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osomes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9초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Brassica oleracea L. Fractions)

  • 윤경아;박윤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인지질 리포좀 내부에 적채의 용매별 분획물을 가하고 그 산화 지수를 구하여 각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적채의 ethylether 분획층인 BOMEE와 ethylacetate 분획층인 BOMEA의 결과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BHT와 $\alpha$-tocopherol을 대조군으로 가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이들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항산화제인 vitamin C와 $\alpha$-tocopherol을 DLPC-리포좀에 가했을 때의 항산화 상승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즉, DLPC-리포좀에 BOMEE와 BOMEA 일정량을 가했을 때 이미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vitamin C와 $\alpha$-tocopherol을 첨가시 더욱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적채 분획물 단독으로 가했을 때에는 항산화 효과가 없었던 BOMH, BOMB 및 BOMA에서도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DLPC-리포좀을 이용한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이미 공인되어 사용되고 있는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발색정도를 비색 정량하여 유지의 산패도를 측정하는 TBA가를 이용한 실험 결과 DLPC-리포좀을 이용한 항산화 결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 경우 BOMEE와 BOMEA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불포화 인지질로 구성된 DLPC-리포좀에 시료를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본 실험의 결과가 TBA가의 결과를 통해 다시 한번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진행되는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한 노화의 한 과정을 적채 중의 멜라닌 색소형성방지 효과의 면에서 연구 검토하였으며, 요즈음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천연물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 실험에서 적채 분획물 BOMH, BOMEE, BOMEA, BOMB 및 BOMA를 일정량 취하고, kojic acid를 10, 20, 30 및 40 $\mu\textrm{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특히 BOMEA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이상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 및 멜라닌 색소 형성억제 물질을 연구 결과, 적채의 분획물 중 BOMEE와 BOMEA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BOMEA층이 우세하였다. 이 결과에 의해 현재 식용 식품으로서만 상용되는 적체의 생리활성 성분 중 비극성 부분에서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의 흑화를 방지할 수 있는 미백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탄성 리포좀을 사용한 쿼세틴의 경피 전달: 제조, 특성 그리고 In Vitro 피부 투과 연구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Using Elastic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y)

  • 박수남;임명선;박민아;권순식;한샛별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705-7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리포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지질(PC)과 계면활성제($Tego^{(R)}$ care 450)로 구성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탄성 리포좀의 유효성분으로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쿼세틴을 담지하였고, 탄성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가변형성과 쿼세틴의 포집 효율, 안정성, in vitro 피부투과를 평가하였다. 쿼세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크기는 208.2~303.4 nm이였고, 포집효율은 64.1~87.5%로 측정되었다. 0.1% 쿼세틴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중에서 인지질과 계면활성제 비율이 90 : 10인 경우가 가장 높은 포집효율(87.5%)과 가변형성 지수(28.3)를 나타내었다. 이 제형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 리포좀($114.8{\mu}g/cm^2$)과 1,3-butylene glycol($75.1{\mu}g/cm^2$) 용액보다 탄성 리포좀의 피부 투과능($164.6{\mu}g/cm^2$)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Tego^{(R)}$ care 450을 이용한 탄성 리포좀이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Rotational Rate of n-(9-Anthroyloxy)stearic acid in Model Membranes of Total Lipids Extracted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s

  • Jang, Hye-Ock;Kim, Dong-Won;Kim, Byeong-Ill;Sim, Hong-Gu;Lee, Young-Ho;Lee, Jong-Hwa;Bae, Jung-Ha;Bae, Moon-Kyoung;Kwon, Tae-Hyuk;Yun, 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studying the molecular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action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Large unilamellar vesicles (OPGTL) were prepared with total lipids extracted from cultured Porphyromonas gingivalis outer membranes (OPG). The anthroyloxy probes were located at a graded series of depths inside a membrane, depending on its substitution position (n) in the aliphatic chain.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n-(9-anthroyloxy)stearic acid was used to examine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differential rotational mobility, while changing the probes' substitution position (n) in the membrane phospholipids aliphatic chain. Magnitude of the rotational mobility of the intact six membrane compone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stitution position in the descending order of 16-(9-anthroyloxy)palmitic acid (16-AP), 12, 9, 6, 3 and 2-(9-anthroyloxy)stearic acid (12-AS, 9-AS, 6-AS, 3-AS and 2-AS). Chlorhexidine digluconat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ate of rotational mobility of hydrocarbon interior of the OPGTL prepared with total lipids extracted from cultured OPG, but decreased the mobility of membrane interface of the OPGTL. Disordering or ordering effects of chlorhexidine digluconate on membrane lipids may be responsible for some, but not all of its bacteriostatic and bactericidal actions.

리퀴리티게닌과 리퀴리틴을 담지한 에토좀의 특성 및 경피 전달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Liquiritigenin and Liquiritin)

  • 임나리;김해수;임지원;김경진;노근영;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5호
    • /
    • pp.563-568
    • /
    • 2015
  • 배당체 리퀴리틴 및 그 아글리콘인 리퀴리티게닌은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이 뛰어난 한국산 감초 성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퀴리티게닌과 리퀴리틴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 효율 및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리퀴리틴게닌의 경우 2 mM 농도까지 안정한 에토좀이 형성되었고, 리퀴리틴은 0.75 mM 농도까지 안정하게 형성되었다. 0.75 mM 리퀴리티게닌과 리퀴리틴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크기는 각각 143.85, 158.90 nm이었으며, 포집 효율은 각각 47.51, 54.61%이었고 약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포집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피부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 리퀴리티게닌과 리퀴리틴 모두 에토좀이 일반 리포좀이나 에탄올 용액보다 더 우수한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이는 0.50 mM 리퀴리틴게닌 및 리퀴리틴을 담지한 에토좀이 피부전달에 효과적이며, 항노화 및 항산화 화장품 제형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을 이용한 동맥 벽 표적성 유전자 전달체의 합성 (The Synthesis of Artery Wall Targeted Gene Carrier Using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 최창용;장미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279-285
    • /
    • 2006
  • 유전자 치료에 있어서 안전성의 장점을 지니고 있는 비바이러스성 전달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가고 있다. 비바이러스성 전달체 중, 양이온성 리포좀이나 합성 유전자 전달체는 in vitro계에서 효율적인 DNA 전달체이지만, 낮은 생체적합성으로 인하여 in vivo 계에서의 응용성은 크게 뒤떨어지고 있다. 한편, 천연 양이온성 다당류인 키토산은 낮은 독성과 강한 양전하를 띠고 있어 유전자 전달 시스템 (gene delivery system)에 있어 아주 기대되는 전달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 LMWSC)을 이용하여 동맥 벽 세포를 표적할 수 있는 표적성 유전자 전달체를 합성하였다. 상대 점도와 Kina 적정법을 이용하여 LMWSC의 점도 평균 분자량 $(M_W)$과 탈아세틸화도 (degree of de acetylation ; DDA)를 측정하였고 구조는 FTIR, $^1H-NMR$, 그리고 $^{13}C-NMR$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동맥 벽을 표적하기 위한 유전자 전달체로서 pegylated LMWSC 의 말단에 특이성 세포 표적 펩타이드인 artery wall binding peptide (AWBP)를 결합시킴으로써 AWBP-PEG-g-LMWSC을 합성하였고 FTIR, $^1H-NMR$. zeta potentiometer. 그리고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쥐 뇌의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전이효소의 용해 및 Liposome에서의 재구성 (Solubilization and Reconstitution of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Transferase from the Rat Brain)

  • 고규정;박인호;한범구;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20-324
    • /
    • 1995
  • 쥐 뇌의 microsome으로 부터 ${\Delta}^{5}-3{\beta}$-hydroxy steroid acyl 전이효소(${\Delta}^{5}-3{\beta}$-OH-SAT)를 detergent를 이용하여 용해한 뒤에 인산지방질 liposome에서 재구성하여 처리하지 않은 microsome의 ${\Delta}^{5}-3{\beta}$-OH-SAT의 활성도와 비교하였다. 용해에 사용한 detergent중에는 deoxycholic acid가 Tween 80이나 Triton X-100 보다 우수한 ${\Delta}^{5}-3{\beta}$-OH-SAT 활성도를 나타냈으며, liposome 생성에 사용한 인산지방질중에서는 난황 및 대두 phosphatidyl-choline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으며 그 다음이 phosphatidylethanolamine이었고 phosphatidylserine과 phosphatidic acid는 재구성하지 않은 용해된 효소보다 ${\Delta}^{5}-3{\beta}$-OH-SAT 활성도가 낮았다. 따라서 인산지방질의 head group의 4차 암모늄기나 amine기는 ${\Delta}^{5}-3{\beta}$-OH-SAT의 재구성활성을 촉진시키고 COOH기가 amine기와 함께 존재하거나 amine기가 없으면 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creasing Effect of Lidocaine.HCl on the Thickness of the Neuronal and Model Membrane

  • Park, Sung-Min;Park, Jong-Sun;Kim, Jae-Han;Baek, Jin-Hyun;Yoon, Tae-Gyun;Lee, Do-Keun;Ryu, Won-Hyang;Chung, In-Kyo;Sohn, Uy Dong;Jang, Hye-Ock;Yun, 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4호
    • /
    • pp.253-257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of action of a local anesthetic, lidocaine HCl. Energy transfer between the surface fluorescent probe, 1-anilinonaphthalene-8-sulfonic acid, and the hydrophobic fluorescent probe, 1,3-di(1-pyrenyl) propane,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docaine HCl on the thickness (D) of the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isolated from the bovine cerebral cortex, and liposomes of the total lipids (SPMVTL) and phospholipids (SPMVPL) extracted from the SPMV. The thickness (D) of the intact SPMV, SPMVTL and SPMVPL were $1.044{\pm}0.008$, $0.914{\pm}0.005$ and $0.890{\pm}0.003$ (arbitrary units, n=5) at $37^{\circ}C$ (pH 7.4), respectively. Lidocaine HCl decreased the thickness of the neuronal and model membrane lipid bilayer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hickness, even at 0.1 mM. The decreasing effect of lidocaine HCl on the membrane thickness might be responsible for some, but not all of its anesthetic action.

Determination of Microviscosity and Location of 1,3-Di(1-pyrenyl) propane in Brain Membranes

  • Kang, Jung-Sook;Kang, In-Goo;Yun, 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6
    • /
    • 1997
  • We determined the microviscosity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isolated from bovine cerebral cortex and liposomes of total lipids (SPMTL) and phospholipids (SPMPL) extracted from SPMV. Changes in the microviscosity induced by the range and rate of lateral diffusion were measured by the intramolecular excimerization of 1, 3-di(1-pyrenyl)propane (Py-3-Py). The microviscosity values of the direct probe environment in SPMV, SPMTL and SPMPL were 38.17, 31.11 and 27.64 cP, respectively, at$37^{\circ}C$and the activation energies $(E_a)$ of the excimer formation of Py-3-Py in SPMV, SPMTL and SPMPL were 8.236, 7.448 amd 7.025 kcal/mol, respectively. Probe location was measured by polarity and polarizability parameters of the probe Py-3-Py and probe analogues, pyrene, 1-pyrenenonanol and 1-pyrenemethyl-3${\beta}$-hydroxy-22, 23-bisnor-5-cholenate (PMC), incorporated into membranes or solubilized in reference solvents. There existed a goo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bsorption peak of the $^1_a$ band and the polarizability parameter $(n^{2}-1)/(2n^{2}+1)$.The calculated refractive index values for SPMV, SPMTL and SPMPL were close to 1.50,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liquid paraffin (n=l.475). The probe location was also determined by using a polarity parameter $(f-1/2f^{I})$. Here f=$({\varepsilon}-1)/(2{\varepsilon}+1)$ is the dielectric constant function and $f^I=(n^2-1)/(2n^2+1)$ is the refractive index function. A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monomer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and the solvent polarity parameter. The probes incorporated in SPMV, SPMTL, and SPMPL report a polarity value close to that of 1-hexanol $({\varepsilon}=13.29)$. In conclusion, Py-3-Py is located completely inside the membrane, not in the very hydrophobic core, but displaced toward the polar head groups of phospholipid molecules, e.g., central methylene region of aliphatic chains of phospholipid molecules.

  • PDF

루틴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탄성 리포좀 제형 연구 (Elastic Liposome Formulation for Transdermal Delivery of Rutin)

  • 임명선;한샛별;권순식;박민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7-1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여, 이 제형의 물리적 특성과 증진된 피부 투과 효과를 평가하였다. 탄성 리포좀은 인지질과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루틴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5.7 ~ 298.0 nm, 가변형성은 20.9 ~ 42.5, 포집효율은 52.0 ~ 71.0 %로 측정되었다. 0.1 %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 중에서 인지질과 계면활성제 비율이 85 : 15 인 경우가 가장 높은 포집효율(71.0 %)과 가변형성 지수(42.5)를 나타내었다. 이 제형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 리포좀(98.0 ${\mu}g/cm^2$)과 1,3-butylene glycol (76.3 ${\mu} g/cm^2$) 용액보다 탄성 리포좀의 피부 투과능(129.9 ${\mu}g/cm^2$)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Tego^{(R)}$ care 450을 이용한 탄성 리포좀이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soquercitrin의 세포 보호 작용과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리포좀 제형 연구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Lip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Isoquercitrin)

  • 조나래;구현아;박수아;한샛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3-1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H_2O_2$와 rose bengal로 처리된 HaCaT 세포에 있어서 isoquercitrin의 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Isoquercitrin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 및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흡수 증진 능력을 평가하였다. Isoquercitrin은 HaCaT 세포에 대해 50 ${\mu}M$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 mM의 $H_2O_2$ 및 25 ${\mu}M$의 rose bengal로 HaCaT 세포를 처리하였을 때 isoquercitrin은 산화적 손상에 대항하여 농도 의존적(6.25 ~ 50 ${\mu}M$)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0.03 % Isoquercitrin을 담지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22.85 nm, 포집효율은 82.26 %였다. 0.03 % isoquercitrin 함유 에토좀은 제조 후 2주일 동안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은 일반 리포좀이나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우수한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0.1 % Isoquercitrin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최적의 제형은 입자 크기(341.2 nm), 가변형성(59.89), 포집효율(54.3 %) 및 피부투과능 (초기 적하량 대비 54.4 %) 확인을 통해 인지질 대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85 : 15인 제형이 가장 우수한 탄성 리포좀 제형임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