks from online bookstor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avigation, previous experience, and innov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yer's perception of ease of use. Second, price and delivery servi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yer's perception of usefulness. Third, the perception of ease of use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yer's perception of usefulness. Fourth, the perception of ease of use,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subjective norms all significantly support the purchasing intention in the case of online bookstores.

공공도서관의 희망도서바로대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cal Bookstore Direct Loan Service for Users' Request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 이윤정;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83-107
    • /
    • 2022
  • 경기도에서 시작된 바로대출제 서비스는 지역서점의 매출 상승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창의적인 신규 서비스로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이용자의 희망도서 중복신청으로 인해 공공도서관 장서의 질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지역서점, 바로대출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바로대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과 지역서점의 창의적 협력 방안인 바로대출제는 도서관 자료구입비 예산 확대 및 도서관, 지역서점, 이용자 간의 지속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운영위원회 구성과 설명회 개최, 도서구입비 대비 바로대출제 희망도서 구입비 연구를 통한 기획 수집, 바로대출제 관련 규정 제정, 독서문화서비스 확대, 건전한 이용자층 확대 및 다양한 지역서점 육성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도서관의 다문화자료 입수를 위한 효과적 방안 연구 (Effective Ways for Acquiring Multicultural Materials in Korea)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9-456
    • /
    • 2008
  • 최근 우리사회가 급격히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국내거주 이주민들 의 출신국가에서 생산된 자료의 입수와 제공은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비체계적인 자료입수 방법과 해당 국가의 열악한 출판 및 유통 환경 등으로 인해 다문화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는 일부 도서관들은 다문화자료의 입수에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들의 다문화, 지역학, 어문학 관련 자료입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다문화자료의 효과적인 입수를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PDF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문화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연구 - M50, 뱅크아트1929, 아트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 (Creating Cultural Cluster through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Inner city - Case Studies of M50, BankART1929, ARTPlatform -)

  • 박소연;이경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92-201
    • /
    • 2015
  • This research aims to find planning issues on reuse of an industrial heritage as a cultural cluster and to suggest planning factors which can be referred when designing the similar cases. Analysis standards were formed through reviewing of precedent literatures, and the selected cases(i.e Shanghai M50, Yokohama BankART1929, and Incheon ArtPlatform) were analyzed to identify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planning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analys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arts coexist in one place, and the studios and galleries are designed with high ceilings; (2) The reg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from preserving major architectural elements of previous buildings, and open spaces are provided to promote a variety of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3) Various strategies to overcome disadvantage in location are developed, and the concepts of desig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buildings' exterior as the reused industrial heritage and the cultural cluster; (4) Diverse supports for artists make it possible to gather many competent artists, and the cooperative networks among artists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luster; (5) The cluster runs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and builds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supporting regional art industry or developing linked programs; (6) The cluster serves various functions such as cafes, pubs, restaurants, art shops, and bookstores, and hosts appealing events and festivals to attract many people even who are not interested in arts.

누적합 관리도를 활용한 생활인구 이상치 탐색 (CUSUM Chart Applied to Monitoring Areal Population Mobility)

  • 김형준;손소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41-256
    • /
    • 2020
  • Purpose: Certain places in Seoul such as Shinchon, Hongdae, and Gangnam, often suffer from sudden overflow of mobile population which can cause serious safety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spatial CUSUM control chart in monitoring areal population mobility data which is recently provid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ethods: Monitoring series of standardized local Moran's I enables one to detect spatio-temporal out-of-control status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past patterns. Moreover, we visualize such pattern map for more intuitive comprehension of the phenomenon. As a case study, we have analyzed the female mobility population aged 25 to 29 appeared in 51 Jipgyegu near Hongik university on fridays from January, 2017 to June, 2018. They are validated by exploring related articles and through local due diligenc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insights in figuring out if the change of the mobility population is short-term by particular incident or long-term by spatial alteration, which allows strategic approach in constructing response system. Specific case near popular downtown near Hongik University has shown that newly opened hotels, shops of global sports brand and franchise bookstores have attracted young female population.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our study contribute to planning effectiv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resources to prepare against drastic increase in floating population.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in commercial area analysis and age/gender specific marketing strategy for companies.

서점을 주제로 한 특화거리조성 사례분석 -부산시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Characterized Street Making themed Bookstores -With a Case of 'Bosu-dong Book Street' in the City of Busan-)

  • 신선화;최강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47-458
    • /
    • 2012
  • 본 연구는 특화거리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및 지역 활성화 특화전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부산시의 대표적인 특화거리의 하나인 '보수동 책방골목'을 대상으로 특화거리의 조성내용, 조성주체, 조성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외사례고찰의 대상으로 서점을 통한 특화거리 조성의 대표적인 국외사례인 '헤이 온 와이' 책 마을과 '간다 고서점 거리'를 선정하여 보수동 책방골목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사례의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화거리의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는 책과 관련된 관광 및 출판 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의 활성화와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운영 관리하는 주체는 주민과 상인이 주도가 되고 공공은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주민 상인주도+공공지원'의 형태가 필요하다. 셋째, 특화거리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성과 운영 및 관리의 전 과정에 있어서 주민 및 상인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mployment Analysis of Graduates Major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ase of K University)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25-139
    • /
    • 2012
  •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2006년 8월부터 2011년 2월까지 5년간 취업가능 졸업자 178명을 분석한 결과, 취업실태는 취업 65%, 미취업 32%, 진학 3%로 나타났다. 이 중 취업자 116명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는 정규직 40%, 비정규직 60%로, 직장 유형은 일반회사 29%, 공공도서관 16%,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 대학/학교행정 9%,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 전문도서관 5%로 나타났다. 또 담당직무는 사서업무 38%, 사무업무 30%, 영업/관리 7%, 텔러/판매 7%, 조교업무 5%, 웹/전산 3%, 학원 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로 나타나 40%대의 전공일치도를 보였다. 미취업자(56명)의 희망 진로는 취업준비 57%, 공무원 준비 21%, 교사임용 준비와 미확인 각각 1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제점은 미취업률이 32%에 달할 정도로 높은 점,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취업률이 높은 점, 전공일치도 평균 40%대에 불과한 점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적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것, 전공학생이 정보 분야 일자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 학문분야 차원에서 전공분야에 대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지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