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ooperation Model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 한윤옥;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7-35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강화를 위하여 협력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자 서비스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워크숍을 통하여,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도적인 측면, 인적자원의 문제, 콘텐츠 및 서비스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3가지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발달한 대도시에 적합하며,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은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중소도시에 적합하며,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적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채택하여 시범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적합한 모델을 적용시켜야 한다.

  • PDF

도서관/박물관 협력체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of Cooperation System for Library & Museum)

  • 박재용;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15-333
    • /
    • 2004
  • 최근 지식정보자원의 급증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오랫동안 지식과 정보자원을 독자적으로 수집하여 서비스를 제공해 온 도서관과 박물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하나의 도서관이나 박물관이 이용자들이 원하는 지식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 자족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협력을 시작하고, 국제적 체제로 도서관, 박물관, 아카이브 등 문화유산기관 간 풍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과 박물관의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모형으로 자율방임형 상호교환 모형, 분산형 상호서비스 모형, 집중형 서비스센터 모형, 혼합형 공동관리 모형을 제시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중 접근제어 모델을 위한 Java 라이브러리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Java Library for Multiple Access Control Models)

  • 오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394-1401
    • /
    • 2007
  • 안전한 접근제어는 많은 수의 사용자와 정보자원을 가지고 있는 대규모의 조직, 정보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많은 경우에 시스템 개발자들은 응용 시스템의 일부로서 접근제어 모듈을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접근제어 모듈의 수정을 어렵게 하고, 새로운 응용 시스템을 개발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접근제어 모듈을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va를 사용하는 개발 환경을 위한 접근제어 Java API 라이브러리의 구현에 대해 제시한다. 개발자들은 제안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쉽게 접근제어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제안된 라이브러리는 주요 접근제어 모델뿐만 아니라 도메인 기반, 객체 중심의 접근제어와 같은 새로운 모델도 지원한다. 또한 여러 접근제어 모델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 PDF

국가 통합 도서관 협력 체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wide Library Cooperative System Model)

  • 한성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49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합 도서관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국내도서관 협력체제의 현황은, 국립중앙 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한 공공도서관 협력망을 비롯하여 지역별 관종별 협력체제가 구축되어 도서관 기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기능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협력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국내도서관 협력체제를 정비하여 새로운 통합 도서관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광역시 독서소외계층 독서문화진흥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Ways to Improvement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for Reading Disabl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송정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89-11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독서소외계층의 독서문화진흥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함이다. 부산지역의 공공서관을 비롯하여 독서소외계층시설을 대상으로 독서문화진흥 사업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소외계층을 위한 독서문화진흥사업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 부산광역시의 독서문화진흥 발전방안으로 공공도서관과 유관기관 간의 상호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토목 표준도 기반의 BIM 라이브러리에 대한 객체 품질 검증 방법 연구-옹벽사례를 중심으로 (An Object Quality Verification Method for BIM Libraries based on Standardized Drawings in Civil Projects -Focusing on Retaining Wall Case)

  • 문현석;김창윤;조근하;주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9-137
    • /
    • 2016
  • 국내외에서 건축시설 중심의 BIM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나, 개별 라이브러리 형상에 대한 물리적, 논리적 품질검토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 않아 2D로부터 변환된 3D 라이브러리 모델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BIM 라이브러리는 자재 및 부재 제작업체들이 참여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므로 개별 라이브러리의 제작 후 납품시 별도의 품질검토를 통해 인증을 받는 절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그 활용에 범용성을 가져야 하므로 일관된 검토기준에 따라 객체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 표준도를 기반으로 작성된 토목분야 BIM 라이브러리를 토대로 기존 2D와 비교하여 물리적 및 데이터 관점에서 정확한 라이브러리 객체가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품질 검토 방법을 구성한다. 본 연구는 건축 및 토목분야의 자재 및 부재 제작업체들이 BIM 라이브러리 객체 납품 시 품질 검토 방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s-Built BIM 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룰-셋(Rule-Sets) 정보로 활용되어 파라미터 기반의 자동화된 품질검증 시스템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건설기술 디지털도서관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Digital Library System)

  • 정성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09-716
    • /
    • 20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 및 엔지니어링업체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건설기술 디지털도서관시스템(CODIL)을 운영하고 있고, CODIL의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서 매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만족도 점수를 가지고서 단순히 이용자 만족도의 수준을 설명하였기 때문에 만족도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부족함이 있어 이용자의 만족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모형이 필요하였다. CODIL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한 SERVQUAL, LibQUAL+, DigiQUALTM에서 사용한 항목들을 조사하여 조사된 항목들 중 CODIL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CODIL 회원을 표본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가지고서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고,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측정 항목들과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른 전문 분야에서의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가적인 연구로는 CODIL의 서비스 측정에 사용된 측정항목들과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의 통계량을 계산하여 유의한 독립변수들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물체의 고유 Pole을 이용한 지하 속의 빈 공간 식별 방안 (A methodology for Identification of an Air Cavity Underground Using its Natural Poles)

  • 이우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66-5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도시환경과 모래가 많은 토양 아래에 구 형태의 빈 공간이 있을 경우를 가정하고, 해당 목표물의 고유 pole과 고유 공진주파수를 활용하여 목표물을 식별 및 위치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EM(Electromagnetic)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완전도체(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들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통해 획득한 EM 산란응답에 Cauchy 방법을 적용하여 물체의 고유 특성에 해당하는 고유 pole을 축적하여 pole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pole 라이브러리는 목표물에서 추출한 고유 pole과의 비교를 통해 목표물을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도시환경과 모래가 많은 토양 아래에 구 형태의 빈 공간이 있음을 가정하고 EM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통해 얻은 전자파 산란 데이터로부터 관심 목표물의 응답을 추출하였으며, 시간영역에서 임펄스 응답의 시간 지연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MP(Matrix Pencil) 방법을 적용하여 목표물의 고유 pole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고유 pole과 고유 공진주파수를 pole 라이브러리와 비교하여 탐지된 목표물을 구 형태의 빈 공간(직경 0.2m)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계산된 목표물의 위치(깊이)는 약 84 ~ 93%의 정확도를 보였다.

FRBRoo 분석을 통한 FRBR 개념모형의 확장과 개선 (Expanding and Improving FRBR Conceptual Model through FRBR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1-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FRBRoo 분석을 바탕으로 FRBR 시리즈 개념모형을 확장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FRBRoo는 CIDOC CRM과 연계된 플러그인 온톨로지다. FRBR 모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 분야와의 협력을 위해 개발된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FRBR 시리즈 모형이 IFLA LRM으로 통합 개정되었다. 이에 LRM에 대한 분석도 추가하였다. 서지 정보가 도서관의 업무와 이용자를 지원해야 한다면, 도서관이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서지정보를 분석하는 방식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과 관련된 이벤트 개념이 서지정보의 모델링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서지정보의 구축과 교환 단위를 서지레코드보다 더 작은 단위나 더 큰 단위로도 확대해야 하며, FRBRoo를 서지정보의 공유를 위한 외부와의 연계 통로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