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eral Arts Education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3초

The Direction on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Hwang, Eui-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79-187
    • /
    • 2017
  • In spite of the rapid change of the technology, the university education cannot escape from the traditional form of classroom teaching. University education is assessed through listening the same content of lecture, completing the same assignment and test at the same time, same place.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vestigat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32.5%), strengthen the lifelong education(21.4%), expand the compulsory education(17.6%), expand the innovation school(13.7%), expand the educational finance(10.4%) as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need to be strengthen. The change of the education is essential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reativity, collaboration, fusion, problem solving are the core ability. In this thesis, it is to be compared that the subjects opened in liberal arts of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y in this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Basic Liberal Art Education Curriculum is promoted for the smooth management for preparing the future and taking the action to the change. Stereotyped and inflexible frame should be changed to 'Structure', 'Recognition', 'Attitude' for making the base of 'Diversity', 'Personalization', 'Flexibility' which are needed to uplift 'Imagination', 'Creativity' for education of the future and the new era.

건축공학 프로그램의 전문교양교육과정 구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methods of the Specialized Liberal Arts Curriculum of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Program)

  • 김재엽;이용규;이동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117
    • /
    • 2009
  • Many colleges in Korea have been making a concentrated effort to develop engineering certification education programs, fit for the certification standards and the reality of each college. However, in reality, many colleges and departments in Korea have great difficulties in making the curriculums meet the engineering certification standards to be proper for the present situation of each colleg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most general way to make a specialized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colleges preparing for the engineering certification. When this i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program curriculums of each college, students will be able to take specialized liberal arts subject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ir future careers and aptitudes, and also enterprises will be able to curtail educational expenses for their new employees and hire competent people who combine fundamental personality, basic knowledge about the work, an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Furthermore, the nation will be able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 power through systematiz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realistic educational systems.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역량 신장을 위한 교양 교육 모델 (The Education Model of Liberal Arts to Impr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박윤수;이유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23-436
    • /
    • 2021
  •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범용기술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 역량이 필수 역량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AI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AI 전문가를 육성하고, 누구나 AI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응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교육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인공지능 교육의 선행 연구 사례와 함께 서울 소재 31개 종합대학의 SW 교양 교육 현황을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SW 교양 교육과 전문적인 AI 교육을 연계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KOCW에 공개된 20개의 AI 관련 강좌를 AI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양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은 기존의 이론적 교육 모델이나 컴퓨터과학적 교육 모델과는 달리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인공지능을 체험할 수 있는 AI·SW 융합 교육 모델이다. 제안하는 AI 리터러시 교육 모델이 AI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N ASYMPTOTIC STABILITY INVOLVING COLLISION AND AVOIDANCE

  • Ha, Jun-Hong;Shim, Jae-D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8권3호
    • /
    • pp.829-840
    • /
    • 2001
  • Generally it is not easy task whether the stable systems governed by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are asymptotically stable or not. This problem often appears in studying a collision and avoidance control problem based on the stability theory. In this paper we devoted to finding conditions that the stable system obtained from the collision and avoidance control problem is asymptotically stable.

A FINDPATH PROBLEM IN THE PRESENCE OF MOVING OBSTACLES

  • Ha, Jun-Hong;Shim, Jae-D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7권1호
    • /
    • pp.125-137
    • /
    • 2000
  • A solution of the findpath problem in which a moving object in required to avoid moving obstacles and move to the designated target in the plane is porcided via the second method of Lyapunov. This paper presents an new control designed by a family of piecewise Lyapunov functions to solve a findpath problem and gives some simultion results of that.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양 교육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Online Software Liberal Arts Education)

  • 최진호;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30-935
    • /
    • 2022
  •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프로그래밍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대학의 교양 교과에서 진행되는 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경우 양질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한다면,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의 부족문제 및 실습시간 제약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수강생에게는 충분한 시간동안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소프트웨어 교양 교과의 강의 전과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온라인 강의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설문결과로부터 온라인으로 소프트웨어 강의를 진행하더라도 컴퓨터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이라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표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Case Study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oftware Subjects for Humanities College Students

  • Seo, Joo-Young;Shin, Seung-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67-277
    • /
    • 2022
  • 최근 대학에선 '컴퓨팅사고'를 포함해 '프로그래밍, 데이터분석 및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SW 기초교육의 주제가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SW 기초과목의 다양화는 단순히 배우는 내용이 다름이 아닌 과목별 교육 목표 및 교육 효과의 차별화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A 대학 인문대학생을 위해 운영 중인 '컴퓨팅사고'와 '데이터분석기초'의 두 SW 기초과목의 교육 목표에 따른 교육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사례연구이다. 두 과목 모두 '컴퓨팅사고 기반 SW 융복합 역량 배양'이란 공통 교육 목표에 따라 '컴퓨팅사고 효능감' 지표들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기초교육이 목표인 '컴퓨팅사고'는 주로 '일상 문제' 해결에, 전공심화교육이 목표인 '데이터분석기초'는 '일상 문제' 와 함께 '전공 문제'의 해결 방법에도 자신감이 상승하는 교육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양교과목 구성과 실제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Korean Culture Liberal Arts Sub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문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58-6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대학 생활에 적응하면서 학업을 이수해 나가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전공 학업에 필요한 한국어 실력이나 기초 학문 등 교양 지식이 미흡한 상태로 입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가장 시급한 기초학문 즉, 교양 지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보다 체계적인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과 교육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현장에서 적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용 교과목인 문화 수업에 지식 기반 한국어 교육 방법을 적용시켜 운영한 수업의 사례를 보이고, 그 효과를 증명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외국인 유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아키타 국제교양 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in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71-3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국제교양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대학의 경쟁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으며, 그 강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적 요인을 고려할 때 우리와 닮은꼴인 일본의 대학의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대학을 운영하고 있는 국제교양대학의 사례는 우리 대학에 의미 있는 함의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교양대학의 특징은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국제화 교육이다. 아키타의 국제화교육의 핵심은 재학생을 위한 국제화이다. 하지만 자국 학생을 위해 외국인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에도 적극적이라는 점이 차이점이다. 둘째, 교양교육이다. 교양 교육의 특징은 다양성이다. 전공 교육은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한다. 반면에 교양교육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학습을 한다. 이러한 교육을 제공하는 이유는 다양성 속에서 자신의 방향을 찾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신의 미래를 입학 당시 전공으로 정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4년 동안 스스로 다양한 과목을 수강하면서 찾아나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국제화 교육과 스스로 학습을 유도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이들 교육의 성공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and Major Fields of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박영용;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23-443
    • /
    • 2017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 내용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 경영학과와 금융보험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 학습 내용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과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인문계 수학과 대학 경상계열 전공학문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과 원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상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이 전공학문을 공부하는데 필요한 교과목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