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entoring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1초

멘토링이 멘토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학습 및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entoring on the Mentor's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Learning and Self-efficacy)

  • 이인홍;동학림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57-172
    • /
    • 2023
  • 최근의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존의 창업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새로운 기술과 창조적인 아이디어에 의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 멘토링(e-mentoring), 역 멘토링(reverse mentoring), 그룹 멘토링, 다중 멘토링(Multiple mentoring) 등 멘토링 관계 및 환경의 다양성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창업 현장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는 5060세대 대부분의 멘토는 그동안 자기 경험과 전문성에 기반하여, 멘티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었지만, 새로운 기술과 환경에 대한 이해도 및 경험 부족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과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해야 하며, 최신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해 나가야 한다. 또한 멘토링 관계와 환경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갖추어야 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멘토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멘토는 멘티의 성장과 발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존재임을 인식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전문성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며,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잘 정리하여 멘티에게 적극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이 멘토의 개인학습 및 자기효능감을 통해 멘토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토링의 기능 중 경력 기능과 역할 모델링은 매개변수인 개인학습 및 자기효능감과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사회적 기능은 개인학습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력 기능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역할모델링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멘토링이 직무만족도, 개인학습 및 자기효능감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멘토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개인학습과 자기효능감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멘토링에 관한 연구의 초점을 멘티에서 멘토로 옮겨 멘토링이 멘토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및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웹 기반의 e-mentoring을 지원하기 위한 독립형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dependent System for Supporting to e-mentoring on the Web Based)

  • 김진환;장상필;신소영;김지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73-75
    • /
    • 2005
  • 최근 여러 대학기관에서는 신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학업, 진로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시하고 있다[1,2,3] 그 중 멘토링(mentoring) 프로그램은 대학교육 체제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두되었다[4,5]. 하지만 대부분의 멘토링 교육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됨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발생한다. 이 점을 해결하고자 e-mentoring이 제안되었다[6,7]. 그러나 기존의 e-mentoring에서는 멘토 와 멘티 와의 능동적인 의견 수렴에는 효과적이나 멘토링에서 요구되는 강좌의 지원 어렵다. 대안으로 LMS(Learning Management Solution)를 이용한 강좌 지원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학습관리 및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LMS와 멘토링교육은 그 성격부터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멘토링 강좌를 지원하며, 멘토와 멘티사이의 능동적인 의견 수령이 가능한 독립형 e-mentoring시스템의 설계와 구축을 통한 그 기능과 장점을 확인하며, 실제 멘토링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C(Cook)P(Patisserie)C(Certificate)-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analysis of C(Cook)P(Patisserie)C(Certificate)-mentoring Program)

  • 오왕규;임현철;김준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9-1007
    • /
    • 2012
  •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model of CPC-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 mentoring theory and research environment analysis as well as to present the operation ca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lleges. Major research results should use the practical research methods utilizing the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CPC-mentoring program by comparing the before with the after of running the CPC-mentoring program of the research objects, comparison group (61 people) and experiment group (33 people). After running the CPC-mentoring program, whether there was a certification's acquisition or not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34.3% (21) and the experiment group 72.7% (24), (p<0.05) was shown. The goal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PC-mentoring program was to help one another in order to obtain certification. moreover, by engaging in mutually developing human relationship activities thru various methods, such as adaptation of college life, development of sociality, graduation, etc., goo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s well as further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was formed. CPC-mentoring program is neither doing only people that want nor being effective for people only that want. A successful matching will naturally lead to all success since mentoring is human relationships is the misunderstanding. The role of a mentoring coordinator(professor) for the operation of a successful CPC-mentoring program and for the application method of detailed CPC-mentoring program was set.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with the counseling guidance (shared and individual guidance) of students, which is the characterization direction of technical department of the college, it is expected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if utilized in a multilateral manner.

간호대학생의 초등학생 대상 심신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멘토링 경험 (Mentor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성재;방경숙;강경림;송민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nitor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suggest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mentoring program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online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7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as men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identify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mentoring and to explore their changes through mentoring.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tives for participating were 'inquisitiveness about children', 'interest in mentoring activities' and 'curiosity about research'. Recognition of mentor roles were 'actively involved guide', 'exemplary role model' and 'empathetic emotional supporter'. Changes through mentor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mprovement of interaction ability with children', 'understanding self and changes' and 'recognition of excellence in forest activities'. Conclusion: Nursing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mselves through natural interaction. Participation in mentoring has the potential to be a creative educational method of field learning as a form of service learning.

수학교사 연수에서 협력적 멘토링의 실제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ve mentoring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athematics teachers: A case of "PD program of multi-tiered teacher community")

  • 조형미;권오남;이지연;윤정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83-298
    • /
    • 2015
  •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of collaborative mentor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lti-tiered mathematics teacher community. We observed the procedures of mentoring, and contents of mentoring in PD program. For this purpose, we implemented PD program with participant unit composed of 3 or 4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total 25 teach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and 4 high schools. Also there were 1 mentor and 1 sub-mentor to support each school. Observed mentoring processes were all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not only were interviewed several times but also wrote reflection notes after meetings. While mentoring PD program was implemented, mentor and mentee had joint responsibility about lessons implemented by mentee. Furthermore It showed possibility of change of teacher learning culture, learning culture of community. It means that teacher w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more effectively within teacher community instead of individual. 4 reflection contents was founded in collaborative mentring; 1)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2)motivation and connection between previous lecture and present lecture 3)lack of mathematical contents in lesson 4)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협동학습을 위한 U-CoMM 시스템 (A U-CoMM System for Cooperative Learning)

  • 이병록;지홍일;신동화;조용환;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16-124
    • /
    • 2006
  •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의 지속된 관계로 정의된다. 지속적인 관여를 통해서 멘토는 멘티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 또는 초기 문제들을 바로잡는데 있어서 안내와 보조, 지원을 제공한다. 협동학습을 위한 멘토링은 고급 사고력, 협력적 능력, 사회성 발달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멘토와 멘티의 사이버 커뮤니티를 이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설계하기 위해서 U-CoMM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참여자에게 경험과 전문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캠퍼스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보다 협동학습에 있어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스캐폴딩과 e-Mentoring을 이용한 효율적인 u-Learning 교수학습 모형 설계 (An Efficient u-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a Scaffolding and an e-Mentoring)

  • 김상홍;주길홍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01-107
    • /
    • 2006
  •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의 교육환경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내용, 학습 시간 및 학습 순서를 선택하고 조직하는 유비쿼터스 학습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학습에서는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이나 조언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위해 유비쿼터스 학습에 스케폴딩과 멘토링의 개념을 접목시키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캐폴딩과 e-Mentoring을 활용한 u-Learning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u-Learning 환경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았다.

  • PDF

안광학 연구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개발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project learning model on the field ophthalmic optic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5-84
    • /
    • 2007
  • 안광학 분야의 교수 학습개선을 위한 모형은 통합교과 동료와 교수자 멘토링(PIM:Peer & Instructor Mentoring) 경진대회를 활용한 연구 프로젝트 교수 학습모형으로 개발하였다. 이 모형의 적용하여 얻은 결과은 다음과 같다. 교과목간의 유기적 연계성을 고려한 통합교과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 성취에 효과적이다. 동료 교수자 멘토링 시스템은 학습자의 연구 프로젝트 수행에 많은 도움을 제공한다. 협력학습 프로젝트 중심수업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과의 의사 소통능력에 효과적이다. 경진대회를 활용한 연구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목표지향에 추진력을 부가한다. 연구 프로젝트 수업은 관련 이론과 개념 정립 학습에 유익하다. 이처럼 본 모형 프로젝트 수업은 학과목과 축제를 병합한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UDL study model Implementation for e-mentoring system)

  • 이정훈;우진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99
    • /
    • 2011
  • 성인학습자는 일반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이 뛰어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이 높지만,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는 오랜 기간 학습의 중단과 과거 집합교육에 익숙하여 성인학습자의 장점인 자기조절학습이 쉽지 않아 학업저하 및 학업포기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과 UDL설계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을 적용한 e-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H 사이버대학교 신.편입 학습자를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 100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전략질문지(MSLQ)를 기반으로 총 36문항의 질문지로 구성된 학업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성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1학기의 성적, 재등록률, 학습시간을 추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성적)와 학업지속성(재등록률, 학습시간)이 높음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원격대학교 성인학습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e-러닝 교육 부적응 문제를 해결을 할 수 있는 방향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비 수학교사의 멘·튜터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Men-tutoring Activities of Pre-Service Math Teacher)

  • 허유진;고호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97-221
    • /
    • 2021
  • In this study, a men-tutoring model was applied to fou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that could cultivat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as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ntoring applied to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prerequisite learning,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rengthening mathematical strategies, and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and maintaining interest.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men-tutoring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learning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