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edia Specialis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학교도서관 전담 전문인력이 학생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ool Librarian on Students' Reading Behavior : With Special Reference to Daegu Metropolitan City)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3-194
    • /
    • 2007
  • 대구광역시교육청 소속 초 중 고등학생 2,855명을 표본으로 학교도서관 전담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있는 학교의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 간에 어떤 독서행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독서 경향, 독서환경 의존 경향, 학교도서관 이용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학교도서관에 전담 전문인력이 배치된 학교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해 더 균형 있는 독서 경향을 보이고, 공적 독서환경 의존경향이 더 높고, 학교도서관 이용률이 더 높으며 태도가 더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How Do Low Achieving Students in an Urban High School Learn with Information?: An Exploratory Study

  • 정진수;김진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5-4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eek and use information. Participants were seven US students in an American Literature and Composition course of the $11^{th}$ grade Remedial Education Program who completed a class project that required comprehensive information seeking and u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mprehensive observ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ach student, the teacher, and two library media specialists. Additionally, we gathered and analyzed the instructions the teacher and the two library media specialists provided and all documents each student produced to complete the class project.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was supported by QSR NVivo.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ed that students experienced cognitive and affective challenges for their information seeking and use required for the tasks and suggested that technological and individual conferencing would motivate the students to continue their information seeking and use. We then conclude the study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7-337
    • /
    • 2010
  •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은 사서교사를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자료 관리자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직업 기능과 전문직의 특성을 충족하지 못한 채 존재감이 매우 허약한 실정이다. 이것은 사서교사 배치를 외면한 학교도서관 정책과 사서교사와 사서의 자격과 역할을 동일시하는 법과 제도 때문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은 교수자의 자질을 갖춘 유능한 사서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은 배경학문 공동체의 방관자적 태도이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직업적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사서직 공동체가 사서교사를 교수매체 전문가로 인정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스스로 개인 역량 개발을 위한 자기평가를 활성화하고 전문 단체의 활동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PDF

미국의 초등학교 도서관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 텍사스 주를 중심으로 (Case Studies on Specia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Media Centers in Texas, U. S. A.)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21-242
    • /
    • 200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국의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특별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텍사스 주의 7개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사례로 뽑아 프로그램의 종류, 목적, 요소, 효과와 주제에 관해 분석하였다. 특별 프로그램은 도서판매와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전시와 진열, 초청 강연, 학습 센터, 실연, 매체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과과정의 지원과 학생들의 개인적 관심의 충족, 그리고 교사들의 전문적 성장을 공통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특정 집단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연결, 교과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 특정 주제에 관한 재미있고 효율적인 방식의 제공, 즐기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행사의 진행, 적절한 시기와 시간의 배정이 필수적인 요소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매체센터와 매체전문가의 존재를 확인시켜주었으며 매체센터의 이용을 증가시키고 교실 수업의 지원, 학생과 교사의 개인적인 흥미의 확대, 평생학습자로서의 개발, 학교도서관매체센터의 홍보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서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장과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on the Library Us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우윤희;김종성;이용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9-313
    • /
    • 2013
  • 이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을 통한 교과연계 도서관활용수업을 실행함으로써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수 학습지원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1년간 20회(40시간)에 걸쳐 실제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연구보고서법 수행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f the Roles of the Teacher-Librarians as Perceived by Supervisors, Principals,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Korea)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29-259
    • /
    • 1989
  • The school library plays very important and central role for the fullfill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edia specialist known as teacher-libraria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edia center. It is true that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depends greatly on the cooperative coordina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and principal in addition to the strong support and effective supervision of school district authority, specifically, supervisor of school library program. The successful program therefore is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librarian'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role perceived by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istrict supervisor. A standard task model describing both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librarian was proposed after studying the relevant current standards of four countries. Serveral hypotheses were made regarding role perception and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based on this proposed task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and the return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routin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ole percep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district supervisor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for bo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eacher­librarian. The mean score of the teacher-librarian was highest among four groups and the score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tasks were lower than that of management function tasks. 2)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hanging social trends such as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need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3)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view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 PDF

추세연장적 예측을 통한 도서관·정보센터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With Trend Analysis)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5-123
    • /
    • 2004
  • 본 연구는 도서관${\cdot}$정보센터가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전제아래 미래예측방법의 하나인 추세연상적 예측을 통하여 도서관${\cdot}$정보센터의 미래를 예측한 것이다. 전술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주요 도서관의 홈페이지 분석, 전문사서와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추세를 근거로 도서관${\cdot}$정보센터의 중기 미래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정보환경은 모바일과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대표되며, 이들을 통해서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간적 지체 단말기 기술과 보급속도 도서관 서비스의 자세와 대응 속도 저작권 문제 등이 미래의 도서관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 요인이다. 셋째, 미래의 도서관은 무선 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접근과 이용이 더욱 확대되며, 모바일 기술이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이 보편화되어, 결국에는 전자 정보의 이용이 더욱 늘어난다. 넷째 미래의 도서관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용자의 요구와 그에 따른 정보서비스의 추이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Teacher-Librarians' Perceptions of Their Role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306
    • /
    • 2009
  • 본 연구는 탐구적 성격의 연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사서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서울 지역 내 5명의 사서교사와 함께 질적 연구의 틀 내에서 포커스그룹인터뷰(Morgan 1997)를 수행하여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의 사서교사 역할은 교육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둘째,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정의는 명확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셋째, 학교도서관 운영자로서의 역할은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사서교사 역할 유형의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뚜렷한 합의점이 없으나 Empowering Learners(AASL 2009)에서 제시한 리더로서의 역할은 사서교사의 다른 역할유형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역할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다섯째, 사서교사의 역할범위는 명확하지 않다. 종합하여 볼 때 사서교사는 학교마다 일관된 역할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역할 수행을 위해 아주 많은 유연성과 타협을 학교로부터 요구받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의 역할 모형 정립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시나리오기법을 통한 도서관 서비스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Library Service with Scenarios)

  • 노동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1-375
    • /
    • 2004
  • 본 연구는 도서관이 미래의 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하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전제아래 미래예측기법의 하나인 시나리오기법을 통하여 도서관 서비스의 미래를 예측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도서관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전문사서와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추세를 근거로 시나리오를 동하여 도서관 서비스의 중기 미래(5년-10년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정보 환경은 모바일과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대표되며, 이들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간적 지체, 단말기의 보급 속도, 도서관 서비스의 자세와 대응 속도, 저작권 문제 등이 미래 도서관의 불확실 요인으로 대두된다. 셋째, 기술의 보급 속도와 도서관 서비스의 발전 속도에 따라서 또한, 기술의 보급 속도와 저작권 문제의 해결 속도에 따라서 다양한 시나리오가 만들어진다. 넷째, 도서관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기술의 추이를 상시적으로 분석하여 불확실 요인을 찾아내야 하며, 예측 가능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미래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사서교사 직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on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 이승민;임정훈;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7-1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IP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서교사들은 교사와 경영자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정보 전문가, 협력적 리더 영역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전문가 영역에서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데이터 사이언스, 코딩, 사물인터넷 영역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영역에서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경영자 영역에서 미래교육을 위한 시설 디자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메이커스페이스 및 러닝커먼스 구축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한 실행 평가 역량, 교과 연계 정보자료 컬렉션 구축 역량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여섯 번째,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요구 역량을 각 직무 영역별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