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Activities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27초

마산로봇랜드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for Masan Robot Land)

  • 윤성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15-125
    • /
    • 2010
  • 테마파크는 단순히 여가활동을 위한 오락적 공간이 아닌, 주제라는 관념적 울타리를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를 담아내는 곳이다. 그 이야기는 방문자가 얻고, 채우고, 남기고 싶어 하는 '의미를 전하는 공간'으로 로봇랜드는 로봇과 인간 그리고 자연을 담아내고 있다. 본 연구는 민간사업자 선정을 위한 마산로봇랜드 설계공모에서 차순위협상대상자로 당선된 작품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서술한 것이다. 계획의 주안점은 첫째, 테마파크의 성공여부인 재방문력을 위한 각 공간들의 구성력과 테마의 전달력에 있으며, 둘째, 기계산업의 핵심적 허브이자 아름다운 해안자원을 지니고 있는 마산의 잠재력을 적극으로 이용함에 있다. 먼저, 로봇, 인간, 자연의 요소별 특성을 융합할 수 있는 신진대사의 선형을 모티브로 이용하여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이용자의 욕구와 형태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하였다. 식재계획은 컬러로 규정된 상징적 의미를 이용하여 진입광장, 기존 산림지, 경사지, 휴양지, 단지 내부, 에코아일랜드 등에 각 공간적 특성에 맞추어 도입하였다. 또한 로봇의 전시 및 교육, 숙박자를 위한 휴양 시설, 다양한 놀이 및 상업시설, 유토피아형 가든의 공간을 테마로 대상지의 용도 및 성격에 맞게 조닝을 설정하여 세부공간을 모색하였으며, 마산로봇랜드가 단순히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지역적 정서를 근간으로 정신적 풍요를 만들어내는 참된 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수산고등학교(水産高等學校) 학생(學生)들의 직업결정형태(職業決定形態)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of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 박광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16-29
    • /
    • 1992
  • 1.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e the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of students, which would enhance vocational guidance activities for the student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o find how much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school. 2)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would influence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3) To find out the person who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the students 4) To find out the patterns of behavior taken by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2. Hypothese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ested for this study. 1)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school-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lass level and major. 2)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lue criterion with which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make decisions on their careers, depending on the grades, majors, and the levels of school-satisfaction. 3)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uman factors which affect their decision-making on their career, depending on the class levels, majors, and the levels of school satisfaction. 4)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behavior they take when they make decisions on their careers depending on the grades, majors and the levels of school satisfaction. 3. Methods of the stud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above hypotheses, a questio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 questionaire was answered by the total 440 students from three fisheries high schools, located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out of 8 fisheries high schools in Korea.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two major parts: school-satisfaction (10 item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s (39 items). The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include 16 value criterion items, 10 human category items, and 13 behavior category items. 4. Results of the study: 1) School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lass level and major. 2) Value criteria; a) Almost of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think that the potential for advancement, job security, and salary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ir job. b) The seafarer-students rated the salary, prestige of the occupation and leadership to be important than the nonseafarer-students. The nonseafarer-students rated the stabilization of their livelihood and opportunity to use their creative ideas than the seafarer-students. c) The students unsatisfied with their school emphasize the working environment, variety of work duties and leisure more than the satisfied ones. 3) Human factors: a) The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are affected most by their homeroom teachers, major teachers and their parents, but they are less influenced by their counselor. b) The seniors are more affected by their friends or classmates than the freshmen, and especially seafarer-students are more affected by major teachers. c) The persons, who are working in the occupation they are interested in, exert more influence on unsatisfied students than class-teachers do. 4) Behavior patterns; a) Most of them want test their abilities. b) The nonseafarer-students and seniors tend to depend on their own intuitions. c) The seafarer-students, the freshmen, and th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tend to discuss with other persons, and the unsatisfied tend to be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that they collect for themselves.

  • PDF

장애·비장애인 통합 환경으로서의 통합공원 조성을 위한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Analysis of Design Guidelines for Inclusive Parks as an Inclusive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 남현경;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9-100
    • /
    • 2017
  • 1960년대 이후 장애인의 탈시설화가 진행되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생활하는 통합의 개념이 점차 발달하였고 장애 관련 다양한 복지 제도가 개선되어 왔으나, 장애인이 문화와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권리는 아직 충분히 보장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장애 비장애인의 통합 환경으로서의 통합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지침 마련을 위해, 기존의 장애인 관련 시설 가이드라인, 즉 접근성, 무장애, 유니버설 디자인 등을 주제로 하는 국내외 10가지 가이드라인을 이용자 측면과 계획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용자 측면에서는 비장애인과의 공동 이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신체적 장애를 가진 성인에 편중되었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또한 계획 측면에서는 조성 절차에 관련 내용이 미비하고, 배치 및 공간구성, 시설물 및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접근권 및 이동권에 관한 내용 중심의 가이드라인만 제시되고 있어, 현재의 장애인시설 관련 가이드라인은 통합공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통합공원의 개념과 목표를 정립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함께 고려하는 균형된 관점에서 갈등 요소를 극복하고, 현실적인 통합공원 조성에 필요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휘트니스 센터 시설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The Present Status Analysis of Interior Planning in a Fitness Center Inside an Apartment Complex)

  • 조영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7-94
    • /
    • 2005
  • Lately due to the sudden growth of the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in domestic market, many construction companies are eager to provide various public facilities to increase the apartment distribution rate. An introduction of a fitness center is popularized as a part of such development. There has been a continuing development in a private fitness based on analyzing the user's data. However a public fitnes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ivate in terms of a user's classification, preference rate, the pattern of use, and location which requires a different facility plan. Nevertheless, all these days a public fitness in an apartment house has been developed without a specific facility plan based on relevant materials. It is worried that such development would cause the facilities not to function as appropriate resident facilities and sink to idle on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standard considered in facility planning in future and the base to guide an applying method. In the paper the present condition of fitness centers inside apartment houses has been compared to analyze the progress of the existing faciliti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 divis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public resident facilities is not the place to perform passive role for fixed activities but one to form a community through the human relationship based on the facility. Therefore a fitness center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have to be designed to provide service and leisure space as one of main community facilities for residents. To obtain this purpose, when choosing facilities of an apartment complex, first of all the residents' standard of living, apartment size, residents' distinction rate of age and sex, the needs of the times should be fully considered Secondly, the size of each facility space have to be decided based on the practical data analysis in facility use such as space preference, average staying time. Also, future living culture requires the change of the function and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values, so continuing research and data analysis are required to related to fitness center inside an apartment complex in order to present systematic approaching method and the paper will be expected to be a little step toward it.

사무직 근로자와 육체 노동자의 요통특성에 관한 비교 고찰 (Comparative Study of Low Back Pain between White Collar Workers and Blue Collar Workers)

  • 박지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권1호
    • /
    • pp.123-149
    • /
    • 1991
  •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to be helpful for the back rehabilization of Korean workers by analyzing the general, occupational, social aspects of low back pain and to identify possible risk factors for back pain i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380 workers in Seoul city by means of a Questionnaire with random which was distributed from March 10 to 31, 1990. For the tes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back pain characteristics between abov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low back pain in all walkers studied was $79.7\%$. The incidence of Blue collar with low back pain $(87.2\%)$ was higher than that of White collars $(75.0\%)$. 2.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back pain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workers with and without back pain concerning the job factors on work-time, job satisfaction, mental stress, chair fittness, work posture, work rotation, weight lifting, monotonous repetitive movements, vibration, and heavy noise (p<0.05). 3.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back pain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respect to having car, personality types, drinking habits, and leisure-time activitie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between no pain and pain groups for the using bed, sleeping posture, traffic time amount, walking health state, smoking habits, and physical exercise (p<0.05). 4.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ack pain related to work factor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mental stress, chair fittness, work posture, trunk rotation, weight lifting, monotonous repetitive work in White collar group (p<0.01) ; and job satisfaction, mental stress, trunk rotation, weight lifting, monotonus repetitive work, exposure to vibration and heavy noise in Blue collar group(p<0.01). 5.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factors in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using bed, sleeping posture, walking amount, health state, physical exercise, smoking habits in White cellar group (p<0.05) ; and walking amount, traffic time amount, health state, smoking habits, physical exercise in Blue cellar group (p<0.05). 6. In regard to the general aspects of back pain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concerning etiolgy of back pain, counselling partners, treatment types, and sick-leaves(p<0.05), except pain duration, and awareness of back pain.

  • PDF

복지관 방문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in Senior Welfare Center)

  • 안미향;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44-3551
    • /
    • 2012
  • 한국사회의 급속한 노령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서적 측면의 우울 또한 노년기의 중요한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일개의 복지관 방문노인 12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대일 면접방식을 통하여 한국판 WHOQOL-BREF과 Beck Depression Inventory을 사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62명, 여자 65명이었고, 삶의 질은 평균 85.82(${\pm}16.35$)점이었으며 우울 정도는 평균 9.45(${\pm}8.02$)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경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 정도는 성별,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비마련, 생활경제력, 여가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과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참여 프로그램의 활성화, 노인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중학생을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ou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on North Korean Family Living Culture)

  • 이하나;김유경;송지은;안순희;이연숙;이예영;이윤정;임정하;정민영;정순화;한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5-124
    • /
    • 2017
  • 본 연구는 통일 한국에 대비하여 통일 후 대한민국의 주축으로 성장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통일교육과 가정생활문화에 해당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교육은 2015년 12월 사이에 서울시내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교육 내용은 가정교과의 세부 내용학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밀접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및 대인관계, 소비생활 및 여가 등의 주제로 12차시 분량으로 준비되었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소비생활, 여가생활, 아동 가족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구술 응답에서도 프로그램의 내용이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 하였으며 학기 중에도 이와 같은 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될 것을 희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남한의 청소년들에게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통일한국을 대비 하도록 하는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a 300W Generator for Lightweight Wind Turbine

  • Lee, Hee-Kune;Lee, Hee-Joon;Kim, Sun-Hyung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81-188
    • /
    • 2017
  • 레저 활동 인구의 증가와 다양화로 이동용 전력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많고 친환경적인 전력 발전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충족 시킬만한 발전 장비로 소형 풍력 발전시스템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동용 소형 풍력발전기를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는 발전기의 무게를 줄이고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300W급 풍력 발전기의 무게는 10kg정도로 이를 4kg이하로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게 하면서 고 효율의 풍력 발전기용 발전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돌풍이 발생하는 한국의 풍량과 지형의 특성상 미풍에서도 발전이 가능하고 도심 및 농어촌 등에서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풍력발전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기초설계 및 최적화설계를 통해 가볍고 효율이 높은 발전기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량을 줄인 300W급 풍력발전기를 설계하고 시제품으로 제작 하였다. 제작한 300W 풍력발전기는 무부하 시험 시 정격속도 900rpm에서 평균출력전압이 24.7V이었으며, 제작된 발전기의 부하시험시 평균 선간전압 : 36.8V, 평균 상전류 : 2.62A로 기계적 입력이 339.84W일 때 출력전력은 289.5W로 측정되었고 이때의 효율은 85.18%이었다. 제작된 발전기 무게는 3.84kg이었다.

노인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포시 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cision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Focus on Gimpo City)

  • 원일;김근홍;김성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51-364
    • /
    • 2018
  • 본 연구는 김포시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 이용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노인복지관이 종합서비스 제공기관으로 국가정책 차원에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천 현장에서 과연 노인들에게 고유의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느냐 하는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거주 노인들의 경우 평소 여가활용 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난 10년간 전국의 노인복지관 관련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노인복지관 역할과 위상이 동일하게 여겨지고 있는가하는 점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도농형 도시 김포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36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앤더슨 모형의 선행요인과 가능요인, 욕구요인간의 영향과 관계를 검증하고자 로짓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로짓분석에서는 앤더슨 모형에서 제시한 대부분의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선행요인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이, 가능요인에서는 월평균소득이, 욕구요인에서는 노후를 위한 경제자금준비와 경제활동준비가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요인간 상호작용을 감안한 의사결정나무분석 시행 결과, 선행요인 중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노인복지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욕구요인 중 건강증진 준비수준이 낮은 경우 노인복지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게 예측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복지관의 종합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한국과 일본 고속철도역 주변 집적 공간구조에 대한 관측 연구 (A Spatial Structure of Agglomeration Pattern Near High-Speed Rail Station of Korea and Japan)

  • 김경택;김정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25
    • /
    • 2018
  • 고속철도(HSR)의 운영은 집적이익에 영향을 미치며, 개별 경제활동들은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곳으로 이전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고속철도역과의 인접성은 고속철도 네트워크를 통한 이익 극대화를 영위할 수 있는 핵심구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한 한국과 일본의 서비스 산업 핫스팟 분석을 통해 고속철도역 주변에 대한 집적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집계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일정 규모 이상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고속철도역이 입지하고 있는 한국 8개, 일본 큐슈신칸센 4개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구포역과 카고시마츄오역 등 2개 역을 제외한 나머지 10개 역들 반경 1km 이내에서 서비스산업의 집적이 관측되었다. 여가, 레저, 협회 및 특정 전문 서비스산업들의 경우 고속철도승객을 통한 관광객 유입 혹은 지식교류 등의 효과를 영위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고려했을 때, 역 주변에 대한 핫스팟의 도출은 역 접근성과의 관련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를 정책적으로 보았을 때, 향후 역 주변 개발에 있어서 서비스 산업과 관련 산업들의 사회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 또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