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이용이 후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17대선 패널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Media Use on the Evaluation of the Leading Candidate in the Korean 2007 Presidential Election -An Analysis of the Panel Data with Latent Growth Modeling-

  • 김주환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
  • 김민규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
  • 진영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 발행 : 2008.11.15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난 제17대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정치관심도가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TV, 신문, 인터넷)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 이용이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정치관심도와 주요 미디어 이용이 이명박의 도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전국인구비례에 맞게 모집된 1,199명(여성 584명, 남성 615명, 평균연령(표준편차)=42.77(13.34))의 패널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정치관심도가 높은 유권자들은 그렇지 않은 유권자보다 미디어 종류에 상관없이 미디어 이용 시간이 많았다. TV 미디어 이용의 경우, 다른 미디어들과 비교하여,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사이에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 평가에 대한 차별성이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신문의 경우, 이명박 비지지 집단에서만 신문 이용이 증가할수록 도덕성 평가가 감소하였다. 인터넷의 경우 TV이용과 같이 이명박 지지 집단과 비지지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 이용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도덕성 평가의 초기값이 높았다. 이를 통해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에 대한 판단 여부는 미디어의 종류와 미디어의 이용 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이용과 정치행위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대부분 횡단자료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변인 사이의 변화에 따른 관련성을 입증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함의는 종단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통해 두 변인의 변화에서의 인과적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있다.

The present study has explored the effects of media use on the evaluation of the presidential candidate's morality. We hypothesiz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candidates' morality during the 2007 Korean President Election would be influenced by the amount of the different types of media use. Using a set of panel data, a total of 1,199 citizens (584 females (48.7%), 615 males (51.3%), Mage=42.77, SDage=13.34) were assessed four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7.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level of TV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the level of newspaper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and the level of Internet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increased during the five months; (b) the initial level of political involvement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initial levels of media use; (c) the initial level of political involvement negative influenced the initial level of TV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d) the growth of political involve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growth of TV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e) the intial level of TV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increased both the initial levels of the perception of candidates' morality and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candidates' morality; (f) the change of TV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candidates' morality; and (g) the initial level of Internet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initial level of the perception of candidates' morality, and the change of Internet use for political inform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candidates' mora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