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us of care for Soft Contact Lens and periodic examination

연성 콘택트렌즈의 관리 및 정기검사 실태

  • 신장철 (부산여자대학 안경광학과)
  • Published : 2000.12.31

Abstract

This study has analyzed soft contact lens care-after-sale and periodic examinations at optical shops and eye clinics. And I wish to make that use of educational data for the soft contact lens lesson of the department of ocular optics. This questionnaire studied the status of care for soft contact lens and periodic examination, of students who wears soft contact le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5% of students questioned wore soft contact lens. More women than men wore soft contact lens.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purchased lens mainly at optical shops. 78.5% of them wore daily wear lens. Because of cosmetic advantages of soft contact lens. 47.9% of them wore soft contact lens. 72.5% of them wore soft contact lens less than 12 hours per a day. 32.0% of them has worn soft contact lens more than 6 months less than 1 year. 51.1% of them experienced irritation. 39.7% of them have exchanged soft contact lens between 6 and 9 months. Secondly, when purchasing lenses. 60%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were given instructions of general care, such as duration of wearing lens, how to remove protein, how to store, and how to sterilize at both of eye clinics and optical shops. But the proportion of instructions, such as side effects and periodic examination which were given to soft contact lens wearers, is lower both at eye clinics and optical shops. Especially at optical shops, the proportion of instruction for periodic examination, is lower than at eye clinics(p<0.05). Thirdly, The proportion of operations of periodic examinations after use of soft contact lens both at eye clinics and optical shops, is low.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have had more periodic examinations at eye clinics than at optical shops. But the rate of non-periodic examination at optical shop is 87.9%. And for periodic examinations, general care was done at optical shops. On the other hand, eye examinations, general care, and treatments were done more at eye clinics. Fourthly, 60.3% of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understood the necessity of the periodic examinations, but actually, only 6.4% of them were given the schedule for the periodic examinations, and 2.5% of them were given at an optical shop(p<0.01).

안경원과 안과에서의 연성 콘택트렌즈 판매 후 이루어지는 관리방법과 정기검사의 실태를 파악하여 안경광학과의 연성 콘택트렌즈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성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산 및 경남지역의 2개 대학 학생들의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율은 7.5%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은 연성 콘택트렌즈를 주로 안경원에서 구매하고 있었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콘택트렌즈의 종류로는 매일착용렌즈가 78.5%로 가장 많았고 연성 콘택트렌즈를 선택한 이유로 미용성을 든 사람이 47.9%로 가장 많았으며 1일 착용시간은 12시간 미만인 경우가 72.5%로 가장 많았고 사용기간은 6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가 32.0%로 가장 많았으며 연성 콘택트렌즈로 인한 불편사항으로 자극감을 선택한 사람이 51.3%로 가장 많았고 연성 콘택트렌즈의 교환시기는 6개월 이상 9개월 미만인 경우가 39.7%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성 콘택트렌즈 판매 시 안과와 안경원 모두 일반적인 관리 방법인 착용시간 및 착용기간, 단백질 제거방법, 보관방법, 소독방법의 교육은 60% 이상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부작용과 정기검사 스케줄의 지도 및 관리에 대해서는 안과, 안경원 모두 낮았으며 특히 정기검사에 대한 안경원의 교육은 매우 낮았다(p<0.05). 셋째, 연성 콘택트렌즈 착용 후 정기검사의 실시는 안과, 안경원 모두 낮았고 특히, 안경원에서는 정기검사의 실시율은 낮았으며 대부분(87.9%)은 부정기적인 검사에 의존하고 있었다. 정기검사 시 관리방법에 있어서 안경원에서는 콘택트렌즈의 일반적인 관리 방법 점검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비해 안과에서는 이에 더하여 안검사 및 치료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성 콘택트렌즈를 착용자 중 정기검사의 필요성을 느낀 경우가 60.3%인 반면 실제로 정기검사 스케줄을 지도 받은 경우는 6.4%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안경원에서 2.5%로 더 낮았다(p<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