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ttuce leav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6초

Podosphaera fusca에 의한 상추 흰가루병의 증상과 피해 (Symptoms and Damages of Powdery Mildew on Leafy Lettuce Caused by Podosphaera fusca)

  • 지형진;심창기;류경열;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94-297
    • /
    • 2006
  • Leafy lettuce(Lactuca sativ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getable crops in Korea, cultivated throughout the year in greenhouses. During the autumn of 2005, powdery mildew of lettuce that is a new disease caused by Podosphaera fusca occurred in several plantings grown in plastic houses near Suwon in central Korea. Further survey on commercial fields of the plant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 revealed its widespread occurrence and severe losses. Infections occur on upper part of mature leaves often cause leaf distortions, withering, and reduced vigor and growth. Among 184 greenhouses surveyed 121 were infested by the disease and 52 showed over 10% infection rate. Yields were greatly reduced by the disease reaching only 59% compared to healthy plants. About 60% leaves of infected plant were not marketable and fresh weight of the leaves was 73.6% compared to healthy leaves. Total yield of the greenhouses infested by the disease ranged from $100{\sim}140kg$, while it was 260 kg in a non-infested greenhouse at one time harvest. Since the disease represents a threat to safe cultivation of leafy lettuce in Korea, environmentally-friend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urgently developed.

수분 부족 스트레스 처리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반응 (Response of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 in Lettuce (Lactuca sativa L.) Leaves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 강상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3-282
    • /
    • 2008
  • 수분 공급을 제한하여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상추식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활성도, 엽록소 함량, 과산화수소의 함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생육배지의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식물체내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R^2$=0.8851)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R^2$=0.9826)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엽록소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공시작물에서의 함량이 정상 생육시 보다 그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엽록소에 대한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식물에서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정상 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초기에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MDHAR의 활성도는 사이토졸(cytosolic) 분획과 엽록체(chloroplastic) 분획에서 공히 크게 증가하였으며 MDHAR의 mRNA 전사 정도도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R^2$=0.9937과 0.8645)되어 수분 부족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과 MDHAR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공장에서 인공광원이 결구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Crisphead Lettuce in Plant Factory)

  • 조영렬;한동욱;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1
    • /
    • 1998
  •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하에서 인공광원에 따른 결구상추의 생육, 잎끝마름증과 배양액속의 무기이온 변화를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광원에 따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인 생육은 형광등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공광원중 생육과 램프의 경제성을 고려해 볼때, 고압나트륨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공광원에 따른 잎끝마름증 발생시기는 정식 후 14일에 처음 발생하였으며, 발생부위는 자엽으로 부터 9∼10번째 잎이었다. 발생원인으로는 빠른 생장율과 상추의 칼륨흡수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인공광원에 따라 배양액속의 무기 성분 변화를 보면, 세처리구 모두 칼슘. 마그네슘, 구리와 아연 함량 등은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질소, 인, 철과 망간 함량등은 안정적이었다.

  • PDF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생존 및 증식 특성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Pathogen in Romaine Lettuce)

  • 김나예슬;김채린;김다운;정명인;오광교;김보은;류재기;정지은;전익성;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81-487
    • /
    • 2021
  • 본 연구는 로메인 상추에서 병원성미생물이 생존과 생육의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관리 정보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로메인 상추에서 분무 접종한 E. coli O157:H7은 72시간 배양 후 초기균수 보다 2.0 log CFU/g 수준으로 증가하여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잎의 상처 유무에 따른 E. coli O157:H7은 배양 72시간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상추 잎에 인위적인 상처에 내어 E. coli O157:H7을 접종하고 병원균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상처가 없는 상추는 표면이 매끄러워 균이 부착하지 못하거나 균수가 매우 낮았고, 상처가 있는 상추 잎은 거친 표면에 균이 밀집되어 상처를 통해 상추 내부로 침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병원성미생물의 상추 추출물 이용 여부는 10-100% 농도에서 배양 24시간 이후에 E. coli O157:H7 8.9 log CFU/mL, L. monocytogenes 8.6 log CFU/mL, P. carotovorum 8.8 log CFU/mL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성미생물과 식물병원균이 유사한 4 log CFU/g 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어 미생물이 상추 추출물을 영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추출물 0.1%에서 초기 접종 농도와 비교하여 E. coli O157:H7 2.7, L. monocytogenes 1.3, P. carotovorum 2.9 log CFU/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병원성 미생물의 최소생육농도는 0.1%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상처를 통해 지속적으로 0.1% 수준의 상추 추출물이 병원성미생물에 제공되면 상추 내부에서도 생존 및 증식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using Bacillus mojanvinensis Pro-EB 15 strain.

  • Bak, Joung-Woo;Kim, Hyun-Ju;Park, Jong-Young;Lee, Kwang-Youll;Gang, Jun-Ho;Lee, Jin-Woo;Jung, Soon-Je;Moon, Byung-J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2.2-103
    • /
    • 2003
  • This studies wer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t the lettuce field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and were isolated the most effective microorganism for the biological control to the pathogen, S. sclerotiorum YR-1 strain from diseased soil and lettuce leaves. For the pathogenicity test, the most suitable inoculmn density of YR-1 strain was selected as the mycelial suspension of 40m1 showing disease incidence of 80%, and the symptom showed as same as at the fields, the leaves and stem had rotten and developed white downy mycelial at the diseased lesion on the leaves and stems, and produced black and irregular sclerotinia. On the PDA dual test, about 300 isolates were examined the antifungal activity to the pathogen, YR-1 strain, and among them, A-2, A-7, and RH-4 strain were selected most effective antagonistic bacteria. At pots test, the control value of A-7 strain showed the highest value as 85%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others in a growth chamber. For the promotion of control effect, the selected 3 isolates were spayed on the lettuce leaves as a sole and/or mixed treatments in a growth chamber, the mixed treatment of A-7 and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90% was most effective than that of sole treatment with A-7 or RH-4 strain showing the control value of 80%, respectively and mixed treatment with A-2 and A-7 strain and A-2, A-7 and RH-4 strain. In addition, 3 bacteria re-isolated from diseased soils, and all of the selected 6 isolates investigated the control effect at pots in a growth chamber, According to the results, A-7 and Pro-EB 15 strain showed the control value of 91.0% and 90.1% respectively, and they were selected most effectual antagonistic bacteria to control lettuce sclerotinia rot and identified as the Bacillus mojanuinensis by 16s RNA analysi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biological control using by B. mojanvinensis to the lettuce Sclerotinia rot.

  • PDF

저온 처리한 상추 잎에서 monodehydroascorbate 환원효소의 반응 (Response of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in Lettuce Leaves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Stress)

  • 강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8-374
    • /
    • 2011
  • 식물의 저온 적응 메카니즘에서 아스코브산과 관련된 효소 중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 아스코브산의 함량, mRNA의 발현수준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 변화는 저온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6시간 이후에 엽록체분획과 세포질분획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온으로 회복시켰을 때 효소의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온에 노출된 동안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이다가 실온으로 회복시키면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저온에 노출되는 동안 급격히 dehydroascorbate 함량이 감소하였다가 실온으로 회복되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스코브산의 함량과 엽록체분획과 세포질분획의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는 각각 정의 상관($R^2$=0.9240, 0.9108)을 나타내었으나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과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 사이에는 각각 부의 상관($R^2$=0.8638, 0.8980)을 나타내었다. MDHA 환원효소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면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정의 상관($R^2$=0.9443, 0.9647)을 나타내었다. 저온스트레스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MDHA 환원효소의 mRNA의 발현 수준과 총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ytoplasma-associated Shoot Proliferation and Leaf Yellowing in Lettuce

  • Chung, Bong-Nam;Kim, Jeong-Soo;Cheong, Seung-Ry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51-154
    • /
    • 2007
  • Phytoplasma was identified from leaf lettuce (Lactuca sativa) cultivated in commercial green-house in Korea. Diseased leaf lettuce revealed proliferation of shoots, and yellowing and shrinking of leaves (lettuce proliferation-K).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universal primer pair P1/P6, and aster yellows (AY) specific primer pair R16F1/R1 amplified 1.5kb and 1.1kb length of DNA fragments, respectively. Nucleotide sequences of 16S rRNA gene were determined (Gen Bank accession no EF489024).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DNA showe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AY phytoplasma (GenBank accession no. AY389822 and AY389826), indicating that lettuce proliferation-K is a member of AY. Phytoplasma bodies were detected in phloem sieve tubes of diseased lettuce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structures had round or pleomorphic shapes with a diameter of 130-300nm. Phylogenetic analysis of 16S rRNA gene, microscopic observation of phytoplasma bodies and symptomatology indicated that lettuce proliferation-K is caused by phytoplasma in the AY group.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hytoplasma disease in lettuce in Korea.

상이한 피크파장의 적색광 및 청색광 발광다이오드 조사에 따른 상추의 생장 및 안토시아닌 (Growth and Anthocyanins of Lettuce Grown under Red or Blue Light-emitting Diodes with Distinct Peak Wavelength)

  • 이재수;김용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30-339
    • /
    • 2014
  • 430-470nm의 청색광 영역과 630-670nm의 적색광 영역을 5nm 간격으로 세분화한 LED를 인공광원으로 사용하고, 냉백색형광등을 대조구로 사용한 가운데 적치마상추(Lactuca sativa L. '중생종', 흥농씨앗)의 생장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적색광 또는 청색광 LED의 피크파장에 따른 광질조사 효과를 분석하였다. 페쇄형 시스템 내에서 생장된 상추의 재배조건은 광주기 16/8h, 기온 $22/18^{\circ}C$, 습도 70%, $CO_2$ 농도 $400{\mu}mol{\cdot}mol^{-1}$로 설정하였고, 베드 면에서의 PPF를 $201{\pm}2\;{\mu}mol{\cdot}m^{-2}{\cdot}s^{-1}$로 조절하였다. 정식 후 21일째에 측정된 상추의 생장 특성과 안토시아닌 함량은 청색광 또는 적색광 LED의 피크파장에 따라 유의차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처리된 LED의 피크파장 가운데 R1 처리구(피크파장 634nm)와 R6 처리구(피크파장 659nm)가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광합성속도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한편 안토시아닌의 축적에 B5 처리구(피크파장 450nm)가 효과적이었다. 상추 잎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엽색의 hue 값이 작아지거나, 또는 SPAD 값이 커질수록 직선적인 관계를 이루면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피크파장 634nm와 659nm의 적색광, 450nm의 청색광은 엽채류의 생산량 증대와 안토시아닌 함량의 증진에 필요한 광질로서 활용될 것이다.

Evaluation of Lettuce Germplasm Resistance to Gray Mold Disease for Organic Cultivations

  • Shim, Chang Ki;Kim, Min Jeong;Kim, Yong Ki;Jee, Hyeo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90-95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212 accessions of lettuce germplasm to gray mold disease caused by Botrytis cinerea. The lettuce germplasm were composed of five species: Lactuca sativa (193 accessions), L. sativa var. longifolia (2 accessions), L. sativa var. crispa (2 accessions), L. saligna (2 accessions), and L. serriola (1 accession); majority of these originated from Korea, Netherlands, USA, Russia, and Bulgaria. After 35 days of spray inoculation with conidial suspension ($3{\times}10^7$ conidia/ml) of B. cinerea on the surface of lettuce leaves, tested lettuce germplasm showed severe symptoms of gray mold disease. There were 208 susceptible accessions to B. cinerea counted with 100% of disease incidence and four resistant accessions, IT908801, K000598, K000599, and K021055. Two moderately resistant accessions of L. sativa, K021055 and IT908801, showed 20% of disease incidence of gray mold disease at 45 days after inoculation; and two accessions of L. saligna, K000598 and K000599, which are wild relatives of lettuce germplasm with loose-leaf type, showed complete resistance to B. cinerea. These four accessions are candidates for breeding lettuce cultivars resistant to gray mold disease.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omposite Vegetable Crops and the Causal Sclerotinia spp.

  • Kim, Wan-Gyu;Cho, Weon-Dae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2
  • Composite vegetable crops grown in greenhouses and open fields in Korea were surveyed from 1995 to 1999.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was observed in 123 of 277 lettuce fields, in 11 of 18 head lettuce fields, in 12 of 14 endive fields, and in 4 of 38 garland chrysanthemum fields surveyed during the growing seasons. The disease most severely occurred up to 80% on lettuc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as high as 20% at its maximum on endive and garland chrysanthemum but relatively low on head lettuce. Symptoms of the disease developed on leaves of all the composites, crowns of lettuce and head lettuce, and stems of garland chrysanthemum. Out of 240 isolates of Sclerotinia species obtained from the diseased composites, 16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the others as S. minor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 sclerotiorum was isolated from all the composites, and S. minor only from lettuce and endive. Eight isolates of S. sclerotiorum and four isolates of S. minor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isolates of the two Sclerotinia spp. induced rot symptoms on the plants of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ulence of the isolates to the composites and in susceptibility of the composites to the iso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