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s' Competenc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and its Operating System for developing creative-convergent talent)

  • 김영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87-1993
    • /
    • 2016
  • 창의융합교육의 핵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실제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의교육과정에 사회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선정하고, 선정된 역량에 기반 하여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체계 및 운영체계를 개발 하였다. 창의 융합 형 인재를 '협업 형 창의융합인재, 브리꼴레르'로 정의하고, 이러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TX역량으로 규정하였다. T역량은 인문소양, 분야별 전문성으로 구성하였고, X역량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력, 자기주도 학습역량, 협력적 리더십으로 구성하였다. 비교과영역의 과정 개발을 통하여 학습자 역량 개발을 위한 과정을 적극 제공하고 관리를 체계화하여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의 참여정도 및 성과에 대하여 마일리지점수를 부여하는 운영시스템을 체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영역의 제한된 틀을 넘어 학습자의 다원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기반 비교과과정 및 그 운영체계의 시한적 모델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petency)

  • 간진숙;신미숙;권명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78-1491
    • /
    • 2016
  • This study h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at universiti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For the study, two procedures were performed. First, a flipped learning model for a project-based learning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s. The flipped learning model has three different steps: the pre-class, the in-class, and the post-class. In the pre-class, instructors provide mini-core courses using various technologies for learners outside the class. The in-class is the step to check whether learners prepare their learning or not. Also, in this step, the in-death learning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y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ould be performed. In the post-class, learners would be able to sustain the extended learning to develop the learning tasks and activities after flipped learning class. Through this step, the learners could be experienced integrated thinking and application, document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sharing and spread of their learning.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flipped learning model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was examin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model showed improvement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모델링 (University-level Flipped Classroom Learner Competency Modeling)

  • 김랑;송해덕
    • 교육공학연구
    • /
    • 제33권4호
    • /
    • pp.1001-1024
    • /
    • 2017
  • 최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으로 플립드 러닝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환경으로서 플립드 러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의식 수업에 익숙한 다수의 학습자들은 보다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플립드 러닝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에서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역량모델링을 통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우수한 학습자의 역량과 행동지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역량모델링은 1) 자료수집, 2) 역량도출 및 모형개발, 3) 역량모형 타당화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으로 운영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수 학습자들은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된 대학 강좌에서 형성 평가와 팀 프로젝트 평가에서 상위 10%이내의 성적을 받았으며 학습과정에서 우수한 수행으로 교수자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이었다. 이들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 후,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으로 '피드백 도움 요청', '성실한 학습관리', '지식 확장', '동료 상호작용', '학습지향성'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행동지표들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역량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강생 13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플립드 러닝의 수업 전과 수업 중의 두 단계에 따라 보다 중요시되는 역량들을 확인함으로써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에 따라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최종 역량모형을 제시하였다.

의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 김영전;임철일
    • 의학교육논단
    • /
    • 제13권1호
    • /
    • pp.13-23
    • /
    • 2011
  •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re topics of great interest to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t most stages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A competency-based approach in medical setting has been valued as a more effective way to strengthen learners' performa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e approached the topic in 3 gradual steps: the comprehension of background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etency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of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last step of analysis was performed in three dimensions: educational objectives, references to judg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In conclusion, we suggest 4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전공 영어강의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Effects of EMI)

  • 진성희;김학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0-19
    • /
    • 2013
  •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lectures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gain bo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nhanced English ability. Previous researches on effective EMI lecture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learning outcomes. Whereas the input variables of learning have been investigated as predicting variables of effects in EMI lectures,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for investigating process variables to yiel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s. The participants are 209 engineering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English motivation, English competency, and English confidence, a mediated variable is Cognitive eng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ers' English competency & English confidence ${\rightarrow}$ Cognitive engagement ${\rightarrow}$ Learning satisfaction ${\rightarrow}$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Especially, the structural model confirms that the effect of learners' English confid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is mediated by the level of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Further,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EMI lectures is discussed based on the observed research results.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만족 (Satisfaction of Learners of a College about Courses Based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오만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8-349
    • /
    • 2016
  • 특성화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1인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해 학습자의 만족은 리커트 5점 척도 기준, 평균 3.44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문제2인 NCS 기반 교과목과 일반 교과목과 비교해서 학습자의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CS 기반 교과목이 일반 교과목에 비해 학습자의 만족도가 더 높은 학과(전공)은 3개학과(전공)로 전체기준 13.0%를 차지하였다. 이는 NCS 기반 교과목 운영에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학습자의 태도 측면에서는 NCS 기반 교과목이 일반교과목에 비교해서 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D 대학의 경우, 23개 전체학과(전공) 중 14개 학과(전공)인 61.0%의 학습자가 일반 교과목에 비해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태도가 더 적극적이었다. 향후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해 학습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는 NCS 기반 교과목운영에 사전 준비와 빈틈없는 수업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NCS 기반 교과목의 평가는 과정평가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실행한 것들을 적시에 feedback를 해주어야 한다.

부산·울산지역 성인학습자들의 생애능력개발에 대한 인식 분석 (A Study on Adult Learners'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of Life Competencies in Busan and Ulsan)

  • 박종운;윤형근;강버들;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60-16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and analyze the realities and needs of life long education, the necessity and perception of life competencies and the difference of competencies on experiences of education to support life long education system for adult learners in Busan and Ulsa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34 adult learners living in Busan and Ul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life long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to adults and appreciated an educational institution being managed by government. Second, adult learners thought that basic literacy competency and basic work competency were important and late fifties perceived that professional job is in important. Third,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self directed learning and capacity of management are poor competencies. And they perceiv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 adult learners who has economical difficulty. Forth,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it was normal that 'professional job' and 'job transition abilities', 'women', 'the middle aged and old','the unemployed' and' low incomers' perceived that they have poor level.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i}^2$ test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 learner groups divided by their individual backgrou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 few competencies(p<.05, p<.01).

Existentialist Perspectives to Sci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8-434
    • /
    • 2013
  • In this commentary, I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Existentialism for sci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Existentialist thoughts and premises can be used to explore the human element in an educational system. Before emphasizing the pragmatic and technical aspects of teaching, we need to rethink why we teach and recognize our learners as unique beings in a continual process of becoming. By incorporating the existential perspective into curriculums and pedagogies of science education, we can help learners to make their existences and experiences meaningful.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 drew on relevant aspects of Existentialism and its implications on the views of the learner. In the second part, I examine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light of Existentialism. Existentialism aims, in part, to develop an educated person who possesses a clear sense of personal identity, a critical attitude, and the inclination to be a life-long learner, and so on.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developed from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third part, I explored pedagogical activities consistent with existentialist thinking the ultimate goal of which is to create authentic individuals who can take responsibility for being humans. In the conclusion, I discussed how existentialist ways of thinking and teaching call for th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here the teacher needs to integrate personal and professional knowledge as the situation demands.

예비교사의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협업전략 탐구 (Exploring of Collaborative Strategy for Pre-service Teacher's Block-based Programming Education)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01-412
    • /
    • 2020
  • 예비교사들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팀 기반의 프로그래밍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협업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프로그래밍 역량에 미치는 다양한 협업요인들을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협업 요인들을 크게 개인 역량과 팀 역량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프로그램 설계역량에는 학습자 개인역량 모든 요소와 자료공유 기술과 같은 협업에 필요한 기술인 팀 테크닉 및 팀 협력도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구현역량에는 개인의 학습이해도, 팀 협력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팀 테크닉이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이 프로그래밍 역량과 흥미도 및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비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협업 전략을 프로그래밍 과정에 따라 개인역량 및 팀 역량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소들을 연계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