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s car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cases in multi - purpose solution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5-99
    • /
    • 2000
  •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80명 중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중 72명(90%, 다목적용액 사용자 포함)은 화학소독을 6명(7%)은 과산화수소 소독을 그리고 2명(3%)은 열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는 조사대상 중 59%이었다. 수거하여 조사한 총 80개의 렌즈 보관용기 중 68%(54개)에서 미생물 요염이 나타났다. 보관용기는 사용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오염률이 더 높았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에서 오염된 31개(57%)의 보관용기 중 1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4개(13%), 2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5개(48%) 그리고 3종류 이상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2개(39%)이었다. 오염된 렌즈 보관용기로부터 Pscudomonas. Scrratia. Bacillus. E. coil. Aspergillus 등이 분리 동정되었다. 다목적 용액 관리체계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률이 높기 때문에 렌즈를 보다 효과적이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주기적으로 자주 렌즈 보관용기를 교체하므로서 보관용기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안경원의 시험착용 콘택트렌즈 및 관리용품 관리 실태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rial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Products in Local Optical Shops)

  • 박미정;이운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1-401
    • /
    • 2011
  • 목적: 국내 안경원의 시험착용렌즈와 관리용품의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관리 소홀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낮추고자 하였다. 방법: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을 대상으로 시험착용렌즈의 착용 시 느끼는 점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콘택트렌즈를 취급하는 안경원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시험착용 콘택트렌즈인 미용렌즈와 RGP 렌즈 그리고 렌즈 관리용품의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시험착용 미용렌즈와 RGP 렌즈의 경우는 98% 이상의 안경사들이 렌즈 착용 전후 세척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렌즈의 위생 상태를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착용 미용렌즈의 착용 전 세척은 생리식염수 38.5%, 전용 다목적 용액 40.5%, 생리식염수와 다목적 용액의 병행 사용 21%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착용 후 세척은 생리식염수 13%, 다목적 용액 75%, 생리식염수와 다목적 용액의 병행이 12%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시험착용 RGP 렌즈의 경우는 착용 전 세척에는 생리식염수가 28.5%, 전용 다목적 용액이 38.5%, 식염수와 다목적 용액 병행이 33%로 나타났으며, 착용 후 보관전 세척은 식염수가 2.5%, 다목적 용액이 70%, 다목적 용액 세척 후 식염수 세척은 27.5%를 차지하여 비교적 세척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경원에서 시험착용 미용렌즈의 세척은 주로 열흘에서 1개월을 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냈고, 보관용기의 세척은 1 개월을 주기로 이루어졌다. 시험착용 RGP 렌즈의 세척주기는 주로 1개월 또는 2~3개월이었다. 시험착용렌즈 보관용기의 경우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찬물로 헹구는 경우가 75% 이상으로 나타났다. 관리용품인 생리식염수의 보관기간은 주로 일주일로 나타났고, 다목적 용액의 보관기간은 주로 1개월이나 2~3개월로 나타나 안경원에서 렌즈 관리용액의 보관기간은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안경원에서의 시험착용렌즈 및 관련 관리용품의 관리는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이루지고 있었으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세척을 지양하고, 2주 이내의 세척주기와 뜨거운 물로의 렌즈 보관용기 헹굼이 추가적으로 강화된다면 국민의 눈 건강 증진과 더불어 안경사에 대한 더 높은 신뢰성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관리 용품에 따른 RGP 렌즈의 세척효과 및 습윤성 차이 (The Difference of the Cleaning and Wettability-maintaining Efficacy of Lens Care Solution to RGP Lens)

  • 김명혜;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GP 렌즈에 부착된 누액 성분의 세척효과 및 RGP 렌즈의 습윤성 유지에 대한 RGP 렌즈 관리용액, 소프트콘택트렌즈(SCL) 관리용액, RGP 렌즈-SCL 겸용관리용액 및 생리식염수의 작용의 차이를 알아 보았다. 단백질 세척력을 알아보기 위해 Lowry protein assay와 주사현미경 관찰을 하였으며, 지질 세척력을 알아보기 위해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logy(HPLC)를 사용하였고, 습윤성은 water-in-air 방법으로 접촉각을 측정하여 알아 보았다. RGP 렌즈관리용액으로 RGP 렌즈를 세척 및 보관하였을 때 부착된 단백질의 62%가 제거되었으며, 이러한 단백질 부착물 세척력은 생리식염수나 겸용 관리용액에 비해 약 4배 우수한 것일 뿐만 아니라 SCL 관리용액에 비해 2배 우수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의 SCL 관리용액의 단백질 세척력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과 상이한 결과로, 세척 효과가 단순히 계면활성제의 활성만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RGP 렌즈 관리용액에 들어있는 점성증가제와 같은 성분들이 RGP 렌즈와 용액의 접촉을 증가시켜 세척효과가 강화되는 것과 같이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로 여겨진다. RGP 렌즈에 부착되어 있는 지질 또한 RGP 렌즈 관리용액이 가장 우수한 지질세척 효과를 가져 렌즈에 잔존하는 cholesterol의 양이 50%로 감소하였다. RGP 렌즈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한 중요한 평가 지료인 렌즈 표면의 습윤성은 RGP 렌즈 관리용액에 의해 가장잘 유지되었다. 겸용 관리용액의 경우 세척력 및 습윤성 유지력이 모두 RGP 렌즈 용액에 못 미쳤다.

  • PDF

Contact lens care system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in contact lens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7-63
    • /
    • 1996
  • Soft contact lens 착용자 40명의 lens 관리체계와 결막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Contact lens 착용자의 연령은 19-27세(평균22세)로 대부분 hydrogel contact lens를 1년 이하 착용하고 있었고 lens case의 사용기간은 1주-3개월 43%, 4-6개월 52%였다. lens의 소독은 27명(67%)이 화학소독을 실시하고 있었고, hydrogen peroxide와 열소독은 각각 8명(20%), 5명 이었다. Rinsing solution의 경우 14명이 시판되는 nonpreserved saline을, 26명(65%)은 preserved saline을 사용하고 있었다. Lens case 및 결막의 세균오염률은 각각 62%, 17%로 lens case의 세균오염률이 가장 높고 unpreserved saline(8/14), chemical(5/27), 그리고 결막순이었다. 진균 오염율은 lens case 및 결막에서 각각 67%, 15%이였고, 주로 lens case, unpreserved saline, 결막에서 오염이 심했다. Hydrogen peroxide 소독은 화학소독의 경우보다 hydrogen peroxide 용액 자체는 오염률이 현저하게 낮았으나 hydrogen peroxide 소독에 의한 contact lens 관리체계는 오염률에 있어서 다른 소독방법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각각 5개의 lens case(l3%)와 2개의 결막(5%)에서 또 Candida albicans는 11개의 lens case(27%)와 5개의 결막(12%)에서 각각 분리되었으며, 오염원 lens case와 결막으로부터 각각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Candida dlbicans, Aspergillus fumigatus와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fumigatus가 분리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중 Acanthamoeba의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 PDF

연성 콘택트렌즈의 관리 및 정기검사 실태 (The status of care for Soft Contact Lens and periodic examination)

  • 신장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7-113
    • /
    • 2000
  • 안경원과 안과에서의 연성 콘택트렌즈 판매 후 이루어지는 관리방법과 정기검사의 실태를 파악하여 안경광학과의 연성 콘택트렌즈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성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산 및 경남지역의 2개 대학 학생들의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율은 7.5%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은 연성 콘택트렌즈를 주로 안경원에서 구매하고 있었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콘택트렌즈의 종류로는 매일착용렌즈가 78.5%로 가장 많았고 연성 콘택트렌즈를 선택한 이유로 미용성을 든 사람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1일 착용시간은 12시간 미만인 경우가 72.5%로 가장 많았고 사용기간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가 32.0%로 가장 많았으며 연성 콘택트렌즈로 인한 불편사항으로 자극감을 선택한 사람이 51.3%로 가장 많았고 연성 콘택트렌즈의 교환시기는 6개월 이상 9개월 미만인 경우가 39.7%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성 콘택트렌즈 판매 시 안과와 안경원 모두 일반적인 관리 방법인 착용시간 및 착용기간, 단백질 제거방법, 보관방법, 소독방법의 교육은 60% 이상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부작용과 정기검사 스케줄의 지도 및 관리에 대해서는 안과, 안경원 모두 낮았으며 특히 정기검사에 대한 안경원의 교육은 매우 낮았다(p<0.05). 셋째,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 후 정기검사의 실시는 안과, 안경원 모두 낮았고 특히, 안경원에서는 정기검사의 실시율은 낮았으며 대부분(87.9%)은 부정기적인 검사에 의존하고 있었다. 정기검사 시 관리방법에 있어서 안경원에서는 콘택트렌즈의 일반적인 관리 방법 점검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비해 안과에서는 이에 더하여 안검사 및 치료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성 콘택트렌즈를 착용자 중 정기검사의 필요성을 느낀 경우가 60.3%인 반면 실제로 정기검사 스케줄을 지도 받은 경우는 6.4%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안경원에서 2.5%로 더 낮았다(p<0.01).

  • PDF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미셀임계농도 및 표면장력과 세척력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urface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Tension and Their Cleaning Efficacy)

  • 변현영;성형경;문준식;이아영;권세영;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0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세척력 평가를 위해 미셀임계농도 평가법, 표면장력 평가법 및 단백질세척효율평가법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계면활성제의 미셀임계농도와 실제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문헌과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표면장력기기로 $25{\pm}1^{\circ}C$에서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하였으며, lotrafilcon A, comfilcon A, balafilcon A재질의 렌즈를 인공누액에 14일 동안 침착시킨 후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효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22제품 중 계면활성제 농도가 표시된 제품은 9제품이었으며 문헌상의 미셀임계농도보다 계면활성제 농도가 더 높은 제품은 7제품이었다. 표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소프트렌즈용 관리용품의 표면장력이 다른 관리용품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효과 분석 결과에서는 표면장력이 더 낮은 제품의 단백질 제거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은 경우 표면장력이 낮으며, 표면장력이 낮을수록 침착된 단백질 세척 효율이 높아져 세척력 평가법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사용자 실태조사 (The Current State of Lens Care in Contact Lens Wearer)

  • 유근창;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02
  •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사용자의 실태조사는 안경원과 안과에 내원한 콘택트렌즈 사용자 237명(남자 56명, 여자 181명)을 대상으로 문진과 세극 등 검사, 각막곡률 검사, 굴절검사 등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에 따른 현재 착용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착용률은 10대 40.9%, 20대 52.3%, 30대 5.5%, 40대 1.3%로 조사되었으며,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 10대의 착용률은 82.5%, 20대 83.1%, 30대 38.5%이었으며, 하드 콘택트렌즈 착용률은 10대 17.5%, 20대 16.9%, 30대 61.5%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착용목적은 전체 조사자의 40.5%는 안경이 불편해서, 32.1%는 미용목적으로 9.7%는 스포츠를 목적으로 17.7%는 시력교정목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렌즈관리 시스템의 경우 전체 조사자의 16.5%는 매일세척을 하였으며, 29.1%는 매일 세척과 단백질 제거를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21.9%는 매일세척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였으며, 32.5%는 매일세척과 단백질제거 그리고 다목적용액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렌즈 착용시간은 10시간 이내가 31.6%, 11~13시간 미만의 경우가 41.3%, 14시간이상은 27%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보관방법에서 62%는 보존액, 38%는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콘택트렌즈 교체 이유는 렌즈분실 35%, 렌즈손상 37.6% 이물질 침착 21.9%, 5.5%는 렌즈수명의 이유로 렌즈를 교체하였다. 현재 사용 중인 콘택트렌즈의 주요 자각증상은 급성 충혈의 자각증상 21%, 이물감 20.8%, 통증 19.6%, 건조감 9.4%, 흐린 시야 5.5%, 시야감소 3.8%, 유루 3.7%, 삼출물 2.8%, 가려움 2.6%, 자각증상이 없는 착용자는 10.2%로 조사되었다. 콘택트렌즈 사용자의 렌즈관리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51%는 만족하였으나 28.7%는 불만족을 나타냈다. 착용자의 정기검사에서 81.1%는 정기검사를 하지 않았으며, 18.1%는 정기검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콘택트렌즈 관리방법에 의한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침전물 제거효과 (Evaluation of Contact Lens Care Regimens in Removing Tear Lipids on Silicone Hydrogel Lens)

  • 강유선;이군자;주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7-353
    • /
    • 2010
  • 목적: 소프트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의한 bal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된 지방 침전물 제거효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Bal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실험실 조건에서 oleic acid, oleic acid methyl ester, cholesterol이 포함된 식염수에 담가 24시간 동안 오염시켰다. 오염된 콘택트렌즈는 식염수로 헹구어준 후 계면활성세척액, 알콜 성분이 포함된 세척액 및 다목적용액으로 각각 세척하였고, 반복적인 오염과 세척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오염과 세척과정을 14회 반복하였다. 초음파의 지방침전물 세척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오염된 렌즈에 초음파처리를 한 후 처리하지 않은 렌즈와 비교하였다. 지방침전물은 methanol:chloroform (1:1, v/v) 용액으로 추출하고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정량하였다. 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세척효과는 알콜성분을 함유한 세척액이 계면활성세척액 및 다목적용액보다 높았으며, 초음파를 함께 처리해준 경우에는 세척 효과가 상승하였다.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세척한 후에도 지방침전물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오염과 세척을 반복한 경우 지방 침전물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되는 지방 침전물에 대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관리용액의 세척효과는 만족할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 침전물 제거에 적합한 세척액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목적 용액 및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소독방법의 비교 (A Comparision of Disinfection Efficacy for RGP Lens by Using Multi-purpose Solution and Cleaner)

  • 박미정;곽재숙;박상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41
    • /
    • 2007
  • 본 연구는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관리방법의 정립을 위해 수행하였다. 각 RGP 렌즈를 녹농균주 용액에서 배양한 후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계면활성제 성분이 함유된 세척제로 처리한 후 렌즈에 남아있는 녹농균 수를 측정하였다. 30분 동안 다목적 용액에 침윤시키는 것만으로도 녹농균의 수가 50% 감소되었다. 4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는 95%의 균이 제거되었으며, 6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 녹농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세척제만을 사용하여 관리한 경우에는 79%의 녹농균이 제거되어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30분간 침윤시키는 것보다 소독효과가 월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제를 사용한 후 30분간 RGP 렌즈용 다목적 용액에 침윤하였을 때의 녹농균의 수는 30분간 다목적 용액으로 침윤만 하였을 때의 녹농균 수의 36%에 불과하여 짧은 시간 동안 침윤에 의한 소독효과의 미비가 세척제를 이용한 관리로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여대생의 렌즈 착용과 관리 행위에 따른 눈의 불편감 조사 (An Investigation of Eye Inconvenience due to the Wearing and Management of Le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장현정;전혜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83-190
    • /
    • 2020
  • 본 연구는 렌즈 착용과 관리 행위를 조사하고 관리방법에 따른 눈의 불편감 간 관련성을 탐색한 상관성 조사연구설계로 1년이상 렌즈를 착용한 여대생 209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들은 40.2%가 매일 렌즈를 착용하고 97.1%가 하루일과 시간 내내 착용한 반면, 매일 세척하는 경우는 45.4%로 나타났고, 단백질 제거 제품등을 세척시 사용하는 경우는 17.7%로 개인적인 관리행위는 미흡했다. 98.1%의 학생들은 렌즈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고, 안구건조증 증상 자가진단으로 활용되는 안구표면지수(OSDI) 결과, 대상자들은 42.88±15.25점으로 중증의 건상안으로 분류되며, 눈의 건강을 위협받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렌즈관리에 대한 인식개선과 정확하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주기적인 렌즈 점검 및 관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