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Polymerization Shrinkag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측정장치의 compliance 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음력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TRUMENT COMPLIANCE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STRESS MEASUREMENTS OF DENTAL RESIN COMPOSITES)

  • 서덕규;민선홍;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45-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측정장치의 compliance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응력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위센서, cantilever load cell과 부궤환 (negative feedback) 시스템을 적용하여 compliance를 허용하는 것과 허용하지 않는 두 가지 모드로 중합수축응력의 측정이 가능한 stress-strain analyzer를 제작하였다. 한 종의 flowable (Filtek Flow: FF) 복합레진과 두 종의 universal hybrid (Z100: Z1 and Z250: Z2) 복합레진이 사용되었다. Load cell의 끝과 base plate에 고정된 직경 3.0 mm의 금속 막대에 silane을 처리하였다. 1.0 mm의 거리로 고정한 두 개의 금속 막대 사이 에 복합레진을 적용한 후 광중합을 하였다.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과 중합수축응력을 10 분 동안 기록하였고 인장탄성계수도 구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분산분석과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95% 유의수준에서 Tukey'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측정된 중합수축 응력은 재료와 compliance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Compliance를 허용한 모드에서 중합수축응력은 FF: 3.11 (0.13)이 가장 컸으며 Z1: 2.91 (0.10), Z2: 1.94 (0.09) Mpa의 순서였다. 측정장치의 compliance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Z1 17.08 (0.89)이 가장 컸고 FF: 10.11 (0.29), Z2: 9.46 (1.63) MPa의 순이었다. 또한 Z1, Z2, FF의 인장탄성계수는 각각 2.31 (0.18), 2.05 (0.20), 1.41 (0.11) GPa 이었다. 중합수축응력은 compliance mode에서는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이 주요 영향 요인이었으며, compliance를 배제한 모드에서는 탄성계수의 효과가 지배적이었다.

반직접법 레진 인레이를 이용한 구치부의 수복 (SEMIDIRECT RESIN INLAY RESTORATION OF POSTERIOR TEETH)

  • 한미란;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79-485
    • /
    • 1999
  • 복합레진을 이용한 수복은 재료의 낮은 강도와 중합수축으로 인한 변연 누출 그리고 상아질과의 결합력 등으로 인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 물성의 향상 및 상아질 결합제의 발달로 심미수복이 필요한 여러 부위에 이용되고 있다. 반직접법을 이용한 레진 인레이는 와동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직접 수복이 곤란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어린 환자의 영구구치 수복시 적절한 비용으로 가급적 오랫동안 보철치료를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직접법의 장점으로는 중합수축으로 인한 변연누출이 적고, 2차 중합을 통해 중합도가 증가하여 강도가 증가되며, 간접법시 필요한 기공실 과정이 불필요하여 1회의 내원으로 치료 가능하다는 것 등이 있다. 본 증례는 심미적 치료를 원하는 환자의 구치부 수복시 반직접법을 이용한 레진 인레이를 사용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물성 (Properties of Polymer Nanocomposites Useful for Dental Restoration)

  • 김오영;한상혁;서기택;공명선;김창근;임범순;조병훈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422-426
    • /
    • 2005
  • 가시광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주요 물성을 고찰하였다. 복합체 제조에 사용한 충진재는 barium silicate와 나노 크기의 fumed silica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충진재를 사용하였으며 bisphenol A glycerolate methacrylate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로 구성되는 resin matrix와의 계면력 향상을 위해 실란 결합제로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나노 충진재가 첨가됨에 따라 내마모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중합수축률 값은 나노 충진재 함량에 관계없이 3 vol% 이하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광조사가 끝난 후에도 중합수축은 지속적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합체의 색차는 나노 충진재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근소한 차이로 증가되었다.

Methacrylate 견직물가공과 방추도개선에 대한 연구 (Studies on Methacrylate Finish with Silk Fabrics and their Anticrease)

  • 최병희;이양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5-73
    • /
    • 1986
  • 본 연구는 Methacrylate monomer를 실크직유 속에서 중합시킴으로서 실크의 방추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몇가지 시료직물을 원포와 가공포로 분류하고 세탁을 반복함에 따른 방추도, 강연도 및 세탁수축도를 조사하였다. (1)Polyester, Geogette, 직물밀도…90cm-85g/m (2)Silk, Twill, 정사견, 박지, 직물밀도…90cm-90g/m (3)Silk, Twill, 정사견, 후지, 직물밀도…90cm-200g/m (4)Silk, Satin, 정사견, 박지, 직물밀도…90cm-90g/m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가공처리한 견직물들의 방추도는 원포의 것보다 약 10%의 증가를 보였다. (2)박지견직물의 방추도가 만족할 만치 개선되었으나 후지견직물은 다소 미흡한 결과이였다. (3)강연도는 가공견직물들의 촉감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공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 것인바 문제점이 없었다. (4)세탁후의 수축도는 모든 견직물이 polyester 보다 크게 나왔는데 그 이유는 견직물의 공장정리공정에 tenter처리로 물리적 증폭된 것을 원포로 썼기 때문으로 본다. (5)각 직물의 방추도, 강연도 및 방추도가 세탁반복에 따라 다소간 나쁜 방향으로 변하고 있는 결과를 보았는데 이것은 직유의 취화처리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6)결론적으로 견직물을 수지가공했다고 세탁해서 착용할 것이 아니라 역시 dry deaning을 하여 가공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상책으로 본다.

  • PDF

Bulk-fill 복합레진과 전통적 복합레진의 물성비교 (Comparis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Bulk-fill and Conventional Composites)

  • 노태환;송은주;박소영;표애리;권용훈;김지연;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65-373
    • /
    • 2016
  • 치아우식증을 치료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복재료 중 하나는 레진이다. 하지만 레진은 중합수축, 긴 작업시간, 수분 및 오염에 민감하다는 단점들이 존재하고 어린이를 치료할 때 더 두드러진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bulk filling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bulk-fill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복합레진과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함이다. 전통적 복합레진 3 종류(Filtek Z-350 (Z-350), Unifil Flow (UF), Unifil Loflo Plus (UL)), bulk-fill 복합레진 2종류 (SureFil SDR flow (SDR), Tetric N-Ceram bulk fill (TBF))를 사용하였다. 광중합기는 light-emitting diodes를 사용하였고, 한번 중합할 때 20초간 시행하였다. 재료들의 미세경도는 비커스경도기로 측정하였고, 중합도 측정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사용하였다. 중합수축량은 컴퓨터로 제어되는 linometer를 이용하였다.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는 3점 굽힘 시험법으로 측정하였고, 압축강도 및 압축계수와 함께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ANOVA를 사용하였고, Scheffe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미세경도는 상면에서 Z-35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하면은 TBF가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UL은 상하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 값의 비는 SDR, TBF가 높았다. 중합도는 bulk-fill 복합레진과 유동성 복합레진 상하면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Z-350는 상하면 모두에서 55% 이하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Z-350이 가장 높았으며 SDR이 낮게 나타났으나 UL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압축계수는 Z-350이 높게 나타났고, UL이 가장 낮았다.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는 Z-350이 가장 높았다. UL은 굴곡강도 및 굴곡계수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UL이 가장 높은 중합수축을 보였고, Z-350이 가장 낮은 중합수축 값을 나타냈다. 유동성 복합레진이 비유동성 복합레진보다 중합 수축 양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bulk-fill 복합레진의 물성은 전통적 복합레진보다 떨어지지만 bulk filling할 때 중요한 상하면의 미세경도비 및 중합도는 높게 나타나 어린이의 치아우식증 수복치료 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계별 광중합 방식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수축 응력과 변연 접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P CURING ON THE CONTRACTION STRESS AND MARGINAL ADAPTATION OF RESIN RESTORATION)

  • 박종휘;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1-232
    • /
    • 2006
  • 본 연구는 단계별 광중합 방법이 복합레진의 중합 및 수축 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자연치를 대상으로 와동을 형성하고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의 통법에 의한 연속 조사 및 단계별 조사법으로 각각 복합레진을 중합시킨 후 수축 응력을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수복물과 와동의 계면부에서 접착 상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광중합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팽창되었다가 초기에는 급격한 수축 응력의 증가를 보였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수축 응력의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2. 동일한 광조사 군내에서는 hybrid형인 Filtek $Z-250^{TM}$군보다는 flowable형인 $Filtek\;flow^{TM}$군이 더 적은 수축 응력을 보였다. 3. Filtek $Z-250^{TM}$군에서는 LED 단계별 조사군이 수축 응력 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4. $Filtek\;flow^{TM}$군 역시 LED단계별 조사군이 수축 응력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나(P<0.05) Filtek Z-250군에서와 같이 다른 조사군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5.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복합레진과 와동벽과의 접합 상태는 긴밀한 상태를 보였으나 LED 조사군에서 일부 틈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hybrid형 복합레진의 경우 단계별 중합방식을 사용할 경우 단일광도의 중합방식에 비해 수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적절한 변연 적합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임상적으로 고광도 LED 광중합기의 경우 단계별 중합방식의 사용이 유리하다고 사료된다.

  • PDF

복합레진의 exponential 중합법이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PONENTIAL CURING OF COMPOSITE RESIN ON THE MICROTENSILE DENTIN BOND STRENGTH OF ADHESIVES)

  • 성소래;서덕규;이인복;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2호
    • /
    • pp.125-133
    • /
    • 2010
  • 접착제를 통해 치아에 접착되는 상부의 복합레진의 빠른 중합은 접착제층에 높은 중합수축응력을 발생시킨다. 중합수축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LED 광중합기의 하나인 Elipar FreeLight 2 (3M ESPE, USA)에서는 최초 5초 이내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내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이 복합레진의 초기 중합수축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접착제 적용 후 상부의 복합레진을 exponential 중합법과 continuous 중합법으로 중합하여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를 비교하였다. 3M사의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MP), Single Bond 2 (SB), 및 Adper Prompt (AP)의 세 종류의 접착제를 발치한 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에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적용하고, 혼합형 복합레진인 Denfil (Vericom, Korea)을 두 가지광중합방법으로 중합하였다. 접착 후 48시간에 미세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면은 FE-SEM.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접착제에서 중합방법에 따른 접착강도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Two-way ANOVA, p > 0.05). MP와 SB의 미세인장접착강도는 AP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대부분의 파절시편에서는 혼합형 파절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나, 중합방법에 따른 파절양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5초 이내의 짧은 시간에 광강도를 증가시키는 exponential 중합법은 continuous 중합법과 비교하여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수산화인회석이 충전된 고분자 복합체의 치과적 물성 (Dental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Filled Polymer Composite)

  • 서기택;윤진구;김주환;김오영
    • 응용화학
    • /
    • 제9권2호
    • /
    • pp.25-28
    • /
    • 2005
  • To evaluate the dental restorative application of polymer composites filled with hydroxyapatite (HAP) which is an inorganic component of human bone material, dental properties of the polymer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A visible light system was utilized to activate the acrylate resin matrix of the composites. Maximum loading percentage of HAP in composite was 65 wt% and the depth of cure was 6.0 mm which can be applicable for dental restoration. With increasing the HAP content, degree of conversion of polymer composites was slightly decreased, however, polymerization shrinkage value was not varied. Diametral tensile strength value was enhanced with an increase of HAP content, however, there was no strict trend between flexural strength and HAP concentration. Anyhow, polymer composites prepared herein have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sufficient specifications applicable to dental materials.

수산화인회석이 충전된 고분자 복합체의 치과적 물성 (Dental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Filled Polymer Composite)

  • 김오영;서기택
    • 폴리머
    • /
    • 제30권2호
    • /
    • pp.135-139
    • /
    • 2006
  • 인체 뼈의 주성분인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HAP)이 충전된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치과적 물성을 분석하여 치과용 수복재료로의 응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합체 제조에 사용된 기질인 아크릴계 단량체는 가시광선으로 경화시켰다. 실험 결과, HAP는 무게비로 65%까지 첨가되었으며 중합깊이는 6.0 mm 정도로서 일반적 치과용 수복재료로의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복합체의 중합전환율은 HHP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약간 감소하였으며 중합수축률은 HAP 변화량에의 의존성이 거의 없었다.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은 HAP함량이 증가할수록 간접인장강도는 증가하였고 굴곡강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그 값들은 치의학에서 규정한 값들을 상회하여 치과용 재료로의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레진의 간헐적 광중합 방법이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MITTENT COMPOSITE CURING ON MARGINAL ADAPTATION)

  • 윤용환;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248-259
    • /
    • 2007
  • 이 실험의 목적은 광중합복합 레진을 자체 제작한 광조사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변연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간헐적 광중합의 영향을 알아 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Pyramid (Bisco, Schaumburg, U.S.A)와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이다. 발치된 상악 소구치에 class II MOD 와동 형성 후 위 두 재료를 bulk 충전하고 다음의 중합cycle에 따라 중합시켰다: 제1군-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제2군-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제3군-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제4군-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 저작재현장치 (R&B, Daejeon, Korea)로 720000회의 운동횟수, 분당 120의 회전속도, $5^{\circ}C$$55^{\circ}C$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6000회 주사하면서 5.0 kg의 하중을 치아에 적용하였고 실험 전후 변연적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times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면, 인접면, 치은면 등 세 부위로 나누어서 법랑질 변연을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적합도에서 각 군간, 재료간, 저작 운동 전후 차이를 보기 위해 thre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고, 부위별 변연적합도에서는 각 군에서 부위별 차이와 각 부위에서 군간 차이를 보기 위해 각각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다 (95% 유의수준). 전체 변연적합도를 보면, 저작 운동 전에는 Pyramid의 경우 3, 4군이 1,2군에 비해, Heliomolar의 경우 3.4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저작 운동 후에는 Pyramid. Heliomolar모두 3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다 (p < 0.05). 재료간 비교에서는 저작 운동 잔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 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 4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