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Recognit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 김미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27-245
    • /
    • 2013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과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성공적 노화구성요소를 비교하고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 620명,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 3,460명으로 모두 4,080명으로 구성되었다.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 및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이 사용되었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 건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교육수준, 심리적 건강이 높았다. 반면 질병 비율은 낮았고 직업활동, 노후생활비준비나 경제적 독립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중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고 연령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노후연령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도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 PDF

미래워크숍을 활용한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 및 미래적응력 변화 탐색 (An Investigation on the Future Recognition of Career Counselors and their Future Competency and Future Adaptability change by using the Future Workshop)

  • 염인숙;임금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57-567
    • /
    • 2019
  • 본 연구는 미래워크숍을 활용하여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을 도출하고 미래적응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진로직업상담가 25명을 대상으로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서면 작성된 자료와 미래워크숍에서 진행된 토론 내용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단어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합의를 통해 주제어 도출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인식 키워드는 로봇, 인공지능, 여가, 교육, 편리, 장애인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래노동현장에서는 첨단 기술로 인한 변화를 가장 많이 전망했다. 셋째, 진로직업상담 현장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진로직업상담사와 로봇상담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넷째,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역량으로 정보처리능력, 전문상담능력, 의사소통능력, 윤리의식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미래워크숍 참여 이후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미래역량은 진로직업상담가의 직무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변혁적 리더십이 외식기업 조리사의 내재적 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J푸드빌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ook'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Foodservice Firm - Focused on CJ Foodville -)

  • 전현모;권나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3-76
    • /
    • 2017
  • The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of cooks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ntecedent variab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been assessed positively in variable studies as a leadership to improve employee's creativity. The authors also trie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by identifying the medit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of cooks. The study subject was CJ FOODVILLE, which is a representative company with its size, sales, and recognition as a domestic restaurant busi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mployees who were working as a cook in restaurants operated by CJ FOODVILLE in metropolitan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intrinsic motivation, but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he four 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intrinsic motivation played a role as a mediation among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creativit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intrinsic motivation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reativity of cooks.

정적 변형률을 이용한 플로팅 구조물의 손상탐지 (Damage Detection in Floating Structure Using Static Strain Data)

  • 박수용;전용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3-168
    • /
    • 2012
  • 최근 물 가까이에서 생활하고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친수공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플로팅 구조물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적 변형률을 이용한 플로팅 구조물의 손상탐지기법을 제안하였다. 손상을 탐지하기 위한 손상지수는 기존의 모달 변형에너지를 이용한 손상지수 법을 변형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손상 전과 손상 후의 변형률로 나타내었으며, 손상지수 계산 후 손상부위를 결정하는 손상탐지는 패턴인식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이론의 정확성과 타당성은 플로팅 구조물의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계측된 변형률 데이터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The Later Prepar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the Middle'Rural Women)

  • 양순미;홍숙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141-149
    • /
    • 2002
  • In order to promote well-being during old age, it is important to start preparing early on for the later life. Based on this thesis, this study examined attitudes of the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rural towns on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as well as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from 200 individuals were analyzed using a SAS program. The overall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was quantified as about 67 points out of a 100 possible points.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level of preparedness include attitude toward using a paid nursing home ($\beta$=.23), type of agricultural work they engage in ($\beta$=-.21), who do you think is a supporter during your old age($\beta$=.20)], type of decision-making in the household ($\beta$=.17).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variables as standards of living ($\beta$=.18), family type ($\beta$=-.18), recognition of the entrance of old age ($\beta$=.17), and preparation behavior for old age ($\beta$=.15) were partially proved in three sub-areas (economical, emotional, and leisure areas) of preparation. The groundwork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attitudes toward preparation for old age.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mart Mobilit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유영준;박세은;안태준;양지호;이명규;이철희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9권4호
    • /
    • pp.97-103
    • /
    • 2022
  • Low fertility rates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further exacerbate the process of an aging society. This is also reflected in the gradual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vulnerable groups in the social population. The demand for improved mobility among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has greatly driven the growth of the electric-assisted mobility device market. However, such mobile devices generally require a certain operating capability, which limits the range of vulnerable groups who can use the device and increases the cost of learning. Therefor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needs to be introduced to make mobility easier for a wider range of vulnerable groups to meet their needs of work and leisure in different environments. This study uses mini PC Odyssey, Velodyne Lidar VLP-16, electronic device and Linux-based ROS program to realize the functions of working environment recognition, simultaneous localization, map generation and navigation of electric powered mobile devices for vulnerable groups. This autonomous driving mobility device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to the vulnerable who lack the immediate response in dangerous situations.

The Effe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on Body Attractiveness Recognition and Desire for Exercise

  • Jongsang Yoo;Sunm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82-9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on their perception of body attractiveness and their desire for exerci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in 2022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390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A total of 300 participants, 170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and 130 non-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excluding 90 copies of double entry and insincere data. As a survey tool, the questionnaire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had already been verified in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SPSS Windows 20.0 Version,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physical evalu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exercise desi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physical evaluation was found to partially affect exercise desire.

A Research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Display-based Light Gun Systems

  • Byong-Kw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85-91
    • /
    • 2024
  • 본 논문은 레저스포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총기를 활용한 활동이 늘어나고 있으며, 군대에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사격 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렴한 비용을 실외에서 훈련할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했다. 이러한 고비용의 훈련을 저렴하게 대체하기 위해 가상 현실을 활용한 사이버 스크린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스크린 사격 훈련 시스템의 문제점인 어두운 공간과 높은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전면에 IR 리시버를 부착하고 IR 건을 활용하여 훈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성과 효율성을 확인했다. 또한, 영점 조절 기능을 추가하여 더 정확한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낮은 비용으로도 사이버 라이트 건 시스템을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Resi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ir Farm Village Development in a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박창규;김혜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9-436
    • /
    • 2011
  • 우리나라 농촌의 현실인 저소득 문제와 공동화 문제 등이 서로 맞물려 상승작용을 하면서 문제가 더욱 심화되어가는 악순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농촌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 부터 농어촌지역의 생활환경, 산업기반 및 편익 복지시설 등을 정비 확충하기 위해 정주권 개발과 문화마을조성사업, 신활력사업,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등을 추진되고 있다. 기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지표, 문제점 및 개선사항, 투자우선순위 등의 연구가 시행되어졌지만, 실제적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지역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농촌지역 관광개발이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변화가 지역주민의 개발 태도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중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농촌지역 개발에 따른 영향지각이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단계, 계획수립단계에서부터 실행단계까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을 위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관광과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인식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테마가 농촌관광개발의 경우에는 관광에 대한 지역주민 교육 및 인식이 명확하게 제고되어야 사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업추진을 통한 경제적 수익 등의 경제적 영향, 기반시설 및 복지시설 확충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느낄 수 있는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부각시키고, 부정적 인식과 태도에 대해서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을 높여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여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워라밸의 인문학적 성찰 (Humanistic Study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 조용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21-138
    • /
    • 2019
  • '워라밸'이란 'Work-Life Balance'의 줄임말로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한다. 이는 요즘 세태를 반영하는 용어로서 행복한 삶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 즉, '워라밸' 현대사회의 문제를 반영한 라이프 스타일의 개념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은 현대사회의 경제적 경기불황, 높아진 청년실업, 고령화 문제, 저출산에 따른 노동 생산성 저하 등이 반영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워라밸이 등장하였다. 이에 워라밸의 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적인 입장과 개인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적 입장에서는 문화산업 육성 차원의 사회 정책적인 입장이 반영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에서 개인의 입장에서는 지금 이 시대에 맞는 일과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이러한 입장에 있어서 노동과 여가의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노동과 여가의 관계를 통해서 이 둘이 대립적인 관계가 아닌 상생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워라밸의 문화가 성장하고 발전하는데 중요한 핵심이기도 하다. 과거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일(노동)에 대한 인식은 이제 생존을 넘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실존적 삶의 의미를 부여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는 과도한 대량생산체제와 성공에 대한 부담이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져 내려오면서 진정한 노동의 가치를 퇴색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과정에 인간은 소외되기에 이르렀고,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으며 나아가 삶의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