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Workers

검색결과 1,072건 처리시간 0.029초

백화점 노동자의 감정노동과 직장생활 만족도 : 직무압박감의 매개효과 (Emotional Labor and Work Life Satisfaction of Department Store Workers : Mediating Effect of Job Oppression)

  • 김민성;강지웅;한삼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0-429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rescribed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job oppression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work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data published in 2016 by the Korea Labor & Society Institute in An Investigation of Quality of Life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Service Indust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38 workers at department sto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Baron and Kenny steps for mediation. Results: After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job op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work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partially meaningful.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their emotional labor was, the lower w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working life. Additionally, the workers felt that the greater their sense of job oppression, the lower was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work.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work satisfaction, it is required for guidelines for reducing job oppression and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to be proposed or established.

일중독 측정과 실태 (Measurement and Practices of Workaholism for Korean Workers)

  • 윤자영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29-260
    • /
    • 2018
  • 일중독은 일이 곧 자아의 중심이며 일 이외의 다른 삶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상태, 일이 없어지면 자신의 삶도 끝난다고 느끼는 특성을 지칭한다. 한국의 일중심 제도와 문화, 장시간 노동 관행은 근로자들을 개인, 가정, 사회, 조직의 다양한 차원에서 부정적인 일중독 위험에 노출시킨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7차 조사가 실시한 일중독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가지고 우리나라 취업자의 일중독을 측정하고 실태를 분석했다. 일중독 현상의 광범위성과 위험 집단 및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취업자의 7.0%가 일중독자이며, 일중독자의 비중이 높은 집단은 남성, 엄격한 성별분업관념을 가지고 있는 근로자, 40대, 별거 이혼 사별한 사람, 주당근로시간이 길수록, 일용직과 고용주 혹은 자영업자였다. 정규 근로시간에 비해 업무량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일중독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을 통해서도 재확인되었다. 연령, 성별분업 관념, 근로시간, 업무량 부하 정도, 종사상 지위는 일중독 확률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성별분업 인식 개선, 소득 안정성 강화, 근로시간 단축, 적정 업무량 관리를 통한 인력 운용이 일중독 위험을 낮추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복지사 연령별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 비교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by Age)

  • 김요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78-18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연령에 따라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비교·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이며 설문에 참여한 42개 시설 31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회복지사의 개인 요인(Level 1)과 기관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 전체 변량의 20.2%가 지역복지관별 차이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 요인에서는 직무요구와 가족 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과 경제상태는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의 영향요인 검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직무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에서 가족 요구와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도 일-생활 균형에 중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향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산업재해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 Patients Caused by Occupational Accidents)

  • 신나영;이세훈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8-17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 (HNP) patients caused by occupational accidents. Method: 203 patients of HNP were recruited. 106 patients were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benefited from workmen's compensation scheme (PWCS group), and 43 patients were non-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benefiting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PNHI group). Questions of QOL items were used by Korean version of SBQOL (SmithKlein Beecham's Qality of Life).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PWCS group measured by SBQO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NHI group. In PWCS group, SBQ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40s of their age, 5 years or longer of treatment duration, no expectation of return to work, no expectation of recovering subject's health, and with loss of employment than rest of the patients in each category. Expectations of recovering subject's health showed to be affect factors on QOL both the PWCS and PNHI groups.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betterment of expectation of recovering patient's health and an administrative system for returning to work of the occupationally injured HNP patients during treatment be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Perform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

  • Kim, Ky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37-143
    • /
    • 2022
  • 이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식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열의는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근로 손실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status and work los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non-medical hospital workers)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3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의 일부 대학병원 근로자 608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0일 ~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근로손실, 구강건강 상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문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독립 표본 t-test, one-way ANOVA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외생변수 통제 결과 성별(β=0.108), 전신질환(β=0.136), 구강건강수준(β=0.201), 구강건강 상태(β=0.463)는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의료직 병원 근로자를 위한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활성화된다면 구강건강 및 근로 증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와 직장근무자의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use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on-site workers)

  • 김효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2호
    • /
    • pp.83-96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house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on-site workers, and fou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house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5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and 292 married female on-site workers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y distributions, Cronbachs alpha,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kas follows: 1)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more used obtaining additional help and personal time reallocation than married female on-site workers. 2) For married female home-based work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house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for married female on-site workers, employment hours per week and existence of elders/disability within the family were important variables.

  • PDF

유해화학물질 취급 외국인 근로자의 적응과정 (A Qualitative Study for Foreign Workers Exposed hazard Chemical Materials in Korean Industry)

  • 김현리;김정희;송연이;이꽃메;정혜선;현혜진;김희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4-103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foreign workers' experiences exposed hazard chemical materials in korean industry.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92 foreign workers worked in seoul, namyangju, ansan, suwon, pocheon, incheon, jincheon, and daejeon. It was that grounded theory method as qualitative approach was applied with in-depth interview, recording and dictation, and collected data was analysed line-by-line by research teams. The analysis process of in depth interview data was three phase. Results: The first phase was that find out meaningful data and confronted data for meaningful data was 53 meaningful items. The second phase was coding process of meaningful data, total coding items were 9, difficulty of new environment, existence of health hazard factors originated in work, performance of basic health management, management of hazard materials in work-site, self care of hazard materials in work-site, discrimination of disaster-compensation originated in work, perception of work stress, motivation of leaving position, satisfaction for present life. The third phase was 5 adaptation process, copying phase for new environment, management phase for health hazard factors, health change phase, life change phase, illegal stay phase. Conclusion: In summary, as a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foreign workers was experienced new environment and then has various problems in working site. But these evidences were not different from korean workers basically, undoubtedly reality of a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foreign workers with long time stay have had many health problems probably, but they have want to long stay and so reach an unexpected result, illegal long stay. Therefore, we should make efforts for adequate foreign workers' health management at work-site and overall life in governmental and industrial nursing level.

  • PDF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Whether Individuals Ar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ccident Type)

  • 김영애;김문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51-361
    • /
    • 2017
  •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의료시설과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많은 신체적 정신적 소진으로 인해 요양보호사를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을 보강하기 위한 자원탐색과 대안 모색을 위해 요양보호사 284명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이 미혼여성에 비해 환경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요양보호사가 종교가 없는 요양보호사에 비해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연봉이 2000만원 이상 집단이 2000만 원 미만 집단 보다 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둘째, 상사 지지는 요양보호사의 환경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료 지지는 사회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은 상사 지지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 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성, 원인분석력은 삶의 질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사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는 최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적 수준을 높여 고품질 서비스를 증진시켜, 청년 일자리 창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in Korea : Focusing on Educational Mismatch, Discrimination and Empowerment)

  • 김안나;최승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31-357
    • /
    • 2017
  • 본 연구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통합연구소에서 수행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양적 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외국인근로자의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외국인근로자의 한국생활 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현재 일자리에서 요구되는 학력과 본인의 학력이 일치하는 경우, 차별경험이 없는 경우,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외국인근로자들의 일자리 연계 시 학력의 미스매치 방지 및 차별 금지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 등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임파워먼트와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학력 미스매치 문항을 외국인근로자에게 적용한 선도적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