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ity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1초

유동성 제약이 투자지출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업과 비가족기업의 실증 비교 (The impact of liquidity constraints on investment expenditures: Evidences from family and non-family firms)

  • 김충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74-680
    • /
    • 2013
  • 본 연구는 유동성 제약이 가족기업과 비가족기업의 투자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가족기업은 위험회피성향이 크고 기업의 성과와 명성을 중시하여 대리인 비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현금흐름이나 유동성 제약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으로 기대 되었다. 유동성 제약이 기업 투자지출에 가족기업과 비가족기업이라는 지배구조 형태 별로 어떻게 달리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644 개의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에 대하여 2000년부터 2010년 까지 기업 재무 테이터를 사용하여 시계열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업에서 현금흐름변수는 투자지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비가족기업에서는 현금흐름 변수가 매우 민감하게 양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흐름이 감소하여 유동성 제약에 직면하면 대리인 문제가 큰 비가족기업의 경우 투자는 크게 감소하나, 대리인 문제가 크지 않은 가족기업에서는 투자지출이 유동성 제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로부터의 의의는 현금흐름에 대한 투자의 민감도가 기업의 유동성 제약 여부를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장중소기업의 직접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관투자가 역할 (Expected Roles of the Korean Institutional Investors for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SE)

  • 전양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63-368
    • /
    • 2004
  • The stocks of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oreaStock Exchange(KSE) have been neglected to investors for long time in site of their good performences. The word "Neglected" means that the stocks of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SE have fail to acquried liquidity. In the result,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SE have not financed equity by issuing stocks timely in the primary market. This problem has resulted in poor investment to their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SE. The possible key to sovlve this problem is in the Institutional Investors, especially to the Pension fund. Korean Institutional Investors have lost their basic roles, that is, final supports to prevent the markets not to demolish. The Acts prventing Pension to invest to the stocks is to change to allowing to invest them in soon. this opportunity is good chance to solve the problems of poor liquidity of stocks of listed S&M sized firms in the KSE.

  • PDF

분위기 압력 변화가 레이저 납땜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ressure Change to the Laser Soldering Liquidity)

  • 이백연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23-29
    • /
    • 2002
  • The soldering is widely used installing the electronic element on circuit board in the common electronic device. Since the flux which improves the liquidity of solder make the electronic and chemical performance worse, the circuit board need to wash clearly. At present however no-washing is required for the cost reduction, the chemical stability,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the solder liquidity depending on the power density and the pulse width is comparatively analyzed by the diffusion area method for achieving the no-flux soldering.

Trade, Trade Finance, and Global Liquidity in Asia; Markov-Switching FAVAR Approach

  • Brooks, Douglas H.;Kurmanalieva, Elvira;Yang, Doo Yo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0권3호
    • /
    • pp.339-363
    • /
    • 2016
  • This paper analyzes wh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severely affected Asia's trade. Asia has been suffering from the falls in export demand from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abrupt trade declines in Asia are not fully explained by reactions to this as in previous experiences. The question is why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brought about the abrupt and deep collapse in world trade, while other world-wide recessions had more moderate effects on world trade. This paper shows that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trade finance is one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is question. This paper also applies the Granger (causality) test to uncover different relationships in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and show different results for different countries in Asia. We employ a Markov-Switching FAVAR (Factor Augmented VAR) to show that global liquidity shock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huge and abrupt trade drops in Asia.

한·일 위험자본 시장의 비교분석 - 제3시장과 Moth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isky capital markets of the Korean and Japan - In case of The Third market and Mothers)

  • 전양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21-127
    • /
    • 2004
  • This paper is to give some hin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Korean The third Market suffering from the extreme shortage of the liquidity. To solve that problem, this paper mainly compare the liquidity indices of the Third Market with that of the Japanese third market, that is Mothers. The main liqudity indices of the Mothers shows better than that of the Korean Third Market redardless of the small numbers of the listed Firms. The main differences in the liquidity levels between two markets is to caused by the trading system. The Korean Third Market has been adapting the one-to-one trading system which most stock markets of the world gave up that system owing to the inefficiency. This paper shows the proper trading system for the Third Market is competitve trading system partialy combined with the market maker system beacause of the small firm characterristics.

  • PDF

유동성 악화에 따른 건설산업 위기극복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for Finding Methods to solve the Crisis of Construction Industry caused by Deterioration of Liquidity)

  • 김은성;이상효;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131-135
    • /
    • 2009
  •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facing big difficulties by a worldwide financial crisis. Especially the deterioration of liquidity by the reject of banks for project financing and unsold housing project made a big problem on financing for the ongoing and new projects. To solve this, it is critical for construction companies. banking facilitie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cooperate and support each other. In this study, the methods which each part can do are investigated. Construction companies can do a price reduction, finance condition improvement for deposit and down payment, asset sale and cost reduction. And Public organizations can buy the assets of construction companies with proper price and ease the regulation to activate transactions of real estate. In the case of Banking facilities, they can support arrangement and liquidation of insolvent projects and so on.

  • PDF

CMTO: 디지털 자산 시대의 부동산 토큰 증권 활성화 방안 연구 (CMTO: An Inquiry into the Activation for Real Estate Security Token of the Digital Asset Hour)

  • 이정민;이민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1-95
    • /
    • 2023
  • The emergence of Security Token has revolutionized the way assets are traded, bringing efficiency, transparency, and accessibility to the market. However, the Real Estate Security Token market faces challenges, particularly in terms of liquidity. The CMTO(Collateralized Mortgage Token Obligation) model addresses this issue by introducing a novel approach that combines the benefits of NFT(Non-Fungible Token), STO(Security Token Offering), and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 techniques to enhance liquidity and promote investment in Real Estate Security Token. The CMTO framework functions by allowing DABS token investors to leverage their tokens as collateral for loans. These token-collateralized loans are pooled together and form the basis for issuing Sequential CMO named CMTO. The CMTO represent a diversified portfolio of token-collateralized loans, providing investors with options based on their financial goals and risk preferences. By implementing CMTO, the Real Estate Security Token market can overcome liquidity challenges, attract a broader range of investors, and unlock the full potential of digital assets in the real estate industry.

기관투자자의 대량주식보유가 시장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Block Ownership on Market Liquidity)

  • 조경식;정헌용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83-97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관투자자의 대량주식보유가 시장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관투자자의 대량주식보유는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와 그 보유비율을 사용하였다. 시장유동성은 Amihud(2002)의 비유동성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와 Amihud의 비유동성 측정치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를 중심으로 그룹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와 Amihud의 비유동성 측정치 사이에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가 시장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비율 합계와 Amihud의 비유동성 측정치 사이에서, 그룹3(11.71%~17.38%)과 그룹4(7.45%~11.65%)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관투자자의 대량주식보유비율이 그룹3과 그룹4에 속하는 기업에서 시장유동성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셋째, 기관투자자 대량주식보유의 수와 그 보유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기간과 이후기간 보다는 당해기간(2008)에 더 유의하게 시장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식시장과 주택시장의 동향 및 유동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ock Market & Housing Market Trends and Liquidity)

  • 최정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3-141
    • /
    • 2021
  • 각국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실물경기와 경제회복을 위해 재정확대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재난지원금과 복지정책의 시행으로 인해 시중에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주식시장과 주택시장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식시장 및 주택시장의 동향과 유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한국은행과 국민은행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월간자료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각 변수별로 전년 동월대비 변동률이나 상승률을 산출하여 수치분석과 지표분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주가지수는 주택가격과 양(+)의 관계를 보인 반면 M2와는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유동성이 증가하면 주식시장과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물가도 상승하는 것으로 기존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주식시장과 주택시장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동성은 주식시장과 역의 관계를 보이고 주택시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동성과 주식시장 및 주택시장과의 관계에서 시간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동성과 주택가격의 기대심리가 실질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 of Expected Housing Prices and Liquidity on the Housing Market)

  • 전현진;권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3-49
    • /
    • 2020
  • 본 연구는 유동성 지표인 가계대출과 M2, 경기변동을 반영하는 산업생산지수를 변수로 설정하여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기대 주택가격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택가격변수는 실질 매매가격지수를 사용하였다. 모형을 3개로 구분하여 각 변수들의 계수 값을 비교한 결과, 실질 가계대출, 실질 M2 순서로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레버리지 효과로 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과거의 주택가격과 주택가격에 대한 기대는 현재기의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자산에 대한 기대 가격상승률이 높아지면 주택가격이 높아지는데, 이는 시장을 형성하는 중심가치가 투자가치로 변하게 되어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동성의 확대가 경기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