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Wall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34초

다양한 측정 환경 및 반사 조건에 대한 시각안전 LIDAR 신호 분석 (Analysis of Eye-safe LIDAR Signal under Various Measurement Environments and Reflection Conditions)

  • 한문현;최규동;서홍석;민봉기
    • 한국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04-214
    • /
    • 2018
  • LIDAR는 정밀 측정이 가능한 특성을 기반으로 정확한 정보 획득과 고해상도 3차원 영상 구현에 유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확한 정보 획득과 판단이 요구되는 자율 주행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LIDAR를 접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이 인간의 생활권 안에서 활용되면서 시각안전 문제에 대한 해결과 함께 다양한 환경에서 정확한 장애물 인식을 통한 신뢰성 있는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550 nm 시각안전 광원을 활용한 Single-Shot LIDAR system (SSLs)을 구성하고 다양한 측정 환경, 반사 물질, 물질의 각도에 대한 LIDAR 신호 분석 방법과 결과를 보고한다. 실내, 주간, 야간의 환경에서 25 m 거리에 위치한 5% 알루미늄 반사판과 건물 벽을 활용하여 각 측정 환경에서 반사율이 다른 물질에 대한 신호를 분석하고, 다양한 각도를 갖는 실제 장애물을 고려하여 반사 물질의 각도 변화에 대한 신호 분석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신호 분석은 수신 정보의 신뢰도 판별을 위한 SNR과 거리 정보 정확성의 지표인 타이밍 지터를 활용하여 측정 환경 및 반사 조건과 LIDAR 신호 간의 상관관계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균열모형시추공을 이용한 광학영상화검층 품질관리 시험 (A Quality-control Experiment Involving an Optical Televiewer Using a Fractured Borehole Model)

  • 정승호;신제현;황세호;김지수
    • 지질공학
    • /
    • 제30권1호
    • /
    • pp.17-30
    • /
    • 2020
  • 광학영상화검층은 광원과 CMOS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시추공벽을 이미지로 구현하는 물리검층 기술로 지하의 불연속면에 대한 여러 가지 원위치 정보를 고분해능으로 제공한다. 최근 시추공영상화검층은 지반침하 모니터링, 암반 무결성 평가, 응력으로 인한 단열 변화 탐지, 극지에서의 빙하 연대측정 등 그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 국내외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추공영상화검층 시스템은 장비 사양에 따라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 범위에 대한 검증과 여러 가지 시추공 환경에 대한 적절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광학영상화검층의 자료로 도출되는 이미지는 원위치 정보로 정확도, 구현도, 신뢰성에 대한 검증에 직접적인 비교 확인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있는 고품질 자료 취득 방법과 자료 처리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시추공 환경과 유사한 모듈화 된 균열모형시추공을 설계·제작하여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실험에 대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검출기 자기계 방향 확인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노출시간에 따른 색상의 구현도 및 균열의 분해능 관계, 정확한 간극 측정을 위한 자료 처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시추공 환경을 모사한 균열모형시추공 실험을 통해 고분해능의 신뢰성 높은 광학영상화검층의 자료 취득 및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808 nm 파장의 고출력 근적외선 레이저 조사 시 돼지 조직의 천공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orcine Tissue Perforation Using High-Power Near-Infrared Laser at 808-nm Wavelength)

  • 김성준;조지용;최재순;이돈행;김중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9호
    • /
    • pp.807-814
    • /
    • 2013
  • 소화기 내시경에 장착된 808 nm 파장의 고출력 근적외선 레이저를 장벽에 조사하여 병변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용 의료기기의 개발을 목적으로 레이저-조직 상호작용에 관한 기초 실험을 진행했다. 레이저 출력 3~12 W, 조사 시간 5~20 s 범위에서 각 변수의 증가에 따라 천공 깊이가 1~4 mm 범위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돼지에서 적출한 각 장기에 대한 레이저 조사 시 천공 깊이가 조직 특성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했다. 온도 측정 결과로부터 열에너지가 레이저 조사 지점에 집중되고 심부로 전달되어 주변 조직의 열손상은 방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위, 대장 등의 소화기 조직에서 일정한 절개 깊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근적외선 레이저의 구동 조건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중국.고대 돈황가중의 복식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unhuang Costume on the Folk Song's words in Dnag's period of the China.)

  • 김은주
    • 복식
    • /
    • 제22권
    • /
    • pp.159-176
    • /
    • 1994
  • This study's purpose is to find the ancient costume of the folk song's words on Dunhuang manuscripts in the background wass-carvings sculptures and several art works. Dunhuang had played the part of major route between ancient China and Europe. It is located on kam-suksong the west of China. 1. In the aspect of costume arrangement hair Styling is represented by Naegagyo, Wangyesa, Kyongburak, Bonkwyun, Pogurak, Chonsonja, Namgaja, Tongson-ga, Ojesa, Chanboja in Dunhuang manuscripts. tugue is sim-ilar to Sabyokkwanja in Naegagyo as of that time these kinds of Kwan-ja was very popular. It was told that emperor's wife concubine and maid of honor would wear kwnaja favorably. And the kinds of Tugeu is PuyongKwyunkye, Aangunkye, Chunkye from Kyuwanjon except Sangunkye, Ounkye in Dunhuangsa. 2. Jangdaegy is guoted from Kyuw-anjon -A series of the chinese history book-tells us about women's make-up . The narmes of make-up are Hongjang Unjan--g, Yiljang chwejang, Tam-ajang Murgjang, Sanagjang, Light-make up are referred in Naegagyo is included as packjang Besides we can find other make-up skills Huphwaro and Rujang from the Kaewonch onbon-wisa which was Yangkwibi's episodes. We can find the a corpus of song's words about cosmetic custom in Kor-ea. Which is 'Haecho' folk song in the souther-en costal regions 'Jinggum' folk song in Kim-hae regions and so on.... It's words is similar to Dunhuangsa in China. 3. Bichun inherited to China with India Bud-dism art in the middle of Dunhuang wall-pain-tings is one of the important Buddist saint. Sometimes it is painted with Giakchun Its arms of fly-dnacing in heaven with colored belt on body has almost the form of play on the musical instrument, We can see seasily the form in the painting of Buddist ser-mon. It was progressed and changed with the background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en Dang's period came the color was chan-ged lighting dark blue has rhythmical and viv-id power of life. 4. Among the corpus of song's words which express the singers' system and rites of their tradition or habits. Dunhuang manuscripts des-cribes on behalf of the folk song's words in tra-ditional costume. This is following: (1) Naegagyo o sabyokwanja o Chyrasam o Rashang (2) Wangyesa o Sokryugun o Costume for fisher man (3) Bungajang of the chanboja o Ajang (4) Pongkwyun o Chongui (5) Tongsongs o Junofore (6) Namgaja o thin-Rasam (7) Yuchungnang o Hongsam o Sokryugun : The color of red costume (8) Kyongburak o Hongrasam o Sokryugun : Costume for charming woman Therefore traditional costume could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Dunhuang folk song's words out of culture such as learning rit-es three-obedience four-virtues and in-struction. As the same time it reflects ancient China's characteristics directly. I would endeavor to development for the history of the costume furher creative design and participat-ed in research activity with concerns forward continuously.

  • PDF

간척지에서 재배된 양마(kenaf)의 해부학적 특성(II) - 구성 비율 및 세포의 치수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enaf Grown in Reclaimed Land - Volumetric Composition and Cell Dimension -)

  • 이선화;권성민;엄기증;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11-18
    • /
    • 2008
  • 국내 간척지에서 생장한 양마(kenaf)의 생장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보(이 등, 2007)와 동일한 시료를 이용하여 생장기간과 높이에 따른 조직 및 구성 세포의 비율, 섬유 길이 및 도관 직경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벽 중의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 폭을 X선회절법으로 측정하였다. 양마의 구성 비율은 사부 10~15%, 목부 66~82%, 수 7~19% 정도였는데, 줄기 높이와 생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사부내에서는 사부방사조직이 약 50%, 인피섬유가 약 20%, 피층, 사관 등 기타 요소가 3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부의 구성 비율은 목부섬유가 약 75%, 방사조직이 약 15%, 도관이 약 10%를 차지하였다. 양마목부의 세포벽 비율은 기부 30.92%, 최상부 46.40%로 최상부가 기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피섬유의 길이는 줄기 기부에서 약 2.8 mm이고 높이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며 생장기간이 길어지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목부섬유 길이는 생장기간과 줄기 높이에 관계없이 약 0.9 mm의 안정된 값을 나타내었다. 도관의 방사 및 접선방향 직경은 생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고, 줄기 높이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상대결정화도는 사부에서 70~79%, 목부에서 50~56%로 사부가 높았고, 줄기 기부가 상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결정 폭은 사부와 목부에서 약 3 nm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각 조직과 조직 구성 요소의 비율 및 세포의 치수는 양마의 줄기 높이와 생장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지만 셀룰로오스의 결정구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조(藍藻) Microcystis aeruginosa Kutzing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Fine Structure of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Kutzing)

  • 최민규;김백호;문연자;정연태;이종빈;위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4호
    • /
    • pp.389-399
    • /
    • 1996
  • 주암호의 유입하천중 이화학적 조건이 서로 다른 보성천과 동복천에서 채집된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 Kutzing의 미세구조에 대한 형태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온과 pH를 제외한 다른 환경요인들은 두지점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M. aeruginosa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세포는 부정형 군체를 형성하며, 투명한 점액질로 싸여 있었다. 세포는 난형 또는 구형에 가깝고, 크기는 $2.61{\sim}5.40{\mu}m$의 범위로서, 평균 $3.54{\pm}0.19{\mu}m$였다. 세포질내에는 많은 다양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polyhedral bodies(carboxysomes), polyphosphate, cyanophycin granules 외에 photosynthetic lamellae와 gas vacuoles 등이 비교적 뚜렷하였다. 두 채집장소간의 형태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염류 수준이 높은 표본에서 polyphosphate와 cyanophycin granules이 숫적 증가를 보였다. 세포분열은 이분법으로 초기에 정중앙부의 좌우로부터 합입이 일어났으며, 주로 세포벽의 제1층과 제2층이 관여하였다. 세포벽의 외부층은 크게 두가지 형태의 filaments층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

Caeoma makinoi에 의한 매실나무 꽃눈녹병의 발생 보고 (Flower Bud Chloranthy Disease Caused by Caeoma makinoi on Prunus mume)

  • 이승열;이연희;박수진;이한동;이재진;강인규;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7-381
    • /
    • 2016
  • 2015년 5월, 경상북도 의성군 소재 매실과원에서 비정상적인 엽화증상이 매실나무에서 관찰되었다. 관찰된 엽화증상에서는 외부에 주황색의 돌기가 관찰되었고,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녹포자퇴로 확인되었다. 자세한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녹포자는 구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었고, 약 $22.8{\sim}35.6{\times}19.8{\sim}36.8{\mu}m$ 크기를 가지면서 표면은 무사마귀형으로 관찰되었다. 녹포자의 정확한 동정과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18S rDNA와 large subunit rDNA 영역을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실나무의 엽화증상에서 관찰된 병원균은 일본에서 분리된 Caeoma makinoi (Teleomorph: B. smilacis) 균주와 100%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매실나무에서 엽화증상을 일으키는 녹병균을 Caeoma makinoi로 보고하고, 위 병원균에 의한 매실나무 엽화증상을 매실꽃눈녹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4-208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 PD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pharyngostrigea pipientis Faust, 1918 (Trematoda: Diplostomidea) from Ardeacinerea jouyi, Egretta intermedia and Nycticorax nycticorax in Korea

  • Kim, Hyeon-Cheol;Hong, Eui-Ju;Ryu, Si-Yun;Choi, Kyoung-Seong;Yu, Do-Hyeon;Cho, Jeong-Gon;Park, Jinho;Chae, Joon-Seok;Park, Bae-Ke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42-248
    • /
    • 2020
  • An intestinal strigeiid trematode, Apharyngostrigea pipientis, was detected from Ardea cinerea jouyi, Egretta intermedia and Nycticorax nycticorax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20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Kangwon-do, Republic of Korea. It was observed with a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molecularly analyzed with 18S rRNA genes. The infection rate of the strigeiid trematode was 25.9% (7/27). The body is cylindrical in whole mount, greatly elongated in outline and shows a strong dorsal curvature. The overall measurements are: length 4.1-4.8 mm; fore-body 1.00-1.20 mm by 0.8-0.9 mm; hind-body 3.2-3.6 mm by 0.43-0.46 mm. The body is covered by a relatively thick cuticle, devoid of spines. The oral sucker leads into a short esophagus that is devoid of a muscular pharynx. The holdfast organ is enormously developed. The vitelline follicles distributed dorsal wall of fore-body and hind-body. This strigeiid trematode especially differs from other species of genus Apharyngostrigea in morphology. Although these A. pipientis are several morphological distinctions from Apharyngostrigea cornu, the partial sequence of 18S rRNA showed the sequence homology of A. pipientis (99.9%) and A. cornu (99.8%), and this result revealed their con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A. cornu and A. pipienti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pipientis in the Republic of Korea.

먹이생물로써의 섬모충 6종의 평가와 Euplotes sp.의 배양 환경 (Evaluation of Six Species Ciliates as a Live Food and Culture Environment for Euplotes sp.)

  • 유진형;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47
    • /
    • 2002
  • 섬모충은 윤충류보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얇은 세포벽, 느린 운동성, 빠른 번식률로 새로운 동물성 먹이생물로써 개발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 연안 수역인 수영만, 광양만 및 경기만 소래 염전지역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6종의 섬모충을 채집하였으며, capillary pipette로 분리 $\cdot$배양하였다. 먹이생물로써의 개발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크기, 운동성, 배양밀도 및 부유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채집된 섬모충류 가운데 광양만에서 채집된 Euplotes sp. (K-1)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MErds 기본배지에 glycine, glucose, yeast extract을 각 0.1 g씩 첨가하여 변형한 MErds-2 배지는 기본배지보다도 약 6배의 번식률을 보여, Euplotes sp.를 비롯한 기타 섬모충 배양배지로도 유용하였다. Euplotes sp. (K-1)은 수온 $22.5^{\circ}C$, pH 8,조도 2,000 lux에서 각각 최고의 번식률을 보였으며, 이들 환경조건에 대해 비교적 폭넓은 환경적응력을 나타내었다. 한편, 빵효모 1.0 g/L의 첨가에 의해서도 대량배양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섬모충은 종보관이 용이하며 폭넓은 환경 적응력과 간단한 방법의 대량배양이 가능하여 초기 동물성 먹이생물로써의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