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and Methods to Vitalize the Bookstores : Focused on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지역 독립서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 노미령 ((사)전라도지오그래픽 부설연구소) ;
  • 정경운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05.19
  • Accepted : 2020.06.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Korea, the independent publication market has grown since it came into existence in the 1990s. In 2008, the country's first independent bookstores selling independent publications opened. As of late 2019, there were a total of 466 independent bookstores in Korea and the number of independent bookstores rapidly increased for the last decade. However, the closing rate of independent bookstores is rapidly increasing. This trend is also shown in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Recently, the closing rate of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national averag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s of independent bookstores in the city, analyze the problems facing them, and find solutions.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currently make various efforts such as book curation, management of various supplementary programs, and book markets. However, the bookstores have problems including the curation and programs focused on specific areas, focus on limited generations, dependence on publication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solutions such as diversifying publications through planning and developing of local contents, strengthening the taste-based salon nature, organizing networks of independent bookstores, and systematically incubating independent bookstores. At the system level, this study also suggested a need for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a complete execution of a fixed book price system, and a fair provision rate.

국내에서 1990년대 중반 등장하기 시작한 독립출판물 시장의 성장과 함께, 2008년에는 이 출판물들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독립서점이 문을 열었다. 2019년 말 기준, 국내 독립서점은 총 466개로, 지난 10년 동안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만큼, 폐점하고 있는 비율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광주지역 독립서점 또한 유사한 상황이다. 뒤늦게 출발해 활발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던 광주 독립서점들의 폐점비율은 전국 평균의 2배를 상회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 독립서점의 현황을 파악한 후, 이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분석해 그 해법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현재 광주 독립서점들은 북큐레이션, 다양한 부대프로그램, 북마켓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큐레이션과 프로그램, 20,30대 특정 연령층에 대한 집중, 수도권의 출판물에 대한 의존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지역콘텐츠 기획·개발을 통한 출판물의 다양화, 취향 기반의 살롱 성격 강화, 독립서점 네트워크 조직화, 독립서점의 체계적 인큐베이팅 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제도적 측면에서, 지역서점인증제, 완전한 도서정가제 시행, 공급률의 공정성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2018), 독립서점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문화예술을 통한 마케팅을 중심으로,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 구선아.장원호(2018), 독립서점의 커뮤니티 유형에 관한 연구:서울 독립서점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1(3), 93-123.
  3. 금정연.김중혁(2016), 탐방서점-금정연과 김중혁, 두 작가의 서점 기행, 프로파간다.
  4. 김민지(2020), 미디어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독립서점에 관한 연구:매클루언의 테트라드 모델을 중심으로,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5. 김상헌.한수진(2017), 독립서점 사례 분석을 토대로 한 복합문화공간으로써의 지역서점 활성화 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6. 김용섭(2018), 라이프 트렌드 2019-젠더 뉴트럴(Gender Neutral), 부키.
  7. 김혜원(역), 책의 미래를 찾는 여행, 서울 일본의 북 디렉터가 본 서울의 서점 이야기, 內沼 晋太郞(2018), 컴인.
  8. 김효선(2014), 지역서점의 분화 특성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써의 역할에 대한 분석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9. 민승원(2018), 독립출판물 유통, 서점과 제작자를 잇다, 시사저널 1029, 90-91.
  10. 박익순(2019), 2018년 출판시장 통계, 한국출판저작권연구소.
  11. 박정명(2018), 독립출판 문화의 전개양상에 관한 고찰:독립서점과 독립출판물 페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 399-412.
  12. 브로드컬리 편집부(2016), 서울의 3년 이하 서점들, 책 팔아서 먹고 살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브로드컬리.
  13. 브로드컬리편집부(2017), 서울의 3년 이하 서점들을 인터뷰:솔직히 책이 정말 팔릴 거라 생각했나?, 브로드컬리.
  14. 서수경(2019), 에코붐세대의 독립출판문화 소비에 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5. 성미희(2018), 갈 길 먼 지역서점 활성화, '우수서점인증제' 고도화 시급하다, 동네책방동네도서관 77, 2.
  16. 신종락(2009), 한국과 독일의 출판문화 산업, 시간의 물레.
  17. 신한카드 블로그(https://www.shinhancardblog.com, 자료검색일 2019.04.29.)
  18. 은지희(2016), 2000년대 한국 독립출판물 생산자 연구:미디어 문화생산자 정체성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 이경미.정은아(2019), 우리는 취향을 팝니다, 쌤앤파커스.
  20. 이수진 외(2017), 경기도 지역서점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21. 이승훈(2017), 내 작은 출판사 시작하기, 북스페이스.
  22. 이유진.오창섭(2019), 2016년 이후 독립서점의 차별화 전략,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 조장우(2017), 도서정가제 확대의 법적 배경과 문제점, 東亞法學 76, 199-233.
  24. 조지연(2018), 광주 서구청 도서구매 "또 유령서점에 낙찰", 광주in, 2018.07.03.
  25. 지역출판워크숍 B-LAB(2018), 책짓는 사람들-부산 출판 이야기, 도서출판 빨간집.
  26. 최낙진 외(2018), 지역출판문화산업 육성 및 진흥방안 연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7. 퍼니플랜 홈페이지((https://www.funnyplan.com, 자료검색일 2019.04.20.)
  28. 프랭크(2019), 독립출판 제작자를 위한 대형서점 유통 가이드, 프랭크유통연구소.
  29. 프로파간다 편집부(2013), 지금 여기 독립출판, 프로파간다.
  30.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2020), 지역서점 현황조사 및 진흥정책 연구.
  31. 한상헌(2018), 대전 독립서점의 문화공동체적 역할과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세종연구원.
  32. 홍지연(2019), 독립서점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