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ofuscin (LF)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뇌조직의 리포푸신,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누에분말의 영향 (Effects of Silkworm(Bombyx mori L..) Powder on Lipofuscin, Acetylcholine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정민;조원기;이희삼;류강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64-569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on lipofusci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brain of rats. Sprague-Dawley (SD) male rats ($160{\pm}10g$) were fed basic diet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SWP-200 and SWP-400 groups) added 200 and 400 mg/kg BW/day for 6 weeks. In case of liver membranes, lipofuscin (LF) levels resulted in a slight decreases (4.6% and 11.5%, respectively) in SWP-200 and SWP-4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n case of barin as the most sensitive organ, LF levels were remarkably inhibited about 16.7% and 20.0% in SWP-200 and SWP-4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etylcholine (ACh) syntheses as a very important neurotransmitter, and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activities as a synthesis enzyme of ACh,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ies as a hydrolysis enzyme, which were concerned in transmission of neuron through synapses in brain of SWP-200 and SWP-4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onoamine oxidase-B (MAO-B)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about 10.2%) in brain of SWP-40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ng effects of LF accumulation and MAO-B activity of silkworm powder (SWP) may play a pivotal role in attenuating a various age-related changes for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 PDF

뇌조직의 리포푸신,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실크 피브로인의 영향 (Effects of Silk Fibroin Powder on Lipofuscin, Acetylcholine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Brain of SD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이광길;여주홍;김정민;이용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0-125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lk fibroin (Mw 500) powder (SFP) on lipofusci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brain of rats. Sprague-Dawley (SD) male rats (160$\pm$10 g) were fed basic diet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SFP-2.5 and SFp-5.0 groups) added 2.5 and 5.0 g/kg BW/day for 6 weeks. In case of liver membranes, lipofuscin (LF) levels resulted in a considerable decreases (11.5% and 13.8%, respectively) in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n case of brain as the most sensitive organ, LF levels were remarkably inhibited about 18.3% and 21.7% in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cetylcholine (ACh) levels were considerable decrease (3.0% and 9.2%, respectively) in brain membranes of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hoine acetyltranferase (ChAT) activities as a synthesis enzyme of ACh,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ies as a hydrolysis enzyme resulted in a slight increases (2.4% and 3.0%, 4.6% and 6.3%, respectively), but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ChAT and AChE activities by SFP administration could be not obtained. Monoamine oxidase-B (MAO-B)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9.5% and 12.6%, respectively) in brain of SE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ng effects of LF accumulation and MAO-B activity of silk fibroin(SFP) may play a pivotal role in protecting learning memory impairments by attenuating a various age-related changes for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 PDF

뇌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Brain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배승진;박시향;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2-698
    • /
    • 2003
  • 뇌 세포막 유동성의 촉진 및 LPO생성의 억제효과는 중풍 등 뇌혈관질환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의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6,18]. 따라서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중의 세포막 유동성 (membrane fluidity :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용량의존적으로 MF가 증가효과가 나타났지만,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획분에서만 약 10%의 유의적인 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의 mitochondria에서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9.2∼10.2% 및 17.1∼24.0%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crosomes에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11.6∼16.6% 및 12.1∼16.1%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mitochondria 및 microsomes획분에서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8.5∼12.0% 및 11.6∼18.5%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뇌조직의 두 획분에서 OP의 생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뇌조직에서 LF의 축적도 EtOAc획분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LP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현재의 투여농도에서는 OP 및 LF의 생성을 방지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백승진;박시향;김남주;최민경;조원기;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84-691
    • /
    • 2003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체중으로서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획분의 세포막 유동성(membrane fluidity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어느 정도 MF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획분에서만 인정되었다.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는 간장의 두 획분의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산소의 생성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mitochondria획 분에서 는 EtOAc-100투여그룹에서, 그리고 microsome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tochondria 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microsome 획분에서는 아무런 유의성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클로로포름층에서 측정한 LF의 축적은 EtOAc-25, EtOAc-50 및 EtOAc-100 투여그룹에서 다같이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남해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Crassostrea gigas) 소화맹낭 세포 내 리소솜 활동 측정에 관한 연구 (Cytochemical Measurement of Lysosomal Responses in the Digestive Cells of Wil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정희도;이지연;홍현기;강현실;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51-163
    • /
    • 2012
  • 이매패류의 소화맹낭은 고도로 발달된 리소솜 시스템을 지니고 있어 소화작용과 함께 오염물질의 해독과 배출작용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화맹낭의 리소솜 시스템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동결절편을 이용한 조직학적 방법으로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 소화맹낭의 리소솜 활동을 측정하였다. 참굴은 2010년 6월 광양만 내만의 초남대교, 차면리와 외만의 신덕리, 평산리 조간대에 서식하는 굴을 채집하였다. 제작된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lysosomal membrane stability(LMS) 및 lipofuscin(LF) 축적, neutral lipid(NL) 축적, 소화맹낭 위축도(digestive gland atrophy, DGA)를 평가하였다. 비만도 및 소화맹낭 위축도는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MS는 내만이 외만에 비해 짧은 리소솜 막 불안정화 시간을 보였지만 지역별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LF 축적은 내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지만(P<0.05), NL 축적의 경우 외만에 서식하는 참굴이 유의적으로 높은 축적을 보였다(P<0.05). DGA와 LF의 경우 내만과 외만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이는 환경오염의 수준과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분석항목은 연안환경평가에서 좋은 biomarker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김남주;백승진;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76-181
    • /
    • 2004
  • 솔잎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 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F의 침착, 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hE의 활성, 카테콜라민계 신경 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nodria 및 microsome 획분 중의 콜레스테롤이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 및 23∼34%의 통계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뇌조직에 대한 LF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0∼14%의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BuOH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각각 11∼17% 및 11∼23%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AChE의 활성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MAO-B의 활성은 BuOH 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그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솔잎 BuOH 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축진하고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ACh와 그 관련효소의 활성을 촉진하여 기억ㆍ학습의 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Acctylcholine(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백승진;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95-99
    • /
    • 2004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ipofuscin(LF)의 침착, acetylcholine(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onoamine oxidase-B(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중의 콜레스테롤이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유의적인 11.8-12.1% 및 9.6-13.0%의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LF는 모든 EtOAc획분의 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다같이 약 10%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뇌조직 중의 신경전달에 관계하는 AChE의 활성도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50 및 EtOAc-100투여 그룹에서만 8.2-11.9%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Catecholamine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MAOB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약 10%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솔잎의 EtOAc획분의 투여는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기억$.$학습관련 신경전달물질 및 관련효소의 활성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의;최민경;조원기;김창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82-1087
    • /
    • 2003
  •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흰쥐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MF), 기초 및 유도산소라디칼(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PO) 및 산화단백질(OP), 리포푸신(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F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16∼22%의 유의적인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1∼0.001), 간장 microsomes에서는 BuOH획분의 투여에 의한 MF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BOR 및 IOR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11∼27% 및 11∼28%의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01), microsomes에서 BuOH-50, BuOH-100 투여군 및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l1∼24% 및 l5∼24%의 유의적인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0.001, p<0.01∼0.001). LPO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100투여군과 microsomes에서는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각각9%, 9∼l3%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1), OP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 서 BuOH-50 및 BuOH-100투여군에 서 10∼12%의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5), 간장의 microsomes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chloroform층에서 LF의 축적은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8∼9%의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따라서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생리적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