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e Slop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광섬유 센서와 분포형 온도 센싱 시스템을 이용한 실규모 제방 모니터링 실험 (Large-scale Levee Monitoring Experiment Using Fiber-optic Sensor and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System)

  • 안명희;배인혁;지운;강준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3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활용한 온도분포 센싱 방법을 실규모 제방 실험에 적용하여, 제방의 사면과 제체 내부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광역형 제방 모니터링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규모 제방에 광섬유를 매립하고 저류지의 수위 변화에 따른 제체 내부의 시간적, 공간적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류지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제방 사면의 온도는 감소하였으며, 침투가 진행되면서는 온도 변화가 나타나는 공간적 위치의 변화가 감지되었다. 제방 침투로 인한 온도 변화는 침투 경과 시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침윤선으로 추정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방 내부의 온도 변화에 대한 정보는 제방 내부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고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판정되는 지점에 대한 정보로 해석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하천제방의 건전도 평가 (River Embankment Integrity Evalua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 변요셉;정혁상;김진만;최봉혁;김경민;천병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524-528
    • /
    • 2009
  • An influence factors for soundness evaluation of river levee include resistibility and embankment for piping of ground consisting embankment in case piping, permeability coefficient of ground, height of embankment, the width of crest, material characteristics of embankment and foundation ground, shape of embankment slope, an influence for penetration of rainfall or river water in case slope stability. In this study, it was operated a feasibility investigation of existing design result, stability evaluation for permeability coefficient use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change of foundation ground to investigate an influence in line with permeability coefficient change for result of river levee penetration analysis. The evaluation results of influence factors,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used in design and it was evaluated influence in safety factor of piping. After the evaluation of influence factors,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used in the design appears with the fact that differs in a design report about same soil, Accordingly, the stability investigation of embankment by application of literature data can affect stability evaluation results by change factors like a permeability coefficient, void ratio. It should be certainly used material properties by a test in soundness evaluation of river levee.

  • PDF

수문·수리학적 / 지반공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제방의 복합위험도 산정 (Estimating the compound risk integrated hydrological / hydraulic / geotechnical uncertainty of levee systems)

  • 남명준;이재영;이철우;김기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277-2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생가능한 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천제방의 복합위험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확실성을 고려한 수문학적/수리학적/지반공학적의 위험도를 각각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 MCS (Monte Carlo Simulation), FOSM (First-Order Second Moment) 기법을 활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확률을 연계하여 결합확률 형태로 나타내었다. 적용대상 유역은 낙동강에 위치한 강정고령보를 기점으로 상 하류 12.5 km 구간으로 선정하였으며, 구간내의 총 6구간의 제방이 포함된다. 수문시나리오는 제방 월류가 발생하는 100년/200년 빈도 신뢰구간 상한치(97.5%)의 홍수량이 사용되었고, 이에 따른 홍수위 해석을 수행하여 월류위험도를 산정하였으며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침투, 사면안정, 수위급강하 등 제방의 지반공학적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기존 결정론적 위험도 해석보다 확률론적 위험도 해석에 의한 복합위험도가 제방설계에 보다 안정적, 경제적인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수변구조물 설계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녹화와 인간(IV) -잡초를 활용한 제방 비탈면의 식생관리- (Revegetation and human(IV) -The weed management of levee controlled the weed in the weed-)

  • 에자키 츠지오;이와모토 토루;염규진;문진희;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82-92
    • /
    • 2004
  • 제방 비탈면의 잡초관리는 상당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풀베기 작업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잡초라고 불리고 있는 식물을 활용하여 "잡초로 잡초를 제어한다" 라는 개념 하에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방 비탈면의 식생에는 (1) 침식 및 붕괴방지, (2) 풀베기 작업시의 작업성 등과 같은 식물자체에 요구되는 조건, (3) 숲을 기본으로 한 농촌풍경의 향상 유지 및 (4) 걷기 편함 등이다. 황폐지나 제방 비탈면의 우점종인 식물에 대하여 이 4가지 조건에 맞추어 검토를 실시한 결과, Imperata cylindrica Beauv., Shibataea kumasaca Nakai, Sasaella kogasensis Nakai var. gracillima S. Suzuki 및 Hedera canariensis Willd.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다년생 초본류의 군락 형성 비교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3-148
    • /
    • 2014
  •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2009년 4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 새를 식재하였다. 새는 분주를 식재하였고, 나머지 초종은 이년생 포트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간 매년 2회의 잡초 제거를 통해 2011년 군락이 형성되었다. 2012년과 2013년은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실험초종이 군락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였다. 잡초를 제거한 2011년과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간,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과 2013년간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있는지 5월, 7월 9월의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t-검정을 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의 줄기수가 2011년보다 적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억새, 띠, 수크령, 새의 초장은 2012년이 2011년보다 작아 잡초의 피해가 나타났다. 물억새의 초장은 5월과 7월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를 입었으나 (p<0.001), 9월에는 차이가 없어(p=0.098)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12년과 2013년간t-검정 결과, 새를 제외한 나머지 초종은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들 초종은 군락이 형성된 후 잡초의 피해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다. 새는 줄기수와 초장 모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가 컸다.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은 군락 형성 후 잡초 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 유지가 어려웠다. 군락 형성 및 유지, 하천경관 개선, 제방사면 보호의 관점에서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오콤 비탈면 보호공법의 활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d Slope with Geocomb)

  • 안원식;김철문;김억기;김영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7-43
    • /
    • 2012
  • 일반적으로 수면과 접해 있는 호안이나 제방의 법면은 강우 침투로 인해 지반이 포화되어 침식에 약하고 유수로 인한 붕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사면 및 호안 제방을 축조할 경우, 비탈면 침식 및 세굴로 인해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보호용 보강재를 설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법면보호 보강재 중에서 기존의 3차원 지반보강재인 지오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보강재로 개발된 지오콤의 원지반과의 마찰특성, 수평투수능력, 식생의 뿌리활착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중형전단시험 결과, 지오콤 보강지반의 내부마찰력은 기존 보강지반의 강도정수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평투수시험에서도 기존의 보강재보다 수평투수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셀 끝단의 구조가 기존 보강재와 달리 날카로운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셀의 내부표면이 망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천제방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Integrity Evaluation of River Bank)

  • 장혁상;변오셉;천병식;최봉혁;김진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1호
    • /
    • pp.19-26
    • /
    • 2010
  • 하천제방 건전도 평가에 대한 영향인자는 누수의 경우 제체, 기초를 구성하는 지반의 투수계수가 있으며, 제방의 높이, 둑마루 폭 등 기하학적 요인이 있고, 비탈면 안정성의 경우 제체 및 기초 지반의 재료적 특성, 제체 비탈면의 형상, 강우나 하천수의 침투에 따른 영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 침투해석에 중요한 투수계수 변화에 따른 영향 검토를 위하여 기존 설계결과 타당성 검토, 문헌자료 투수계수 사용에 따른 안정성 평가, 기초지반 투수계수변화에 따른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영향인자 평가 결과, 설계 시 사용되는 투수계수는 동일한 토질에 대해서도 설계문헌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토 결과 파이핑 안전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태제방을 이용한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연구 (Availability test of eco-levee construction for presevation of bangudae petroglyphs)

  • 이승오;제갈선동;조홍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1호
    • /
    • pp.931-939
    • /
    • 2016
  • 국보 285호인 반구대 암각화는 EL.53~57 m에 위치해 있으며, 하류에 설치된 사연댐의 만수위 EL.60 m로 인해 매년 5~6개월 동안 침수와 노출이 반복되어 훼손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암각화를 보존하는 방안으로서, 암각화 전면에서 약 80 m 떨어진 곳에 약 440 m의 차수형 제방을 설치하고 기존 하폭에 준하는 수로를 개설하는 생태제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저수지와 하천의 흐름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모형을 1:50축척으로 제작하여, 수로변경에 따른 신설 제방구간과 상 하류 대곡천의 수리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연댐 여수로를 EL. 60 m와 EL. 54 m로 고려한 생태제방 1안과 2안 모두 신설되는 수로에서 유속과 수심변화 등이 크지 않았으며, 허용유속과 소류력 기준으로 판단하면 흙과 돌 등 자연재료로 생태제방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면경사가 크게 되는 2안이 1안보다 수로 내에서의 유속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안은 유입부 좌안에서 와류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모래로 축조(築造)한 제체(堤體)의 사면안정(斜面安定) 해석(解析) (Analysis of Slope Stability through Sand Constructed Model Levee)

  • 신방웅;최기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5-22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제체(堤體)에 있어서, 수위(水位)가 급상승(急上昇)함에 따라 제체내부(堤體內部)의 공극수압(空隙水壓)이 변화(變化)하는 제체경사면(堤體傾斜面)의 파괴현상(破壞現象)을 연구(硏究)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 발표(發表)된 근사이론식(近似理論式)을 토대로 국부(局部) 파괴현상(破壞現象)을 실험(實驗)을 통(通)하여 고찰(考察)했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연구(硏究)된 내용(內容)은 다음과 같다. 1) 침윤선(浸潤線)에 따른 유출점(流出點)의 위치 결정(決定) 2) 유출점(流出點) 부근(部近)에서 발생(發生)되는 국부(局部) 파괴현상(破壞現象)에 대한 고찰(考察) 3) 침투수압(浸透水壓)이 제체(堤體)에 미치는 영향(影響)

  • PDF

서울 양재천 하천 숲 조성에 의한 야생조류 서식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 of Wild Bird Habita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iparian Forest Construction in Yangjae Stream, Seoul)

  • 윤석환;한봉호;최진우;윤호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97-11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evidence for the habitat improvement of wild birds in urban stream by analyzing changes in habitat characteristics of wild birds by riparian forest construction in Yangjae stream in Seoul. In Gangnam-gu, the multi layered riparian forest consisting of landscape trees and shrubs was formed on the slope. In Seocho-gu, the vertical vegetation structure of woody and herbaceous wetland plants was good. In Gangnam-gu, the vegetation area of the slope increased and the vertical stratification structure affected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forest bird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plovers, sandpipers and wagtails decreased due to the impact of bicycle roads and trails. The poor forests on the levee slope in Seocho-gu affected the habitat selection and migration of the forest birds. The willows and amur silver-grasses formed in the riverside have been developed into the riparian forest, thus stabilizing the habitat of water birds by blocking disturbances from the influence of the tr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