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 of use

검색결과 11,498건 처리시간 0.048초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의생활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 최은영;전경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5-8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show their clothing attitudes and their life-style. clothing behavior. use their ornam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 345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living in Chung-Nam Province and Taejon Metropolitan City. SPSS/PC+ program was utilized to calculate frequency(N) mean value(M) and standard deviation (SD) for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s among the populations are examined through t-test. F-test an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yle and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life-style has significant difference(p<. 05) according to type of school. middle school girls have high tendency in the type of modern and fashion. Life-style has significant difference(p< .01) according to level of achievement studying, high level girls has high tendency in the type of practical and secure. 2. Correlation between the clothing behavior and demographic variable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middle school girls showed higher than high school girls in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esthetics. According to level of achievement studying, high level girls have high tendency in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modesty. 3. Correlation between the use their ornaments and demographic variables. Buying the ornaments, higher-level achievement studying girl’s get information in show window. but lower-level achievement studying girl’s get information in TV or radio. The use of ornaments according to the site of school, most of school girls who live in small city or town use the ornaments as usual school life but school girls who live in big city use the ornaments to look good on their clothes.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It is necessary for us to hav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naments and clothing of school girls in order to lead them to have appropriate clothing behavior.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construct a bridge linking a course of study to rational habits guidance which will provide us more appropriate tools for clothing behavior guidance.

  • PDF

페이스북 이용자의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인식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페이스북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Facebook Users' Self-disclosure, Facebook Use Intens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ceboo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Protection Skill)

  • 박남수;백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3-62
    • /
    • 2016
  •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 중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자기노출, 페이스북 이용강도,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가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9~49세 성인 남녀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 능력이 높은 이용자들이 낮은 이용자들 보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낮은 반면, 페이스북 이용강도와 사이트에 대한 신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관리능력은 자기노출 및 신뢰가 페이스북의 지속적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이용이 후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17대선 패널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Media Use on the Evaluation of the Leading Candidate in the Korean 2007 Presidential Election -An Analysis of the Panel Data with Latent Growth Modeling-)

  • 김주환;김민규;진영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4권
    • /
    • pp.76-10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난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정치관심도가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TV, 신문, 인터넷)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이용이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정치관심도와 주요 미디어 이용이 이명박의 도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전국인구비례에 맞게 모집된 1,199명(여성 584명, 남성 615명, 평균연령(표준편차)=42.77(13.34))의 패널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정치관심도가 높은 유권자들은 그렇지 않은 유권자보다 미디어 종류에 상관없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많았다. TV 미디어 이용의 경우, 다른 미디어들과 비교하여,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사이에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 평가에 대한 차별성이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신문의 경우, 이명박 비지지 집단에서만 신문 이용이 증가할수록 도덕성 평가가 감소하였다. 인터넷의 경우 TV이용과 같이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 이용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도덕성 평가의 초기값이 높았다. 이를 통해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에 대한 판단 여부는 미디어의 종류와 미디어의 이용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이용과 정치행위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대부분 횡단자료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변인 사이의 변화에 따른 관련성을 입증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함의는 종단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통해 두 변인의 변화에서의 인과적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있다.

  • PDF

중소 협력업체의 IT 활용 수준과 모기업과의 협업 수준에 대한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2B Collaboration and the Use of IT Systems on Small and Medium-Sized Collaborative Enterprise)

  • 홍정완;전동욱;이효숙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9-143
    • /
    • 2011
  • 현대 산업에서 기업 간 협업은 기업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그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고, 정보시스템의 활용이 기업 간 협업에 영향을 마친다는 연구들은 수차례 진행되어 왔지만 중소기업의 모기업과의 협업 관계에서의 세부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의 모 기업과의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협업관계를 보다 현실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조산, 자동차, 조선, 자동차, 전자 업종의 대기업 협력업체들을 대상으로 중소협력업체들의 IT 시스템 활용 수준 및 모기업과의 협업 지원 수준을 분석하고, IT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들 간의 협업 지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업무 영역별로 유의한지의 여부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업무 영역별로 IT 시스템 활용 수준 및 모기업과의 협업 지원 수준이 다소 차이가 나며, 중소기업의 IT 활용 수준이 모기업과의 협업 지원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과의존 판별을 위한 기계 학습 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Problematic Smartphone Use)

  • 김우성;한준희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293-309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degre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ed on mobile phone usage patter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study, a survey conducted by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KISA) called "problematic smartphone use survey" was analyzed. The survey consists of 180 ques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9,712 participants. Based on the data on the smartphone usage pattern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smartphone addiction level was predicte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NN, gradient boosting, XGBoost, CatBoost, AdaBoost and random forest algorithms were employed. Findings - First, while various factors together influence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the results show that al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perform well to predict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Especially, we focus on the features which can be obtained from the smartphone log data (without psychological factors). It means that our results can be a basis for diagnostic programs to detect problematic smartphone use.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on users' age, marriag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can be used as predictors to determine whether users are addicted to smartphones.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or region did not appear to significantly affec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hile there are some studies that predic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ut the studies only present algorithm performance based on survey data.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formation gain measure, questions that have more influence 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are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of algorithms according to the questions is compar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level can be predicted with less information if questions about smartphone use are given appropriately.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Use of Mathematical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최은주;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속에서 수학교구의 구체적인 활용방안과 그 과정에 대해 연구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구 활용 수업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수학교구를 수학수업에 활용한 후, 학습 능력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과 수학교구와 관련된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 능력 수준에 따른 교구 활용 의존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모든 학습 능력 수준에서 높은 흥미도가 관찰되었고, 학습 능력 수준별로 교구를 활용하는 모습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 능력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교구 활용 의존도를 나타내었으나, 교구에 대한 전적인 의존은 하 수준의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무조건적인 현상이 아님이 관찰되었다.

  • PDF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Francophone Korean learners' Use of Listening Strategies)

  • 윤새롬;장윤정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145-1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increasing French language learners and to examine their use of liste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as a basic study for their continuous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ase of French language Korean learners, both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used the upper cognitive strategy most frequently. However, the cognitive strategy, which has been mentioned as a frequently used strategy in previous studies, was found to be the least used in this study. This finding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mores and mastery of prior studies and research subjects. The cognitive strategy was lower in both th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but the level of u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ntermediate level compared to the beginner level, showing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among the four listening strategies.

그림책 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Mother-Child Interaction in Storybook Reading and Children's Narrative Competence)

  • 한유진;유안진
    • 아동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7-162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child verbal interaction strategies and children's narrative competence. Forty-eight 4-year-old middle class children(25 girls and 23 boys) and their mothers were observed in their homes. All the children were asked to produce a new story. Mothers used more descriptive statements and questions, more inferential questions and more evaluative questions than children. Children gave more answers and used more negative feedback than mothers. Mother's use of high-mental demanded question and positive feedback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level of narrative structure. Mothers' use of inferential and evaluative ques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arrative length. Children's use of high-mental demanded statements and positive feedback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level of narrative structure and their use of descriptive and high-mental demanded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arrative length.

  • PDF

주부의 시간사용과 시간사용 만족 -초등학교 이하 자녀를 둔 비취업주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of Full Time Housewives)

  • 박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73-18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usewives'time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on these. Subjects were 222 housewives with pre-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X-test,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Housewives spent over 1/3 of time on physical care(sleeping.. etc.). 2)The use of time by housewives was mainly influenced by husband's status and children's state(age, the number of extra curricular hours, educational level) 3) The satisfaction with time use was affected by first child's age, husband's age, husband's educational level, wives's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income.

  • PDF

STUDY ON DESIGN AND APPLICATION FOR TRAFFIC THEMATIC MAP LEVEL 1 DATA

  • Kim, Soo-Ho;Ahn, Ki-Seok;Kim, Moon-Gi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62-265
    • /
    • 2008
  • We design level 1 traffic thematic map for common data structure. Level 1 means the road that can passing cars. If public office and private company use this form, they can save amount of money from overlapping update. And widely use of traffic analysis, navig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system. For design common data structure we compared several data structure(traffic thematic map, ITS standard node/link, Car navigation map), and generalization these characteristic data. After generalization we considered about application parts. It can use of public part(traffic analysis, road management, accident management) and private part(car navigation, map product, marketing by variable analysis)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