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1초

전이학습과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다중 패션 스타일 인식 (Recognition of Multi Label Fashion Styles based on Transfer Learning and Graph Convolution Network)

  • 김성훈;최예림;박종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41
    • /
    • 2021
  • 최근 패션업계에서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딥러닝 방법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패션 관련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들이 제안되었고,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였다. 하지만 패션 스타일 분류 문제의 경우, 기존 연구들은 한 옷차림이 여러 스타일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는 패션 스타일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시에 존재하는 레이블 간의 종속성을 모델링하고, 이를 반영하여 패션 스타일의 다중 분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패션 스타일 사이의 종속성을 포착하고 탐색하기 위해 GCN(graph convolution network) 기반의 다중 레이블 인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또한 전이학습을 통해 모델의 학습 속도 및 성능을 향상시켰다. 제안하는 모델은 웹 크롤링을 통해 수집한 SNS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비교 모델 대비 우수한 성능을 기록하였다.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 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s Using Analogies in Learning the Concept of Saturated Solution by Analogy Presentation Types and Verbal Learning Styles)

  • 강훈식;서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02-41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포화 용액 개념 학습에서 비유 표현방식과 언어적 학습 양식에 따른 비유 사용 수업의 효과를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수업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1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3명을 선정하여 VA 집단(n=63)과 VPA 집단(n=60)으로 배치했다. 사전 검사로 언어적 학습 양식 검사를 실시했다. VA 집단의 학생들은 글로만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고, VPA 집단의 학생들은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로 목표 개념을 학습했다. 목표 개념 학습 후,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VPA 집단 학생들에게는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도 실시했으며,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언어적 학습 선호 학생들의 경우 VPA 집단의 점수가 VA 집단의 점수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반면, 언어적 학습 비선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응 불이행, 부적절한 대응, 무분별한 대응, 불가능한 대응, 표면적 속성 대응의 다섯 가지 대응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언어적 학습양식에 따라 두 집단의 대응 오류 유형별 발생 빈도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언어적 학습 양식에 관계없이 VPA 집단의 많은 학생들이 글과 그림으로 표현된 비유를 통해 학습하는 것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나, 일부 학생들은 몇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했다.

영어교육에서의 좌-우뇌 통합 교수법 (The whole-brained English teaching)

  • 권나영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103-122
    • /
    • 1999
  •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in teaching L2, it is important to take a holistic teaching method considering various learning styles of the learners and the nature of L2 learning. Under the situation that most of the school education is centered on the left brain activity, learners with the right brain preference tend to get only to the lower proficiency than they really can. To prove this, I conducted a experiment on two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I decided the hemispheric preference of each students using HMI (hemispheric mode indicator) Then I compared the hemispheric preferences of students with their scores in English tests. The students with right hemispheric preference show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ones with left preference. It is implied that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hould adapted to address various learning and cognitive styles and whole-brain L2 teaching method should replace the left-centered instruc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Balanced and Dominant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by Learning Factors of College Students

  • Kim, Ji Sim;Kim, Kyong Ah;Park, Mi Soon;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과 관련된 요인인 전공계열, 성취도, 학년에 따라 학습양식 및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학습양식에 따라서도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우세한 학습양식 중심으로 차이를 분석했던 선행연구들과 달리, 학습양식을 균형적, 우세한 학습양식으로 세분화하였다. M전문대학의 17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요인에 따른 학습양식과 학습전략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활용수준에서는 정보입력 차원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인지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처리 양식에 따라서는 모든 전략 활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적 학습자는 인지전략 활용수준이 높았고, 시각적 학습자는 외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았으며, 정보를 이해할 때 균형적 학습자는 내적전략 활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양식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학습전략 활용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스크래치 언어 활용 교육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n Scratch-base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한선관;한희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1-35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학습 스타일이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VARK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을 분석하고, 한 학기동안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 한 뒤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미친 영향과 여러 교수-학습 활동의 변인들과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효과성과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Visual 성향의 학습자들에게서 스크래치 활용의 성과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과정이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공과대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elf-perceived Communication Apprehension by Learning Styles of Engineering Students)

  • 김지심;최금진;이종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3-1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을 분석하고, 학습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K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과대학 1학년생 405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을 분석한 결과, 감각적 학습자는 61%, 시각적 학습자는 73.1%, 숙고하는 학습자는 80%, 총체적 학습자는 66.7%로서 우세한 비율을 차지하는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학습양식의 차이에서는 정보처리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숙고하는 학습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보지각과 정보처리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감각적 학습자가 직관적 학습자보다, 숙고하는 학습자가 적극적 학습자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불안 수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학습정서, 학습스타일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Emotion and Learning Style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munity)

  • 안효진;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83-89
    • /
    • 2021
  • 본 연구는 학습정서, 학습스타일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함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변인은 예비유아교의 학습공동체 참여역량, 예비유아교사가 학업수행할 때 경험하는 정서(긍정정서, 부정정서), 그리고, 학습스타일 (학습태도, 학습동기, 교육내용, 교수방법)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먼저 예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역량은 예비교사들의 학습스타일 중 분석적 학습태도, 학습동기, 교수방법에 있어 토론 및 토론유형을 선호하는 정도, 실험 및 실습 유형을 선호하는 정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학습정서의 하위범주인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와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회귀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습정서의 하위범주인 부정정서, 학습스타일 중 학습동기, 교수방법유형 중 실험 및 실습유형을 선호하는 정도, 분석적인 학습태도, 그리고 교육내용 중 전공학문을 지향하며 그 중요성에 가치를 두는 정도는 예비교사의 학습공동체참여역량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현장이 단순히 전공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공동체참여역량을 갖출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 (Medical Students' General Beliefs about Their Learning)

  • 박재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4권2호
    • /
    • pp.64-68
    • /
    • 2012
  • Learning in medical school is usually regarded as a very specialized type of learning compared to that of other academic disciplines. Medical students might have general beliefs about their own learning. Beliefs about learning have a critical effect on learning behavior.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affect medical students' learning behavior: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beliefs. Several studies have addressed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There are, however, few studies that have reported on medical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learning beliefs medical students have, what the causes of these beliefs are, and how medical educators teach students who have such beliefs. In this study, the five learning beliefs are assumed and we considered how these beliefs can affect students' learning behaviors. They include: 1) medical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hort time. 2) memor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understanding to survive in medical schools. 3) learning is a competition and work is independent, rather than collaborative. 4) reading textbooks is a heavy burden in medical education. 5) the mos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the lecture. These learning beliefs might be the results of various hidden curricula, shared experiences of the former and the present students as a group, and personal experience. Some learning beliefs may negatively affect students' learning.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medical students' learning beliefs are significant and indicate that students and educators can benefit from opportunities that make students' beliefs about learning more conscious.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Analysis on the Earth Science Concepts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By the Type of Thinking Styles)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08-71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사고양식 유형에 따라 두 집단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 1학년 120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총 65문학의 자기보고식 사고양식 검사와 서술형 지구과학 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학생은 입법적, 사법적, 무정부제, 전체적, 진보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새로운 과제를 선호하고 자기 자신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일반학생은 행정적, 과두제, 보수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이미 짜여진 구조나 지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 모두 Type I 사고양식의 학생들이 Type II 사고양식의 학생들 보다 지질학 분야와 천문학 분야 공통적으로 심도 있고 복합적인 개념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