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outcome measuremen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주요 고등교육 학습성과 분석 도구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 K대학 사례 연구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Learning Outcome in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opular Tools: A Case of University K)

  • 김태형;장은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9-141
    • /
    • 2024
  • 최근 고등교육 정책이 학생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의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대학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대학의 학습성과 지표를 국내외 주요 학습성과 지표와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들의 학습성과 관리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비교·분석을 위해 AHELO, NSSE, CLA+ 등 주요 학습성과 측정 도구의 세부 측정문항을 조사하였다. K대 주요 학습성과 지표와 타 학습성과 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지표는 중복되고 있으나, 학습을 위한 학생 지원/시설, 교수자의 질, 커뮤니케이션 등 일부 지표는 K대에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표를 기존 학습성과 지표에 추가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조사를 통해 이를 확인할 것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같은 지표라도 측정 방식이 다른 지표들 중 일부는 측정 방식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순위 정렬 선다형 평가 문항을 적용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물의 순환에 대한 학습 발달 과정 (A Learning Progression for Water Cycle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with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 성연선;맹승호;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2호
    • /
    • pp.139-15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tudents' (grade 4~6) learning progressions for water cycling drawn from iterative assessments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OMC) items. An assessment system, which consisted of construct map, item design, outcome space, and measurement model, was employed in this study to examine children's learning progressions. At the first stage of the assessment system, a construct map was designed on which children's conceptual understandings from naive to most sophisticated were represented. At the item design stage, 8 OMC items were drawn from the construct map. Each item option of the OMC items was scored from 0 to 3 according to its level of understanding at the stage of outcome space. As a measurement model, Rasch model, a branch of item response theory, was applied to interpreting the outcomes of the OMC items. This cycle of assessment system was furtherly implemented iteratively in order to elaborate on the first version of water cycling learning progression. In conclusi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water cycling could be described in two aspects: water distribution and water movement. We identified children's conjectural developmental pathways about water cycling existed from superficial and naive accounts to more complex and abstract accounts.

다면적 평가를 통한 교육성과 평가도구 개발 및 분석연구 (Practical Measurement on Education Outcome Through Multi-Evaluations)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98-102
    • /
    • 2012
  • This paper diagnose subjects and measures th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based on the goal of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 productivity based on multi-aspect evaluation conducted by ICEE at Honam University. Furthermore,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 productivity that provides a motive to bring detailed improvements in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diagnosis. In addition, a method for compensating the issu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ubject is suggested to develop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through applying the assessment tool. An integrated operated system of CQI is desired to be built along with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 through measuring academic quality by studying the methods for enhancing academic and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from analysis of the curriculum provided in the "ABEEK program".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productivity is presented through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BEEK program" and who did not participate, and operating a comparison betwee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n their majors and liberal arts by the multi-aspect evaluation that has been conducted for 2 years.

학습, 혁신역량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Outcome)

  • 김귀원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80-420
    • /
    • 2014
  • 오늘날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조직구성원의 전문역량, 즉 혁신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조직원 개인의 혁신역량에 대해 혁신산출물을 만들기 위한 투입요소, 혁신 활동(혁신역량보유, 발휘, 증진노력 등) 그리고 혁신산출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편이다. 이런 원인은 기존 혁신연구단위가 국가단위, 산업단위, 기업단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며, 상대적으로 특정기업의 투입, 산출 및 혁신활동 자체에 대한 분석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기존 혁신연구의 틀과 시각에서 벗어나, 특정조직중심의 개인별 혁신성과와 그 성과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혁신활동들에 대한 네 가지 가설, 즉 첫째는 역량의 차이에 따라 혁신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시간의 차이에 따라 역량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시간의 차이에 따라 혁신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습시간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는 혁신역량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구조모형 검정)는 문제에 대해 정량분석을 시도하여, 조직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지속경력학습의 선행 및 결과변인과 매개효과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 an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Related Career Learning)

  • 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64-578
    • /
    • 2015
  •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 선행변인(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과 결과변인(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과관계 규명과 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경력학습 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울산지역 자동차 및 제주지역 공기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동일방법편의 대안으로 측정환경 분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직무적합성과 인적자본투자가 지속경력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지속경력학습인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하는 주요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지속경력학습은 개인-직무적합성 및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무 및 조직차원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선행변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속 경력학습의 매개효과 규명을 통해 개인의 경력개선 과정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Developing a Social Presence Scale for Measuring Students' Involvement during e-Learning Process

  • KANG, Myunghee;CHOI, Hyungsh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9권2호
    • /
    • pp.1-15
    • /
    • 2008
  • One of the challenges that online learners face is feeling of isolation and diminishing desire of maintaining active participation during e-learning. Social presence, that is considered to be a vital factor in e-learning, is recently started to receive a support from the field. Although research indicated a significant role of social presence in both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 there is no widely accepted measurement scale of social presence. This study, therefore, developed a new scale to measure social presence based on the existing theories and validated it against 723 participants. Nineteen self-report items with three dimensions, co-presence, influence, and cohesiveness, were identified and valida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in a preliminary and a follow-up study.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실습이 간호학생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Students)

  • 허혜경;최향옥;정지수;강혜원;김기연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2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arning outcome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in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ith 28 nursing students was used. Simulation-based practice on the basis of SimMan Human Patient Simulator including academic lectures, simulation lab exercises and debriefing was applied for four and half hours. The learning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of cognitive skills, self-confidence and learning attitudes of affective domain. Furthermore, self report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psychomotor skills was examined. Results: After the completion of simulation-based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of following measured variables: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of cognitive skills, self-confidence, learning attitudes of affective domai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psychomotor skill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learning outcome measurement variables. Conclusion: Simulation-based practice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cognitive skills,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skills of nursing students. Hence, Simulation-based practice should be applied for improving current limited emergency care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enhancing students' competency in clinical situations.

  • PDF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 고찰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 임경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6-256
    • /
    • 2011
  • Purpose: With the decrease in available clinical sites, a decrease in adequately prepared clinical faculty, and demand to prepare health care students to begin work, we need alternative methods to teach clinical skill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use of simulation as an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replicate clinical practices is becoming popular in nur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was undertaken using Medline, KERIS, and KISS. The primary search terms were simulation and nursing. Reference lists from relevant papers and the websites of relevant nursing organizations were also searched. Nine studies met inclusion criteria and were analyzed in detail. Results: All studies reported simulation as a valid teaching/learning strategy. Six of the studies (66.7%) showed that simulation technology was a practical and successful model to use in teaching a variety of clinical skills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Conclusion: Simulation may have some advantages over other teac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scenario, context, topic, and method.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eam size on learning and to develop a universal method of outcome measurement.

학습 발달과정 탐색을 통한 계절의 변화 교육과정 및 교수 계열 제안 (A Proposal of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 허재완;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0-274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학습 발달과정을 탐색을 통해 계절의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수 계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습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Wilson (2005)이 제안한 '구인 모델링 방식'의 4가지 단계(구인특화, 평가 문항 개발, 평가 결과 기술, 측정 모델)를 적용하였다. 구인특화 단계에서는 계절의 변화의 하부 구인으로 '계절에 따른 그림자의 길이',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위치',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일주운동', '계절의 원인과 현상'을 설정하였으며,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부 구인의 하위 정착점인 수준 1에서 상위 정착점인 수준 4까지를 나타낸 구인구성도를 작성하였다. 평가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구인구성도를 토대로 C-E (choose and explain) 형태의 문항 3개, CR (constructed response) 형태의 문항 2개로 구성된 총 5개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 중, 고등학교 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기술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 응답 결과를 구인구성도를 토대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범주들을 학생 능력에 따라 4수준으로 분류하고 1-4점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측정 모델 단계에서는 Rasch 모델의 부분점수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작성한 학습 발달의 경로가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한 구인구성도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구인구성도를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계절의 변화에 대한 가설적인 학습 발달과정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에 대한 교육 과정 개정 방향과 효과적인 교수 계열을 제안하였다.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Study on Validity of SDLRS Instrument for Evaluation of Life-Long Outcome)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64-75
    • /
    • 2008
  • 본 연구는 평생학습 능력의 중심 개념인 자기주도학습의 측정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여,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항목 중 평생학습 능력의 평가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즉,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공과대학 학생들의 개인 변인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평생학습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Gugliemino(1977)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의 기계공학 전공 학생들 21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검사도구는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t검증, ANOVA에 의한 F검증 등의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58개의 원검사 도구는 7차례에 걸친 요인분석 결과 23개 문항으로 압축되었다. 또한 학습에 대한 사랑, 학습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기본학습기능과 독립성,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 주도성과 미래지향성, 독창성과 탐구적 특성의 7개 요인으로 재구조화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약 58%를 설명하였으며 Cronbach $\alpha$값은 .8332이었다. 개인적 배경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분석 결과 학년, 산업체 근무기간, 대학원 진학계획, 학점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산업체 근무여부, 부모의 학력,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에는 보다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검사도구의 적용을 통해 검사도구간의 상관관계 및 평생학습에 영향을 주는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후속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평생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