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eral Education

검색결과 1,029건 처리시간 0.022초

캐나다 퀘벡주 대입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 분석 (Investigation on the Main Features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he Province of Quebec, Canada)

  • 최영준;박성만;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8-135
    • /
    • 2021
  • 한국의 대학입시제도는 입학사정관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명칭을 바꾸고 학생선발방법의 한 형태로 안정된 시행을 보이고 있으나 교과 성적 외에 비교과 영역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 논란은 시행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현재 시행중인 대학입시제도가 우리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가를 비롯해 교육 환경 개선에 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반면, 캐나다는 대학입시제도가 국민들의 주요 화두에 오르지는 않는다. 캐나다는 대학 간의 교육에 대한 전국적인 질적 수준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대학입시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의 교육체계와 대학입시제도의 특징을 캐나다에서 가장 높은 고등교육 이수율을 보이고 있는 퀘벡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퀘벡주의 전반적인 교육제도 및 목적, 주요 대학의 실제적인 대학입시제도 분석을 통해 우리의 대학입시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대학의 융복합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발상에 미친 사례 연구 : '우디'의 인디게임 개발 일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University Convergence Classes on Learners' Creative Idea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journal of the indie game of 'Woody')

  • 김성희;이경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3-160
    • /
    • 2021
  • 최근 대학에서는 뉴노멀(new-normal)시대, 빅데이터를 기초로 AI시대에 필요한 융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를 하는 학습자 양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학의 교육적 필요가 충족되기 위해 필요한 과학교양교육의 확대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대학의 융복합 교육현황과 학습자의 창의적 발사에 필요한 요소를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의 융복합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가 융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 게이미피케이션이 구현된 의 개발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대학의 융복합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발상과 그 역량 강화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과학교양교육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서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박현주;이금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0-399
    • /
    • 2005
  • 이 연구는 현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도를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발달 평가 문항'를 사용하여 전공별, 성별, 영역별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는 남학생, 여학생 별 집단에서는 남학생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과학교육, 외국어학, 사회체육학과의 집단으로 나누어 성향을 살펴보았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해 가장 이해도가 높은 집단은 과학교육 학생들이었으며, 이해도가 가장 낮은 집단은 사회체육학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 외국어학과 학생들은 과학만능에 대한 기대치가 사회체육학과 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학적 공헌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타 문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과학적 윤리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높은 이해도를 보이고 있었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강의평가 개방형 응답분석 (Open-Ended Response Analysis for University Course Evaluations using Topic Modeling)

  • 안수현;이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39-547
    • /
    • 2023
  • 최근 대학교육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육 모델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강의평가의 개방형 응답을 토픽 모델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탐색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수도권 대학의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강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총 45,001개의 개방형 응답을 전공과 교양으로 구분하여 단문에 최적화된 BTM(Biterm Topic Modeling)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 강의는 "비대면 수업경험에 대한 태도", "질문과 토론에 대한 태도", "출석과 성적평가에 대한 태도", "실습활동 및 발표에 대한 태도", "소통과 협업에 대한 태도"로 구분되었고, 교양 강의는 "비대면 수업경험에 대한 태도", "성적 및 평가에 대한 태도", "출석 및 수업계획서에 대한 태도", "학문적 지식과 흥미에 대한 태도", "소통과 질문에 대한 태도"로 구분되었다. 학생들의 다양한 피드백을 분석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공과 교양 강의의 특성을 비교하고 강의개선 및 학습경험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학교 성교육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 장영미;이시백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5-145
    • /
    • 1997
  •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debates on schoo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have centered on the specific education topics and its in-depth to be taught for different level of students. Many people, on the whole, worried that sexuality education for the adolescents promote irresponsible sexuality activities and that students become more liberal following sex education(in all ways, not just sexually). At the present time, however, most social leaders agree that schoo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Because they believe that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will be effective to change irresponsible sexual behavior and prevent sexual risk among teenagers. Researches demonstrate that not all school-based sexuality and AIDS education programs are effective, but that some programs are effectiv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paper reviewed the beliefs and questions which generate discussion and opposition to sexuality education program at the school.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instruction was also evaluated focused on the reducing specific sexual risk behavior and reinforcement of individual values against sexuality activities. Lastly, this paper proposed several ways and means for effect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in general.

  • PDF

대학과목선이수제를 위한 환경과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in Environmental Science)

  • 최돈형;조성화;이순철;전영석;홍준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UP) in environmental science. UP has much merit; for example, high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road for future by the UP procedure which is related intimately with their choice of road for future. Environment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is stable for UP's goals because of interated nature of environmental science. These goals and the increase of social demand made us proceed this study. So this study had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designed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iberal arts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an approach of natural science. Inevitably they should have limits in which students can't have holistic view in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targeted on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consideration for nature of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rests for environment. The second point is promotion of environmental literature for talented highschool students. The third point is the level of lecture, which we put together the lecture level on university general liberal arts. And designed the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which constructed of six field and sisty hours.

  • PDF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77-297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단원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이 제일 많았고, 스토리텔링이 아닌 인문과학적 내용,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음악교과와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었다. 또한 영역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규칙성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과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단원별, 영역별로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편차가 매우 심하여 다양한 STEAM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환경교육 전.후 학생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와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and Behavior for Environmental Problems Before and After Environmental Education(II))

  • 박기학;이덕난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4호
    • /
    • pp.105-117
    • /
    • 2007
  •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1012 cases questionnaire for the purpose of to evaluate the chang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and behavior before and after lecture 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is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with self-administered by the university student who made a application for liberal arts related to environmental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most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fore the lecture o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a genetic modified organism(3.64/4.00), but the most serious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was changed to the topic of water pollution(3.96/4.00) after the lecture on environmental problem. And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ributed by gender were that boy students show a higher concerning(170%) than that of girl students(150%). The most good results obtained after lecture on environmental problem were water pollution(23.0%), air pollution(11.5%), waste material pollution(10.9%), food additives (10.0%), genetic modified organism(8.0%), endocrine disrupter(7.5%),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istributed by a grade were that the concerning of a low grade(freshman, sophomore)were higher than that of a high grade(junior, senior) in the topic of 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waste material pollution. But there were high level of awareness on the topic of food additives, genetic modified organism, endocrine disrupter to the all students(freshman to senior).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distributed by a major field of study were that students who major in art & athletics, liberal art and etc(public health) were show a deep concerning than that of science & engineering. Final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the university class were effectively contribute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8.2%) and als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life after class also increase their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59.8%).

기초교양필수 과목인 스크래치와 파이썬 프로그래밍 과목 수강생의 회복탄력성 분석 (The Analysis of Resilience of Programming Class' Students for Basic Liberal Arts)

  • 김세민;유강수;홍기천;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01-806
    • /
    • 2019
  • 최근 각 대학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을 강조하여 교양과목에 많이 편성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어려워하거나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가 부족하거나 배우려고 하는 의욕이 없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는 프로그래밍 학습의 실패를 극복하여 포기하지 않고 다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회복하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학습하는 학생 집단과 파이썬을 학습하는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스크래치는 학생들이 다소 쉽게 받아들이고 열심히 하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파이썬은 상대적으로 스크래치보다 어려움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코딩수업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 러닝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a Case Applying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for Coding Classes)

  • 이애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3-3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수업인 코딩수업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는 학생들이 배우는 교양 코딩 수업은 전문가 양성을 위한 코딩 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 수업으로의 코딩교육을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그 효과 및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온라인 콘텐츠로 학습을 하고, 수업시간에는 학습된 내용에 근거한 실습교육에 집중하는 플립드 러닝을 통해 교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제 수업에 적용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보다 학습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학습 성취도에 대한 결과도 더 나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