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eral Arts Education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Changes in Achievement Goals According to Course Classification in a Liberal Arts Software Education

  • Seung-Hun Shin;Joo-Young 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301-311
    • /
    • 2023
  • 대학 교양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성취 목표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이는 최근 보편화된 교양소프트웨어 교육에도 해당된다. 본 논문에서는 교양 소프트웨어 교과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학수 구분에 따른 학습 동기 변화를 3 × 2 성취목표모델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필수와 선택 등 서로 취지로 학점을 이수하는 학습자들이 함께 수강하는 토론 중심 교과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유사한 성취 목표로 학기를 시작하나, 선택으로 이수하는 학습자들의 회피 목표가 감소하여 학기 말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의무 수강을 학습 동기 결여의 원인으로 지목한 기존 교양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와 다른 결과이다. 또한, 선택으로 수강하는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경쟁보다는 성취에 학습 목적을 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등예비 교사의 실험 수업 전, 후 생물 관찰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gree of Preferences in Observation of Living Things in Pre and Post Laboratory Lessons)

  • 박강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16-22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chool teachers' observation experience and their pre and post degrees of preferences in observing underground and water living things, fungus, insects, flowerless plants and sea lives. Based on the analysis, their pre-observation experience in living things were insects, ocean creatures, underground living things, flowerless plants, fungus and water living things in order. The degree of preferences in flowerless plans based on their gender,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average in both pre and post test. The male, however, responded higher scores in underground living things in both tests. Their background such as liberal arts or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affected their preferences scores in water living things, insects and flowerless plans in the post test, and the science major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references in insects among the liberal arts,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pre-teachers in the post test.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t degree of their preferences affected by the pre observation experience, gender difference, their present majors such as the liberal arts, science or arts and physical major, the categories of living things but not in their high school background such as liberal arts or science.

스마트 교육을 위한 디지털 방송 적용에 관한 연구 - 인문교양 중심으로 (A Study on Digital Broadcast Application for Smart Education, -Focused on Liberal Arts of Humanities)

  • 고인환;홍봉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61-166
    • /
    • 2014
  • 스마트 기기 사용의 증가는 많은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교육에서는 보다 높은 학습효과를 위하여 스마트 기기 적용을 연구하여 왔다. 그러나 인문교양은 전통적인 교육 패턴 뿐만 아니라 과목이 가지는 특성 때문에 정보통신에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분야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교양 과목을 디지털 방송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인문교양의 스마트 콘텐츠 제작 및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그 실효성을 위하여 디지털 방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설문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An Analysis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n 2015 Curriculum Revision)

  • 박소영;이정렬;강현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72-118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curriculum experts on 2015 integrated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curriculum revision. Research method is a delphi survey and the subjects are curriculum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xperts suggested common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students' opportunities to choose subjects. Secondl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was different by school level. The elementary school needs to foster convergence thinking. The middle school needs to educate common basic literacy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needs both the common education and the free choice of subjects by students. Thirdly, the separation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was caused by the separate thinking of custom, tradition and study and the separate exam application on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solution about separation problem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mathematics education and teachers'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Lastly, for the establishment of an 2015, integrated curriculum the reduction of the CSAT test area and the introduction of qualifying examination for English were required.

창의적 융복합 『미래융합IT인문학』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성 검증 (Creative Convergence Course 『Future Confluence IT Humanities』 Development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Verification)

  • 최은선;고전;최근배;김희필;이호수;박남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69-582
    • /
    • 2021
  • Education emphasizes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power in an era of rising uncertainty and rapid progress. This paper proactively designed e-Learning team teaching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by these social needs. It analyzed the empirical effects on the operation of the subjects to foster future talent who can converge and apply knowledge in various fields. The curriculum consisted of professors of mathematics, practical Arts, computer, and education, and was operated to convey convergent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ities, and consisted of 15 liberal arts courses at J University. Beside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were also developed by the faculty. As a result of the primary research, prospectiv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generall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lass, especially for the faculty. The students' overall convergent thinking ability has in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1), and the students' major has been found to be irreleva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communication, content convergence, and caring factors, excluding creativity factor, have all risen to a significant level.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및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types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to Class Satisfaction, Class Flow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 천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97-408
    • /
    • 2021
  • 본 연구는 교양체육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체육 참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수자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있다. 경인지역과 충청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대면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양체육 수강생 221명을 표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8부를 제외한 21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계수 산출,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양체육 수업의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만족(교육만족, 환경만족, 심리사회만족,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체육 교수자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몰입(수업몰두, 목적경험, 의식일치, 도전, 통제, 통합)에 영향을 미치며, 교양체육 교수자의 지도유형은 수강생의 체육교과태도(대인관계, 신체활동, 능동참여 적극수행,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은 교양체육에 대한 수강생의 긍정적 정서(수업만족, 수업몰입)나 자세(체육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양체육 지도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 Koo, GeumSeo;Sim, Gab-Si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3-149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management method of liberal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er literacy. We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and factors affecting education and reflected the analysis results in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Practice Excel', and tested achievement based on computer literacy. In order to evaluate objectively, we conducted CBT(Computer Based Test) based on Computer Specialist in Spreadsheet & Database Level-2.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use of the popular statistical program, IBM SPSS 24 trial, and frequency, ANOVA, t-test, crossover analysis, and correlation. Evaluation result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was active participation. It also proved to be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excel functions & expression.

대학 교양강좌를 이용한 자기성찰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lf-reflection Using a Liberal-arts Course at University)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4-3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강좌를 이용한 자기성찰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강생 18명을 대상으로 학기 시작과 종료의 시점에 자료를 수집하는 단일 처치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진행하였다. 적은 표본 수에 적합한 통계적 추정을 위해 비모수 검증을 수행하여 자료의 유의미한 평균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본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정신적 웰빙의 수준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자기성찰 기반의 인성교육 교양강좌가 대학생 인성교육으로 유용하게 기능할 수 있음이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바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인식과 교양수학의 긍정적 인식변화를 위한 방안 (On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by college students and a suggestion to elevate such awareness in universities)

  • 박형빈;이헌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999-101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교양수학 과목의 개설 현황과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양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현재의 인식과 교양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위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적 내용을 위주로 하여 구성한 '수학과 문화'라는 교양수학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강전과 후의 수학과목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목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활용한 학부생들의 인류세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nthropocen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 추성경;변소연;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20-632
    • /
    • 2022
  • 본 연구는 인류세를 대비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학부생을 대상으로 인류세 인식에 대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인류세 교양교육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약 4개월에 걸쳐 교양교육튜터링에 참여한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질적분석 방법에 따라 의미있는 개념을 확인한 결과, 새로운 지질시대의 도래, 인류세 재구성과 책임, 인류세 교양교육의 방향 등 총 3개 주제, 8개 하위범주, 16개 하위단위가 도출되었다. '새로운 지질시대의 도래'에서는 인류세가 우리의 삶과 가까이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인류세의 의미, 심각성, 발전가능성을 통해 미래를 예측해 보는 시간이 되었고, '인류세 재구성과 책임'에서는 인류세 인식을 계기로 개인, 기업, 정부의 의식전환의 재구성과 책임감을 강조하였다. '인류세 교양교육의 방향'에서는 미래형 기초교양교육으로 기후변화를 위한 행동실천과 ICT기술을 활용한 인류세 극복방안 그리고 긍정적인 인류세를 위한 다양한 교양교육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교양교육 차원에서 인류세를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인류의 생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인류세 시대에 필요한 미래형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인류세 교양교육을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