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lab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8초

캐비티내 슬룻안테나를 이용한 적응분사 (Adaptive Radiation in the Cavity using Slot Antenna)

  • 김태봉;김상권;박윤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1896-1899
    • /
    • 1997
  • In this paper, New radiation system is presented to improve efficiency and distribution of MWO. And it has one input for two excitatied lines with located on them radiation elements(slots). Radiation elements are distributed along the lines the way that the same electrical distances from the magnetron. New radiation system recompences change of impedance at wide b and frequency.

  • PDF

환류 다이오드를 고찰한 BLDCM 특성 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BLDCM considered Feedback Diodes)

  • 김태형;신현정;박진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122-124
    • /
    • 1998
  • The inverter circuit of brushless do moter(BLDCM) needs feedback diodes to protect the switching element from counterelectromotive forc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computational method of characteristic analysis of BLDCM with feedback diodes by using the FEM.

  • PDF

급수 가압 멀티 펌프 시스템의 컨트롤러 개발 (Controller Development of Booster Multi-Pump System)

  • 이상균;이재춘;이병훈;황민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82-384
    • /
    • 1996
  •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troller development of booster multi-pump system with constantly estimated control algorithm. Through analyzing by the experiment of optimal pressure with a certain flow rate. The larger pressure processing apparatus in microprocessor makes optimal water-supplying. This method is implemented with the only pure control algorithm without any other mechanical or circuitry apparatus. Also, Pump's life is lengthened by exchanging simple on, off and rotational inverter control. Optimal condition for pump is adjusted by the inverter control, and compact control panel helps the booster system install in real field.

  • PDF

장시간사용(長時間使用)한 공조용(空調用) 전기집진(電氣集塵)필터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long-term operated Electrostatic airclean filter for air-conditioner)

  • 홍영기;강광옥;이성화;손상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453-455
    • /
    • 1995
  • In electrostatic airclean filter, the collection efficiency defends on particle charge in the ionizer section. The effect of electrostatic airclean filter condition (deposition of dust, variation of corona discharge current) on corona discharge characteristics was well studied. However, it seems not to be studied on corona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 airclean filter respect to contaminated electrode which is caused by practical use. In this paper, Long-term(60days) effects are studied experimentally by two methods. The one is ozone concentration, the other is collection efficiency. Generation of ozone level was increased but collection efficiency was slightly reduced in long-term used electrostatic airclean filter.

  • PDF

IH압력밥솥의 균일가열을 위한 WORK-COIL의 최적배치 (Optimal Placement of Work-Coi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eat Pressure Rice Cooker Uniformly)

  • 노희석;신동명;전용석;박성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F
    • /
    • pp.2060-2063
    • /
    • 1998
  • The proper placement of work-coil is needed for heating the interior of an IH rice cooker uniformly. It is possible that the flavor of rice is better by heating it through the optimal placement of the work-coil of the IH rice cooker.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dure and the result of finding the optimal placement of the work-coil by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rising temperatures of the interior through Taguchi Method.

  • PDF

에너지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한국 리빙랩의 경험: 성대골의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erience of Living Lab as Energy Transition Experiment: The Case of Urban Living Lab for Mini-PV System in Seong-Dae-Gol, Seoul, KOREA)

  • 김준한;한재각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19-265
    • /
    • 2018
  • 최근 에너지전환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에너지전환은 단순히 기술적 요소의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의 변화와 조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시민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리빙랩(living lab)'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 성대골에서 진행된 '도시지역 미니태양광 리빙랩' 활동을 세밀하게 분석한 것이다. 리빙랩을 통해 미니태양광 DIY 제품과 백업센터, 지역 기반 금융상품, 다양한 교육훙보 전략의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이런 활동과 성과를 전략적 층위, 전술적 층위, 운영적 층위에서 각각 제기되는 질문을 통해서 분석했으며, 더불어 기시환경-레짐-틈새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다층적 관점을 통해서도 다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이번 리빙랩 활동은 에너지 생산과 이용의 지속가능성이라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환랩'의 가능성을 확인해주었다. 특히 전환관리 거버넌스의 운영적 층위, 즉 전환실험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얻었으며, 시민들의 주도적 참여라는 점에서도 두드러졌다. 그러나 어려움 없이 진행된 것은 아니다. 특히 리빙랩이 가진 고유한 속성인 유연성과 재정지원 기관의 관료적 경직성 사이의 갈등이라는 구조적인 문제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전환의 비전을 형성하고 전환실험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확산하면서 전략적 틈새를 복제 확대하는데 필요한 전략적 층위에서의 '전환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한계도 안고 있었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리빙랩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n Living Lab Using Text Mining)

  • 김성묵;김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7-48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리빙랩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향 정립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리빙랩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9년 11월까지의 논문 166편의 키워드와 초록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워드 중 혁신, 지역, 사회, 기술, 스마트시티 등의 출현빈도가 높았고, 중심도 분석결과 현재까지 리빙랩 연구가 혁신, 사회, 기술, 개발, 사용자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을 파악하였다. 토픽 모델링 결과 지역혁신과 사용자지원, 정부 사회정책사업, 스마트시티 플랫폼구축, 기업기술혁신모델 및 시스템전환 참여 등 5개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토픽을 이어주는 키워드는 혁신, 기술, 사용자, 참여인것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KNoLL 출범 후 토픽별 비중은 고른 분포로 연구 주제가 다양화됨을 확인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리빙랩 연구동향 분석과 방향 제시는 연구와 정책방향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시사점 (Living Lab as Transition Arena: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 성지은;박인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8
    • /
    • 2016
  • 현재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은 기존의 성장 및 기술공급 위주의 발전전략이 한계를 노정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혁신 경로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ICT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물론 지속가능한 에너지, 농업 농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혁신모델이자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의 니치 실험으로서 유럽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ICT가 에너지 전환, 농업 농촌 시스템 전환, ICT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럽의 SusLab 프로젝트, C@R 프로그램, 대만의 리빙랩 사례 모두 사전기획 단계부터 지역 사용자의 배경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사용자 주도의 혁신활동을 개발프로세스 전반에서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전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리빙랩 도입을 검토하는 현 상황에 맞춰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국가 또는 지역 전반의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 실험, 정책 간 연계통합의 수단,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혁신정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용자 및 수요 측면을 반영한 정책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사회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과 패러독스 (Paradoxes of Living Lab as a Social Innovation Arena)

  • 정병걸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41-69
    • /
    • 2017
  • 주도적 사용자 참여, 실생활 상황의 실험 등이 핵심요소인 리빙랩은 과학기술 혁신과 혁신의 사회적 기여를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사회혁신이나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에까지 활용되는 등 질적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리빙랩 접근에서는 동질성, 사용자 경험, 갈등, 사업화, 확산 등의 측면에서 상이한 요구 간 긴장으로 인한 패러독스가 나타날 수 있다. 리빙랩이 사회혁신과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패러독스를 이해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리빙랩은 특정 문제의 해결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아니다. 여전히 이론적 논거와 경험적 성과가 부족한 리빙랩이 사회혁신의 수단으로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패러독스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he Meta-Analysis on Effects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05-512
    • /
    • 2022
  • 이 연구는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리빙랩 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때 전체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둘째, 범주형 변수에 따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범주형 변수는 연구 결과 특성, 연구 특성, 연구 설계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47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지식정보처리 1.244, 의사소통능력 0.593, 문제해결능력 0.261, 창의성 0.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전기전자 1.146, 기술가정 0.489, 인공지능 0.379, 실과 0.16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고등학교 1.058, 중학교 0.312, 초등학교 0.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두 학년 이상을 통합하여 운영한 경우 0.295, 단일 학년 0.294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