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ed Open Data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4초

이기종 환경에서 RDF 컨버터 이용한 데이터 형식 통합 관련 연구 (Research on Integrated Data Format Using RDF Converter in Heterogenous Environment)

  • 박희정;김경태;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503-505
    • /
    • 2014
  • 지능형 웹의 확장을 위해 링크드 데이터(Linked Open Data)를 통한 표준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링크드 데이터는 RDF, SPARQL을 이용한 정보를 더욱 더 지능적이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환경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을 지니게 되므로 통합환경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이기종 환경에서의 데이터 형식 변환이 가능한 RDF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RDF 컨버터는 SPARQL를 비롯한 다양한 질의어로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석, 변환이 가능하다. 성능평가를 통해 RDB 데이터 형식 분석과 RDF 데이터 변환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였고 D2RQ와 Jena2의 비교를 통해 서로 다른 RDB 데이터가 D2RQ에서 변환시간이 4.2% 빠르다는 성능을 증명하였다.

  • PDF

학술정보 시각화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Journal and Article Visualization Services)

  • 조성남;서태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3-196
    • /
    • 2016
  • 과학기술의 지식화 매체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학술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정보가 문자 위주로 서비스되고 있어서, 연구자들이 검색 결과를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 내용 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학술정보의 경우도 시각화한다면 원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지 모델과 논문기사 모델을 제시하고, 각 정보 항목에 적합한 시각화 방법을 활용해서 시각화를 수행하였고, LOD(Linked Open Data) 인터링킹(Inter-linking)을 통해서 태그클라우드 상의 단어의 의미를 해설해주는 서비스도 개발 하였다.

Analysis of LinkedIn Jobs for Finding High Demand Job Trends Using Text Processing Techniques

  • Kazi, Abdul Karim;Farooq, Muhammad Umer;Fatima, Zainab;Hina, Saman;Abid, Ha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223-229
    • /
    • 2022
  • LinkedIn is one of the most job hunting and career-growing applications in the world. There are a lot of opportunities and jobs available on LinkedIn. According to statistics, LinkedIn has 738M+ members. 14M+ open jobs on LinkedIn and 55M+ Companies listed on this mega-connected application. A lot of vacancies are available daily. LinkedIn data has been used for the research work carried out in this paper. This in turn can significantly tackle the challenges faced by LinkedIn and other job posting applications to improve the levels of jobs available in the industry. This research introduces Text Processing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datasets of LinkedIn which aims to find out the jobs that appear most in a month or/and year. Therefore, the large data became renewed into the required or needful source. This study thus uses Multinomial Naïve Bayes and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text classification and developed a trained multilingual dataset. The results indicate the most needed job vacancies in any field. This will help students, job seekers, and entrepreneurs with their career decisions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vitalizing the Use of Korean Public Data: Focused on Linked Open Data Strategy)

  • 이현정;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9-266
    • /
    • 2014
  • 우리나라는 공공데이터 제공과 관련된 제도가 최근 제정되면서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개방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정부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공공데이터를 하나의 국가부존 자산으로 활용하여 국익을 창출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의 개방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이기 때문에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17개 광역시도와 기초 자치단체 228개 시 군 구에서 보유한 것을 전수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각 기관에서 생산 및 소장한 공공데이터에 대한 목록파악과 공개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것과 개방 데이터의 포맷도 특정 소프트웨어에 의존적인 형태였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지역 공공데이터개방과 활용을 높일 방안으로 링크드 오픈 데이터 형태로 개방하는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가 공공데이터개방을 위한 통합 플랫폼을 통한 종합적 개방절차와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데이터와 오픈플랫폼의 효율적 자료연계를 위한 연계서버 모형 (Interface Server Model for the Effective Data Link between Public Data Portal and Open Platform)

  • 연성현;이인수;차득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13-125
    • /
    • 2014
  • 현재 정부에서는 실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제공 계획을 수립하고, 다량의 공공정보를 개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공공정보 개방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바탕으로 개방된 공공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를 공간정보 분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정보 개방 창구인 공공데이터포털의 연동 정보를 분석하여 공간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 대상을 선별하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외부시스템 간의 데이터 연계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의 공공정보와 오픈플랫폼 간의 자료연계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연계서버 모형을 정립하여 향후 오픈플랫폼과 공공데이터포털 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공간정보서비스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LOD기반의 재난안전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 김태영;강주연;김혜영;김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63-188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해 LOD기반의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 및 오프라인 인터뷰를 수행하여 재난안전정보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재난안전정보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재난안전정보 영역과 함께 도출된 재난안전정보 LOD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 LOD의 구축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LOD 구축 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적용하였다. 특히, 재난안전정보 6가지 영역을 토대로 표준용어집 및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온톨로지 개념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 관광지 추천 시스템 구현 - 한국관광공사 LOD를 중심으로 - (Big Data based Tourist Attractions Recommendation - Focus on Korean Tourism Organization Linked Open Data -)

  • 안진현;김응희;김홍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129-148
    • /
    • 2017
  • 기존 전시회 정보 제공 서비스는 전시회가 열리는 장소 주변의 관광지를 추천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추천의 경우 전시회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관광지를 추천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관람객에게 추천함으로써 전시회에서 획득한 지식을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데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전시회 큐레이터들이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일일이 찾아 추천하는 방법이 있지만, 수작업이다 보니 큐레이터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범위 내에서만 추천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수작업에 따른 오류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자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자원으로는 한국관광공사 LOD(Linked Open Data), 위키피디아, 국립국어원 사전 등을 활용했다. 단일 컴퓨터로는 이러한 대용량 언어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프레임워크인 아파치 스파크(Apache Spark)에 기반하여 구현했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전시회 정보를 열람하면 본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관광지들을 같이 보여주는 웹인터페이스도 구현했다(http://bike.snu.ac.kr/WARP). 주요 전시회에 대한 관광지 추천 정확도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했다.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전시회 큐레이터의 수작업을 줄여줄 수 있고 전시회 관람자들을 관광지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시산업과 관광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Linked Open Data기반 대통령기록관 기록정보 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 이정현;이윤용;방기영;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82
    • /
    • 2015
  •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사회성과 국정 운영에 대한 설명책임을 지니고 있는 기록물로써 대통령기록관에서는 이를 보존 관리하며 서비스 하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기록관에서 제공하는 검색시스템과 온라인콘텐츠는 이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보다 나은 기록정보서비스의 확장을 위해 노무현대통령 재임기간에 생산된 기록물을 이용하여 LOD(Linked Open Data)를 통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구체적인 방안은 3단계로 나누었으며, 1단계는 구축방법 설정, 2단계는 온톨로지 설계, 3단계는 RDF변환 및 타 기관과의 연계방안이다. 이를 통하여 대통령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History Contents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 윤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7-315
    • /
    • 2013
  • 역사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우리 역사에 쉽게 접근하여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역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구축을 통해 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문연구자 중심의 원문 DB구축에서 탈피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 콘텐츠 구축은 여러 기관, 포털, 그리고 일부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정보 공유 및 활용성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공유 및 연결을 통한 정보유통 체계를 확보하여 웹상의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결로 풍부한 정보제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위치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Responsive Web Application for Location-based Semantic Search)

  • 이수형;이용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2
    • /
    • 2019
  • 기존의 Open API들과는 달리 링크드 데이터는 웹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지식베이스로 만들어 수준 높은 SPAR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셋으로부터 서로 다른 정보들을 매쉬업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링크드 데이터인 DBpedia와 Google에서 제공하는 GoogleMap API를 매쉬업하고 검색된 개체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맨틱 브라우저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반응형 웹 디자인 사상을 적용하여 PC 및 모바일 등 다양한 접속 환경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기능이 유사한 현존 시스템들과 기능 스펙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시맨틱 사용, 링크드 기반 브라우저, 매쉬업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본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