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s Corpu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V+过1+了2"的语用分析

  • 순팅팅;이우철
    • 중국학논총
    • /
    • 제71호
    • /
    • pp.23-40
    • /
    • 2021
  • '过' and '了' are the key points, as well as difficult ones, in the academic study of Chinese grammar and language teaching. This article analyzes this language use by taking two sentence structures as example, namely 'Pao le.' and 'Pao guo le.'. As the semantic meanings of 'V+了2' and 'V+过1+了2' are very similar. Therefore, it can be confusing for non-native speakers to master this usage. This article attempts to sort out and analyze the usage environment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V+过1+了2' by employing the examples from the data of Corpus of the Chinese Linguistics Research Center of Peking University. By focusing on the usage environment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过' and it is desirable for teachers to combine semantics, syntax and pragmatics while explaining the grammar point, in ord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accurate information quickly and learn how to use it.

한국 대학생의 에세이에 나타난 영어 능력 수준과 통사적 복잡성 간의 관계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Syntactic Complex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9-444
    • /
    • 2021
  • 본 연구는 자동화된 통사 구문 분석 프로그램인 TAASSC를 활용하여 한국 대학생의 에세이에 나타난 영어능력 수준과 통사적 복잡성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 포함된 한국인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를 분석하였고, 구 복잡성 지표와 절 복잡성 지표가 영어 수준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구 복잡성 지표는 영어 능력 수준 변인의 8%, 절 복잡성 지표는 약 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 복잡성 지표가 구 복잡성 지표보다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 수준을 조금 더 잘 예측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구 복잡성 지표가 쓰기 능력 발전의 표준이 된다는 Biber 외(2011)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다.

TAALE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에 나타난 어휘의 정교화 특성 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Lexical Sophistication Features and English Proficienc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TAALES Program)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3-438
    • /
    • 2021
  • 본 연구는 자동화된 어휘 분석 프로그램인 TAALES를 활용하여 영어능력 수준과 어휘의 정교화 지표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 포함된 한국인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 600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수준별로 어휘의 정교화 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어휘의 정교화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 중. 하의 세 개의 집단에 따라 어휘의 정교화 지표의 평균벡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상. 중. 하의 세 집단은 어휘의 정교화 지표의 사용이 유의미하게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 집단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어휘의 정교화 지표는 내용어의 빈도, 내용어의 친숙도, 기능어의 어휘 결정 반응 평균 시간, 상위어 동사, 기능어의 워드 네이밍 반응시간, 내용어의 어휘 습득 연령으로 나타났다.

감정형용사 유의어 결합 연구 -[[감정형용사 + '-고'] + 감정형용사] 구성- (Synonym Emotional Adjectives in Coordination: Analyzing [Emotional Adjective + '-ko(and)'] + Emotional Adjective] Structures in Korean)

  • 박진아;정용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565-577
    • /
    • 2024
  • 본 논의는 [[감정형용사+-고]+감정형용사] 형식으로 감정형용사가 연결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한국어에서 감정을 표현할 때 두 개 이상의 감정형용사를 접속하여 표현하는 사례가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구성으로 어울려 사용하는 감정형용사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가 감정형용사의 개별 어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로 감정을 표현할 때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하거나, 풍부한 감정 표현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본 논의에서 보인 [[감정형용사+-고]+감정형용사] 용례 및 빈도가 한국어 감정 어휘 교수-학습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행 실현 양상과 교수학습 내용 연구 (A Study of the Realization of Speech Act and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Korean Speculative Expressions)

  • 정미진
    • 한국어학
    • /
    • 제76권
    • /
    • pp.187-2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ech act realization of speculative expressions and to present their teaching-learning contents. It is hard for Korean learners to use speculative expressions appropriately because there are various similar expressions and their meaning is distinctive in detail. This study describes speech act realizations of '-는 것 같다, -을까, -나 보다, -을걸'. All these forms have the meaning of speculations, so they are mainly used to present uncertain information or thoughts of speaker. But they show distinctive aspects. '-는 것 같다' is mainly used to present contents contrary to their counterparts' opinions or irritating for their counterparts. It is used as polite forms because it conveys meanings of uncertainty. Especially in these contexts, it performs the refusal speech acts. '-을까' h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in the complex forms such as '뭐랄까', '뭐라고 할까' and it performs request speech acts more frequently than '-는 것 같다'. Also it is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opinions contrary to their counterparts'. '-나 보다' expresses speaker's speculations based on hearer's conditions or his speech, so it is used to respond to hearer actively and express interests unlike other speculative expressions. '-을걸' isn't used to perform request, to express interests to hearer. However, it is mainly used when speaker has the contrary assumptions or expectations to hearer's. Based on the analyze, this study presents and grades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speculative expressions.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객관화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Use of Objectification Strategy in Academic Writing)

  • 김한샘;배미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49권
    • /
    • pp.95-126
    • /
    • 2017
  • 이 논문은 학습자의 학술적 텍스트와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를 비교해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의 객관화 전략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화 전략은 학문적 탐구의 결과를 보편성과 타당성을 갖추어 과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적용하는 담화 기제로서의 객관성을 갖추기 위해 필자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이 연구에서는 객관화 전략의 언어적 표지를 관련된 의도성, 정확성, 완화 등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객관화 표지가 관련 기제들을 나타내는 표지와 일부 겹치기는 하지만 개념은 변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객관화 표지는 크게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는 것과 연구 주체를 연구 결과와 분리하는 것, 연구 내용을 일반화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속 표현과 명사화 구문은 상태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고, 비인칭 표현, 피동 표현, 자기인용 등은 주장하는 바와 필자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며, 1인칭 대명사와 접미사 등을 통한 복수화는 연구 내용을 일반화 하는 데에 기여한다. 모어 화자 말뭉치와 비교하여 학습자 말뭉치를 분석한 결과 연구 결과의 상태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모어 화자에 비해 '-고 있다'는 더 많이 사용하는 반면, '-(으) ㄴ/는 것이다' 등의 문법적 연어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체의 분리를 위한 비인칭 표현의 사용이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본 연구'와 '본고'에만 집중된 반면 모어 화자는 '본고, 본 연구, 본 논문, 본장 등'과 '이 연구, 이 논문, 이 장 등'이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복수화를 통한 연구 내용의 일반화는 모어 화자 말뭉치에서 활발하게 구현되었다. 이 연구는 객관성 구현의 관점에서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현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명사구 발화에서 영어 능숙도에 따른 관사와 단음절 명사 모음 길이 비교 (Comparison of vowel lengths of articles and monosyllabic nouns in Korean EFL learners' noun phrase production in relation to their English proficiency)

  • 박우지;모란;이석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3-40
    • /
    • 2020
  • 본 연구는 기능어인 관사 및 1음절 내용어 명사로 구성된 명사구 내 두 단어의 모음 길이 비율과 영어 능숙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와 한국어 발음에 있어서 대표적 차이 중 하나는 발음상의 리듬이라는 특정적인 요소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특히 영어 발화시 내용어는 기능어 대비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진(prominent) 소리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영어에서 내용어의 경우 강세를 갖게 되나 기능어의 경우 그 강세가 미비하거나 강세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어의 내용어 단어 내 모음은 기능어 단어의 모음보다 길게 발음되며, 더 큰 소리로 발화되며, 더 높은 소리를 가지고 리듬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어 내 강세를 갖는 모음과 기능어 내 강세를 갖지 않는 모음의 길이 차이에 초점을 두고 유창성이 평가된 L2 영어 음성 코퍼스(Rated K-SEC) 중 한국인 초등학생이 발화한 879(원어민 발화 20개 포함)개의 문장 내 명사구 음성 파일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879개의 문장은 영어 유창성 평가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각각 재분류되었으며 이들 문장안에 들어 있는 명사구 내의 관사의 모음 길이와 명사의 모음 길이를 확인하고 그 비율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관사 모음 대비 명사 모음 길이 비율은 영어 능숙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Advanced(2.453)>Intermediate High(1.26)>Intermediate Low(1.034)>Novice(0.857)]. 또한 각 능숙도 그룹 간 내용어-기능어 간 모음 길이의 차이 및 그 비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한국인 화자의 경우 영어 유창성이 높아질수록 영어 단어 발화 시 명사구 내의 기능어인 관사 모음보다 내용어인 명사 모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게 발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인 화자의 외래어 발음 변이 양상과 음절 기반 외래어 자소-음소 변환 (Pronunciation Variation Patterns of Loanwords Produced by Korean and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Using Syllable-based Segmentation and Phonological Knowledge)

  • 류혁수;나민수;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139-149
    • /
    • 2015
  • This paper aims to analyze pronunciation variations of loanwords produced by Korean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onunciation modeling of loanwords in Korean by using syllable-based segmentation and phonological knowledge. The loanword text corpus used for our experiment consists of 14.5k words extracted from the frequently used words in set-top box, music, and point-of-interest (POI) domains. At first, pronunciations of loanwords in Korean are obtained by manual transcriptions, which are used as target pronunciations. The target pronunciations a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pronunciation using confusion matrices for analysis of pronunciation variation patterns of loanwords. Based on the confusion matrices, three salient pronunciation variations of loanwords are identified such as tensification of fricative [s] and derounding of rounded vowel [ɥi] and [$w{\varepsilon}$]. In addition, a syllable-based segmentation method considering phonological knowledge is proposed for loanword pronunciation modeling. Performance of the baseline and the proposed method is measured using phone error rate (PER)/word error rate (WER) and F-score at various context spa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baseline. We also observe that performance degrades when training and test sets come from different domains, which implies that loanword pronunciations are influenced by data domains. It is noteworthy that pronunciation modeling for loanwords is enhanced by reflecting phonological knowledge. The loanword pronunciation modeling in Korean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of application interface such as navigation systems and set-top boxes and for computer-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Ability of L2 LSTM Language Models to Learn the Filler-Gap Dependency

  • Kim, Eu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7-40
    • /
    • 2020
  • 본 논문은 장단기기억신경망(LSTM)이 영어를 배우면서 학습한 암묵적 통사 관계인 필러-갭 의존 관계를 조사하여 영어 문장 학습량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L2ers)의 문장 처리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단기기억신경망 언어모델(LSTM LM)을 구축하였다. 이 모델은 L2ers가 영어 학습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배울 수 있는 L2 코퍼스의 영어 문장들로 심층학습을 하였다. 다음으로, 이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필러-갭 의존 관계 구조를 위반한 영어 문장을 대상으로 의문사 상호작용 효과(wh-licensing interaction effect) 즉, 정보 이론의 정보량인 놀라움(surprisal)의 정도를 계산하여 문장 처리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L2ers 언어모델과 상응하는 원어민 언어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언어모델이 문장 처리에서 필러-갭 의존 관계에 내재된 추상적 구문 구조를 추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선형 혼합효과 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본 논문의 중심 연구 주제인 의존 관계 처리에 있어서 원어민 언어모델과 L2ers 언어모델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