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al protected specie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42초

국내 기각류 서식 현황 연구 (A Review on the Status of Pinnipeds in Korea)

  • 김현우;이슬희;손호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31-239
    • /
    • 2021
  • There are six species of pinnipeds in Korean waters. Because of the lack of research on pinnipeds, it has been difficult to obtain ecological information on each species. All six species have been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marine protected species, or national monuments by the government, depending on historical records.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innipeds in Korea was investigated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sighting and bycatch records,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new information for the review of the six species. Spotted seals and northern fur seals are well known inhabitants of Korea.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is thought to be the margin of the distribution of Steller sea lions. Sightings of ribbon seals and ringed seals were not confirmed in Korean waters. Sea lions have not been seen since their last sighting on Dokdo in 1951 and are thought to have become extinct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delist undistributed or extinct species in Korea from the marine protected species list.

야생동·식물보호구역 분포 특성과 개선과제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for Wildlife Protection Areas in South Korea)

  • 이관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85-695
    • /
    • 2011
  • Through the analyses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actices of the wildlife protection area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1) Based on the aggregate results of the protected areas, the average ratio of the metro-city and provincial areas to the designated protected areas was 1.49%; except for Chungcheongbuk-do (8.83%) and Gyeongsangnam-do (3.43%), most regions showed specified percentages of about 1%, whereby th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designated protected areas were too small. 2)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86.16%) of the wildlife protection areas are in the regions that are of ecological nature level of grade 1, green nature level of grade 8 or better, and of legal conservation regions and districts, it was shown that these reserves are distributed in regions with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3)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for the protection of wildlife and fish is deemed to be necessary. Although there are 588 wildlife & plant reserves, there are absolutely no designated areas for protecting plant and fish species. 4) Based o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current distribution by types, 92.47% of protected areas were concentrated in the mountains, 0.24% in the agricultural lands, and 7.29% distributed in the lakes/rivers/costal areas. 5) As major improvement projects, proposed were: advancement of management systems for protected areas, expanded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overhaul of managed areas,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for the protection of wild plants and fish, need for management measures for private property and the surrounding areas, need to secure appropriate management personnel and collaboration, locally-adapted management, eco-information-based management, total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etc.

백두대간 지리산-덕유산 구간의 조류상에 관한 문헌연구 (Birds in the Baekdudaegan from Jirisan to Deokyusan : A Review)

  • 이두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87-497
    • /
    • 2003
  • 문헌조사 결과 백두대간 남부지역 지리산-덕유산 구간에서는 지금까지 총 15목 45과 136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132종, 함양 지역에서 63종, 장수지역에서 46종, 덕유산국립공원에서 69종이 기록되었다. 이들은 텃새 42종(30.9%). 여름철새 40종(29.4%), 겨울철새 31종(22.8%), 나그네새 23종(16.9%)으로 구성되었다. 법적 보호조류는 환경부 보호종 15종, 천연기념물은 14종으로 총 23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붉은배새매, 새매, 황조롱이 등 3종만이 비교적 널리 분포하고 나머지 원앙 벌매, 참매, 조롱이, 털발말똥가리,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쇠황조롱이 재두루미, 수리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솔부엉이 올빼미, 가막딱다구리, 아물쇠딱다구리, 팔색조, 뿔종다리, 삼광조 등 20종은 모두 분포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보호증식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멸종위기종 보호법에 대한 검토와 개선책 (A Review of China's Endangered Species Protection Act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박은옥;최상덕;전홍일;서연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118
    • /
    • 2018
  •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에 대한 중요성과 보호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멸종위기종에 대한 법률과 관련된 제도를 분석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효율적인 보호를 위해 중국의 현행 야생동물 보호 법률에 대하여 요구되는 몇가지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야생동물 보호법>이 1988년에 공포되고 시행된 이래 관리소홀로 인하여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중국의 야생동물 보호법은 단조롭고 체계적이지 못해, 전근대적으로 현 시대의 수요에 부합하지 않기에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입법취지와 감독체제, 보호범위 및 공중 참여제도, 입법 보호 체계의 혼란, 행정 보상제도의 미비와 실행의 난항, 법률 효율 저하, 내용의 공허성과 운용성의 부족, 생물 종 보호 명부가 법률 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점을 중국의 현 실정에 적합한 법률체계로 확립하기 위해 멸종위기종 보호 법률 법규의 체계상 혼란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한다.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leung Island (I) -Flora-)

  • 신현탁;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5-216
    • /
    • 2002
  • 울릉도의 식물상은 총 109과 355속 526종 2아종 89변종 10품종 총 627종류(Taxa)로 파악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울릉도 식물상은 총 122과 465속 762종 5아종 178변종 21품종 9교잡종 총 975종류로 정리되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반도, 울릉도 및 일본열도 간 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울릉도의 식물은 한반도와 더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을 포함하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는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의 증가로 귀화식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외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의 특정 생태계나 특산식물을 포함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보전하기 위하여 생태계 보전지역 이상의 수준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점차 파괴되어 가는 울릉도의 자연생태계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경춘선 숲길의 조류 서식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ird Habitat Environment in Gyeongchun Line Forest Road)

  • 김미후;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67-1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f Linear Park. To this end, after grasping the status of bird habitats on the Gyeongchun Line Forest Road, a representative linear park in Seoul, the habitat environment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ird habitat was analyz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the habitat environment. The results for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of birds and habitat environment were as follow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the order of positive correlation was in the order of park area (0.92), number of insect species (0.87), green area ratio (0.77), average width of linear park (0.74), Biotope area ratio (0.73), Immigration planted species (0.57). Also, for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the bird diversity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area outside the park (0.88), green area ratio of the park (0.76).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diversity of birds found in the park,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needs to expand the park area, secure insect diversity, enhance green area ratio and ecological area ratio, expand the width of linear park, and lower the impermeable layer. For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wider area, green area ratio, and forest area of the park influenced on better bird habitation while lower ratio of road space and building-to-land ratio influenced on higher bir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habitable for various species of birds and to make a healthy and pleasant city urban system for co-existence of human and living creatures.

북한의 자연환경 보전 법제 및 보호지역 현황 고찰 (A Review on the Legal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rotected Areas Status in DPRK)

  • 허학영;유병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1-91
    • /
    • 2021
  • 북한의 정권 수립 초기인 1970년대 초까지는 자연환경과 관련된 직접적인 법제가 마련되지 못하였고, 1977년 토지법 제정을 통해 토지보호, 보호구역, 산림조성 및 보호 등 자연환경 보호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북한 환경법제의 발전 단계는 환경보호법 제정(1986년)과 함께 그 근간을 갖추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 헌법 개정(1992년)을 통해 "국가의 책무로서 자연환경의 보존·조성"을 규정하였고, 그 이후 "환경보호법"을 기본법으로 다양한 분야의 하위법령을 제정하여 분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지역의 경우 초기에는 위원회 결정 등으로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다가, "환경보호법"을 통해 다양한 법정 보호지역 지정 근거를 마련한 후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1995)", "자연보호구법(2009)" 등으로 관련법들이 세분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자연보호구의 유형으로는 생물권보호구, 원시림보호구, 동물보호구, 식물보호구, 명승지보호구 등이 있다. 국제적으로 알려진 북한의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협약 "제2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행동계획(2007년)"에서 326개소가 있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2018년 보호지역 UN-list에는 31개소만 등록되어 있어 북한의 보호지역 기초정보 구축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북한의 자연 보전체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대북제재(UN 안보리, 미국) 상황 속에서 멸종위기생물 보호와 환경오염회복 등 환경보호활동 등이 제재 예외 대상인 것을 감안한다면 자연환경 분야에서 실현 가능한 남북협력 사업 발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월평공원 생태 보존지역의 어류군집 구조 및 어류길드 특성 분석 (Analysis of Fish Community Structures and Guild Compositions in Walpyung Conservation Park)

  • 조현규;최지웅;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263-2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월평공원 주변의 수생태계 보존을 위해 공원지역을 포함한 갑천의 3개 지점을 선정하여 2010~2011년 동안 총 5회에 걸쳐 어류상, 군집분석 및 길드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31종 2,667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전체 어종 중 주요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46.6% 및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8.7%로서 이 두 종은 전체의 50%를 상회하였다. 한국 고유종으로는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를 포함하여 총 10종이고 개체수 상대풍부도는 8.7%로 나타났다. 또한 법정보호종으로는 천연기념물 454호인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1종 3개체가 채집되었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species richness index)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중류구간($M_r$)에서 3.145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구간($U_r$)에서 2.18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 다양도 지수 (species diversity index)는 상류구간($U_r$) 1.785, 중류구간 ($M_r$) 1.975, 하류구간 ($D_r$) 1.660으로 나타나 중 하류 구간에서 유입되는 대전 도심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 의한 영향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어류의 내성도 길드 (Tolerance guild) 분석에 따르면, 내성종이 전체 중 64.2%를 차지하였고, 반면, 민감종은 3.3%로 나타나 단연 내성종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섭식 길드 (Trophic guild) 분석 측면에서는 잡식종 (Omnivore species)은 64.0%, 충식종 (Insectivore species)은 29.3%의 구성비를 보여 잡식종 우점현상이 뚜렷했다. 대도심 공원에 다양한 한국 고유종 및 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향후 공원이 서식지 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치정보 기반 멸종위기종 서식지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an Endangered Species Habitat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 김선집;김상협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7-73
    • /
    • 2020
  • 국내 멸종위기 양서류의 연구현황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종의 생활사(Life-Cycle) 및 분포현황을 주로 연구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서식지 보전, 복원 등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한 생물종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는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가 있으나 표본을 채집한 지역만을 표시한 것으로 멸종위기종에 대한 정보 및 일반 생물종의 정보 또한 매우 빈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위치정보 DB를 확보하였고 IT 기술 중 신기술과 IT의 비전공자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오픈 기반 플랫폼기술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시스템은 관리자 기능과 사용자 기능으로 나뉘어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통한 인증 절차를 통해 무분별한 정보 공유를 방지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위치 권한을 받아 현 위치와 맹꽁이 위치의 거리를 나타나게 하였으며,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생태특성을 고려하여, 위치 기준 반경 500m를 표시하여 서식범위를 알 수 있게 하였다. 구축한 시스템은 법률제도에 접목하여 기존 보호지역 등의 변경, 신규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개발계획 수립 시 자연환경의 검토에 활용하여 실요성 있는 저감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구축된 시스템은 입력되는 정보를 수정하면 매우 다양한 멸종위기종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