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 of intermittent polymerization on marginal adaptation by comparing the marginal adaptation of intermittently polymerized composite to that of continuously polymerized composite.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Pyramid (Bisco Inc., Schaumburg, U.S.A.) and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class II MOD cavities prepared in 48 extracted human maxillary premolar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light curing method: group 1- continuous curing (60s light on with no light off), group 2-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3s with 2s light on & 1s light off for 90s); group 3- 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2s with 1s light on & 1s light off for 120s); group 4- intermittent curing (cycles of 3s with 1s light on & 2s light off for 180s). Consequently the total amount of light energy radiated was same in all the groups. Each specimen went through thermo-mechanical loading (TML) which consisted of mechanical loading (720,000 cycles, 5.0 kg) with a speed of 120 rpm for 100hours and thermocycling (6000 thermocycles of alternating water of $50^{\circ}C$ and $55^{\circ}C$). The continuous margin (CM) (%) of the total margin and regional margins, occlusal enamel (OE), vertical enamel (VE), and cervical enamel (C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ML under a $\times200$ digital light microscope. Thre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at 95% level of confidence to test the effect of 3 variables on CM (%) of the total margin: light curing conditions, composite materials and effect of TML. In each group,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additionally performed to compare CM (%) of regions (OE, VE 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thre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Before TML, in groups using Pyramid,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CM (%) than groups 1 and 2, and in groups using Heliomolar.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After TML, in both Pyramid and Heliomo)ar groups, group 3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CM (%) of the reg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p < 0.05). Before TM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within the VE and CE region. In the OE region, group 4 of Pyramid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2, and groups 2 and 4 of Heliomolar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After TM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among groups within the VE and CE region. In the OE region, group 3 of Pyramid showed higher CM (%) than groups 1 and 2, and groups 2,3 and 4 of Heliomolar showed higher CM (%) than group 1 (p < 0.05). It was concluded that intermittent polymerization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marginal gap formation.
이 실험의 목적은 광중합복합 레진을 자체 제작한 광조사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간헐적 광중합시켜 기존의 연속 중합법과 변연적합도를 비교함으로써 간헐적 광중합의 영향을 알아 보는 것이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Pyramid (Bisco, Schaumburg, U.S.A)와 Heliomolar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이다. 발치된 상악 소구치에 class II MOD 와동 형성 후 위 두 재료를 bulk 충전하고 다음의 중합cycle에 따라 중합시켰다: 제1군- 연속 광중합 (60초간 계속 광조사); 제2군-2초 광조사, 1초 광차단 (90초 시행); 제3군- 1초 광조사 1초 광차단 (120초 시행); 제4군- 1초 광조사, 2초 광차단 (180초 시행). 저작재현장치 (R&B, Daejeon, Korea)로 720000회의 운동횟수, 분당 120의 회전속도, $5^{\circ}C$와 $55^{\circ}C$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6000회 주사하면서 5.0 kg의 하중을 치아에 적용하였고 실험 전후 변연적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times2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면, 인접면, 치은면 등 세 부위로 나누어서 법랑질 변연을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적합도에서 각 군간, 재료간, 저작 운동 전후 차이를 보기 위해 thre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고, 부위별 변연적합도에서는 각 군에서 부위별 차이와 각 부위에서 군간 차이를 보기 위해 각각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시행하였다 (95% 유의수준). 전체 변연적합도를 보면, 저작 운동 전에는 Pyramid의 경우 3, 4군이 1,2군에 비해, Heliomolar의 경우 3.4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저작 운동 후에는 Pyramid. Heliomolar모두 3군이 1군에 비해 전체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다 (p < 0.05). 재료간 비교에서는 저작 운동 잔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 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 4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