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nic acid

검색결과 940건 처리시간 0.022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esophilic Arthrospira maxima Strain Capable of Producing Docosahexaenoic Acid

  • Hu, Hongjun;Li, Yeguang;Yin, Chuntao;Ouyang, Yex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697-702
    • /
    • 2011
  • A strain of the cyanobacterium Arthrospira was isolated from Lake Chahannaoer in northern China and was characterized according to microscopic morphology, photosynthetic oxygen-evolving activity, growth rate, and nutritional profile. Compared with thermophilic Arthrospira species occurring naturally in tropical and subtropical lakes, this isolate is mesophilic and grows optimally at ${\sim}20^{\circ}C$. The total protein, fatty acid, phycocyanin, carotenoid, and chlorophyll a contents were 67.6, 6.1, 4.32, 0.29, and 0.76 grams per 100 grams of dry weight, respectively. The strain is rich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An essential omega-3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was detected, and ${\gamma}$-linolenic acid (GLA) and DHA accounted for 28.3% of the total fatty acid content. These features of this newly isolated strain make it potentially useful in commercial mass culture in local areas or as a biofuel feedstock. It is also an alternative resource for studying the metabolic PUFA pathways and mechanisms of cold stress tolerance in cyanobacteria.

Dietary Reference Intake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or Koreans

  • Park, Yongso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sup1호
    • /
    • pp.47-56
    • /
    • 2022
  •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and evidence used to create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DRI) of alpha-linolenic acid (ALA)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 docosahexaenoic acid (DHA) for Koreans. ALA (18:3n3) is an essential fatty acid, and EPA and DHA are known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d reduction of triglyceride levels.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suggested dietary recommendations for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including ALA, EPA, and DHA. A DRI for Koreans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2020, specifically for the adequate intake (AI) of ALA and EPA + DHA. This recommendation was based on the average intake of ALA and EPA + DH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7. For Korean infants, the AI of ALA and DHA was based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ternal milk.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and a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have not been set for n-3 PUFA due to insufficient evidence. In addition, the intake level of n-3 PUFA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has also not been determined. Future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 UL and to define the level for disease prevention.

Arthrospira (Spirulina) platensis의 종속영양배양과 r-Linolenic Acid 생산 (Growth and r-Linolenic Acid Production of Arthrospira (Spirulina) platensis in Heterotrophic Culture.)

  • 최강국;배명숙;박제섭;박복준;안치용;오희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5-51
    • /
    • 2007
  • Arthrospira에 대한 종속영양배양 결과, A. platensis M9108(A. platensis PCC 9108의 고농도 glucose 내성 돌연변이)은 glucose 5.0 g/L 첨가된 SOT 배지에서 8일 동안 배양하여 0.54 g/L의 생물량을 얻었으며, 일일생산량은 0.068 g/L/day을 보였고, specific growth $rate(\mu)$는 0.014/h를 보였다. A. platensis M9108의 일일생산량과 $\mu$는 모균주인 A. platensis PCC 9108에 비하여 각각 1.3배와 1.2배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이전에 보고된 결과에 비하여 각각 1.3배와 1.8배 증가하였다. Arthrospira의 건체량 중 지방산과 r-linolenic acid의 함량은 각각 $1.94\sim4.97%$$0.13\sim1.33%$로 균주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였다. Arthrospira는 유기탄소원으로 glucose를 첨가한 조건에서 성장이 가장 좋았으며, A. platensis M9108의 경우 maltose의 이용능도 glucose 이용 능과 비슷하였다. A. platensis M9108의 성장은 glucose의 5.0 g/L까지는 증가하였지만, 10.0 g/L에서는 저해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고농도의 탄소원을 이용한 종속영양배양 중 발생하는 세포의 뭉침 현상이 A. platensis M9108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고농도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유통 콩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변이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 김선림;이영호;지희연;이선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8-357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sim}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sim}33.1g$(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omega}-3$계와 ${\omega}-6$계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 비율이 다른 유지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II) -혈청과 간 조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t and Oil Differently Composed of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Lipid Metabolism of Rats -Centered on Serum and Liver Tissues-)

  • 강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38-347
    • /
    • 1989
  • ${\omega}-3$계와 ${\omega}-6$계 PUFA가 혈청과 간장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omega}-6$계 linoleic acid를 약 64% 함유하고 있는 고추종자기름과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비율이 약 60%인 들깨기름을 몇가지 비율로 혼합하여 흰쥐에게 급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중 총 cholesterol 농도는 들깨기름 10%를 급여받은 1군이 고추씨기름의 함량이 높은 4군과 5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HDL-cholesterol 농도는 ${\omega}-6$계 linoleic acid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omega}-3$계 linolenic acid 함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성있게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총 cholesterol에 대한 HDL-cholesterol 농도는 10% 고추종자기름을 급여한 5군에서 가장 높았고 5% 들깨유와 5% 고추종자기름을 혼합 급여한 3군의 순이었다. 혈청중의 중성지질과 인지질 농도는 7.5% 들깨기름과 2.5% 고추종자기름의 혼합 식이군인 2군이 2.5% 들깨유와 7.5% 고추종자유 혼합 식이군인 4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중의 총 cholesterol 농도는 고추씨 기름 10% 단독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들깨유와 고추씨 기름의 혼합 식이군 (2, 3, 4 군)에서 낮았다. 간장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10% 들깨유군 및 10% 고추씨기름의 단독 식이군에서 높은 반면 혼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지질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머위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 조배식;이재준;하진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61-667
    • /
    • 2006
  • 머위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머위의 잎과 줄기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머위 줄기는 잎보다 수분,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낮았다. 머위 잎은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당과 maltose와 lactose의 2종의 이당류가 검출되었고,줄기에서는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당과 lactose의 1종의 이당류가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잎에서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leucine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줄기에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leucine 순이었다. 머위잎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으로 linoleic acid, palmitic acid, $\gamma$-linolen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줄기에서는 5종의 불포화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유기산은 잎에서는 oxal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3종이 검출되었고, 줄기에서는 oxal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머위 잎과 줄기에서 비타민 A, C와 E 3종이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머위 잎과 줄기에서 8종의 무기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K이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머위의 잎과 줄기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은 함량에서의 차이가 있을 뿐 성분은 매우 유사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머위는 체내 신지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리당,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머위의 식품으로서의 이용화 가치가 한 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식물성 유지를 첨가한 가공치즈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cessed Chesse Substituted with Vegetable Oils)

  • 이건봉;김철현;차광종;백승천;정운현;유제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6-335
    • /
    • 2000
  • 본 연구는 식물성 유지를 첨가하여 유지방이 함유된 가공치즈와 가장 유사한 기호도를 가지며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을 증가시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가공치즈를 제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조된 시료의 단백질 함량, 지방함ㄹ야, T,S 함량, SNF함량, FDM함량, MaCl 함량은 각 시료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pH는 버터를 첨가한 시료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TBA가는모든 시료에서 제조 초기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버터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C4:0부터 C16:0까지 포화지방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Oleic acid는 올리브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가장 많았으며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는 홍화유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 버터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적은 함량을 나타냈다. Off- flavor 점수는 버터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올리브류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낮은점수를 나타냈다. UFA/SFA 비율과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을 고려할 경우 홍화유를 첨가한 시료가 우수한 지방산 조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선호도 검사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옥수수 유를 첨가한 시료가 버터를 첨가한 시료와 유사한 풍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ir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l Lipids and CLA Production In vitro

  • Choi, S.H.;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512-515
    • /
    • 2005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 bio-hydrogenation and production of CLA in vitro. Sixty milligrams of linoleic acid ($C_{18:2}$) or linolenic acid ($C_{18:3}$) were absorbed into the 0.5 g cellulose powder was added to the 150 ml culture solution consisting of 120 ml McDougall's buffer and 30 ml strained rumen fluid. Four uCi of 1-$^{14}C_{18:2}$ or 1-$^{14}C_{18:3}$ (1 uCi/15 mg each fatty acid) were also added to the corresponding fatty acids to estimate the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bacterial lipids. The culture solution was then incubated anaerobically in a culture jar with stirrer at 39$^{\circ}C$ for 12 h. Ammonia concentration and pH of the culture solution were slightly influenced by the fatty acids. Amount of fatty acid incorporated into the bacteria was 1.20 mg and 0.43 mg/30 ml rumen fluid for $C_{18:2}$ and $C_{18:3}$, respectively during 12 h incubation. Slightly increased CLA (sum of cis-9, trans-11 and cis-10, trans-12 $C_{18:2}$) was obtained from the $C_{18:3}$ addition compared to that from $C_{18:2}$ after 12 h incubation in vitro.

Amorpha-fruticosa종자(種子)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Amorpha-fruticosa Seeds)

  • 황병호;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6-90
    • /
    • 1974
  • Amorpha-fruticosa 종자(種子)의 지방(脂肪)을 ether 및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estorification 시켜 Gas chromatography로 지방산(脂肪酸)을 분석(分析)하고 몇 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을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morpha-fruticosa 종자(種子)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17.65%에서 조단백(粗蛋白) 21.02%, 조지방(粗脂肪) 12.04%, 회분(灰分) 5.74%로서 일반두료식물(一般豆料植物)과 비교하면 대두(大豆), 검정콩을 제외(除外)한 다른 종류(種類)에 비하여 비교적 우수한 성분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2. 각종(各種) 유기용매(有機溶媒)에 의한 본시료(本試料)의 지방추출율(脂肪抽出率)은 ether가 80.25%, methanol 80.00%로서 대등한 수치(數値)이며, benzene 77.34%, hexane 69.96%의 순위(順位)로 나타났다. 3. Ether에 의하여 추출(抽出)된 지방산(脂肪酸)의 chemical constants는 검화가 178.67, 산가 3.11, 요오드가 54.27로 측정(測定)되었다. 4. Ether에 의하여 추출(抽出)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모두 8종(種)이 검색(檢索)되었으며 이 중(中) linoleic acid (78.73wt%), palmitic acid (5.68wt%), oleic acid (5.85wt%), stearic acid (4.84wt%), linolenic acid (3.40wt%)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높으며 arachidic acid (1.06wt%), lauric acid (0.26wt%), myristic acid (0.20wt%) 등은 소량(小量)으로 나타났고 capric acid는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5. Methanol로 추출(抽出)한 지방산(脂肪酸)은 ether에서와 같이 8종(種)이 검색(檢索)되었으며 함량(含量)은 linoleic acid (77.86wt%), palmitic acid (7.77wt%), oleic acid (5.74wt%), stearic acid (4.97wt%), linolenic acid (3.56wt%)의 순(順)으로 비교적 함량(含量)이 많고 arachiaic acid (0.01wt%), lauric acid (0.01wt%), myristic acid (0.01wt%) 등은 함량(含量)이 낮으며 역시 capric acid는 ether에서와 같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 PDF

순형과(脣形科) 종실유(種實油)의 지질분획별(脂質分劃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Lipid Classes of Seed Oils of the Labiatae Family)

  • 조용계;이왕경;임영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3
    • /
    • 1988
  • Contents of total lipids,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of seed oils of 16 species of the Labiat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ipid contents of seeds were shown to be 40.6% in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32.2%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31.9% in lsodon japonicus, 32.7% in l. inflexus, 48.3% in l. serra, 35.1% in Mosls dianthera, 38.2% in M. punctulata, 33.4% in Nepeta cataria, 26.3% in Agastache rugosa, 30.9% in Eisholtzia ciliata, 18.9% in Salvia splendens, 23.9% in Lycopus maackianus, 49.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30.9% in Ametystea caerulea, 33.1% in Leonurus sibircus and 34.3% in Scutellaria basicalensis. 2) Contents of neutral lipids,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rom the seed oils amounted to 98.6%, 0.7%, 0.8%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95.5%, 1.3%, 3.1% in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95.1%, 1.8%, 3.1% in l. japoincus; 91.4%, 3.5%, 5.1% in l. inflexus; 96.8%, 0.7%, 2.5% in l, serra; 96.0%, 1.8%, 2.2% in Mosla dianthera; 94.7%, 2.0%, 3.3% in M. punctulata; 90.1%, 2.4%, 7.5% in Nepeta cataria; 90.1%, 3.4%, 6.5% in Agastache rugosa; 86.3%, 3.3%, 10.4% in Elsholtzia ciliata; 94.3%, 1.5%, 4.3% in Salvia splendens; 87.2%, 2.9%, 9.0% in Lycopus maackianus; 87.0%, 1.5%, 11.5% in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91.8%, 1.6%, 6.6%; 95.5%, 0.4%, 4.1% in Leonurus sibricus; 89.0%, 1.4%, 9.6% in Scutellaria baicalensis. 3) Total lipids revealed the predominace of unsaturated fatty acids (82.0-94.5%) and larger variations were found in the composition of ${\alpha}-linolenic$ acid (0.4-67.9%) and linoleic acid (11.2-82.9%). High level of ${\alpha}-linoenic$ acid was present in P.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67.9%),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66.0%), lsodon japonicus (65.2%), l. inflexus (59.0%), l. serra (57.3%), Mosla dianthera (60.9%), Nepeta cataria (58.3%), Agastache rugosa (58.5%) and Elsholtzia ciliata (46.2%), and followed by linoleic acid (11.2-32.1%) and oleic acid (9.3-12.2%). However,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component in the total lipids of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62.4%), Ametystea caerules (82.9%), Leonurus sibricus (60.9%) and Scutellaria baicalensis (63.4%), with very small amounts of ${\alpha}-linolenic$ acid (0.4-3.1%). The total lipids of Salvia splendens, Lycopus maackianus and Mosla punctulata also contained linoleic acid of 31.3%, 48.8% and 53.4%,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alpha}-linolenic$ acid of 34.5% 27.0% and 16.7%. Palmitic acid was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in all the oils investigated (4.1-14.2%). 4) Fatty acid profiles of neutral lipids bore a close resemblance to those of total lipids in all the seed oils, but different from those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Fatty acid composition pattern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showed a considerably increased level of saturated fatty acids (19.0-66.8%, 17.8-35.2%) mainly composed of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and a noticeable low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41.2-80.9%, 64.7-82.1%) which was ascribed to the decrease in ${\alpha}-linolenic$ acid of high ${\alpha}-linolenic$ acid seed oils, and in linoleic acid of high linoleic seed oils, compared to that of total lipids and neutral lip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