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Centered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2초

유초연계의 중요성에 대한 초등 1학년 교사의 인식이 학습자중심 수업활동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이완정;김미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1-36
    • /
    • 2019
  • Objective: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eacher'thoughts about the transition from ECEC to primary school in relation to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thods: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data of 658 seven-year-olds from the 8th and 9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5 and 2016. The main analysis method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s: First, theachers' thoughts about the transition from ECEC to primary school was noteworthy. Second, the more concern a theacher' had about transition, the higher their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Third, teacher' concern about transition influence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ourth, a teacher's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mediated concern about children's transi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first year and the second year. Conclusion/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1st grade teachers' concern about the transition from ECEC to primary school has been found to be predictor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의 수학교육의 문제점 인식과 수학 모델 교과서 개발 (Teachers' Recognition of the Problems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Math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 이지윤;김선희;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499-514
    • /
    • 2016
  • 전통적인 교사 중심 교육으로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발현할 수 없으며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처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일면서,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를 교육의 주체로 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추진한 '2015년 학생 중심 수학교과서 개선 교사연구회'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교육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학교육의 문제점과 그들이 개발한 수학 모델 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APA(1997)의 '학습자 중심의 심리 원리' 틀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수학교육의 문제점으로 동기와 정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에서의 개인차, 발달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 과정의 본질, 지식의 구성 원리 측면이 고려되지 않았음을 순서대로 많이 지적하였다. 교사들이 개발한 수학 모델 교과서는 학습 과정의 본질, 지식의 구성, 동기와 정서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의 원리가 순서대로 가장 많이 반영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문제점 인식과 그에 따른 모델 교과서 개발 결과를 비교한 결과, 교사들에게 인식된 문제점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반영되었고, 인지와 메타인지 요인에서는 문제점보다 개선이 더 많이 이루어졌으나 동기와 정의적 요인에서는 개선이 문제점에 비해 미비한 편이었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서 개선을 통해 실현 가능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방안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 분석 사례 연구 - 초등학교 STEAM 수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a Learner-centered Class Analysis - Focus on STEAM Lesson in Elementary School -)

  • 정경화;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3호
    • /
    • pp.254-26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EAM lessons focused on the learner's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th-graders in Y city, Kyung-gi province. The lessons were based on a joint teaching plan for students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with three teachers from the same school. Each of the three classes that conducted the class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main center of observation by three student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at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are learning in STEAM lessons through a learner-centered class analysis. Some students arrived on their own by taking the initiative in class, others by consulting with a group of friends, and others needed active teacher guidance to learn. Second, Depending on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ome learning criteria were not reached. Some students need guidance at a glance level, and others need individually instructed or guided activities. Teachers need to keep an eye out for students and give them an appropriate level of guidance during class. In STEAM lessons, it appears that students of different levels and characteristic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ir own way, as well as the clear guidance of activity for their students.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습자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곱셈단원을 중심으로- (Achievement of Students who hav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r Multiplication Units)

  • 김진호;이소민;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5-151
    • /
    • 2010
  •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을 반영하여 개발한 곱셈단원 수업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수업을 초등학교 2학년 학습자에게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성취도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 곱셈단원을 학습한 집단과 초등 수학교과서를 토대로 교사 중심 수업으로 곱셈단원을 학습한 집단의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먼저, 추론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추론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업을 실시한 후, 2학년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곱셈지식을 측정한 재생검사는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학년 학생들이 배우지 않은 3학년 이상의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곱셈지식을 측정한 생성검사I과 생성검사II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초등수학교과서로 교사 중심 수업 보다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수업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습자의 지식이 전이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1년간 받은 1학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1st Graders' Achievements Who have Experienced Learning and Teaching Practices in Learner-Centered Classroom during First School Year)

  • 김진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42
    • /
    • 2007
  • 학습자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경험했을 때, 학습자는 수학 지식을 개념적으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념적으로 이해를 한 학습자는 자신들이 접하지 않았던 새로운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을 받은 1학년 학생들이 수학 지식을 개념적으로 이해했으면 이를 바탕으로 학습하지 않은 지식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이들에게 주어진 문제(7+52+186)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논리를 구성하였다. 이런 사실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 번째, 학습자가 1학년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이들은 수학지식을 추상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이들은 자신들이 구성한 지식을 새로운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세 번째, 결과적으로 이들은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 PDF

학습자중심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학습정보를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information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 임규연;은주희;정윤주;박하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50
    • /
    • 2018
  •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대시보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점검, 재구성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정을 지원한다. 이때 대시보드 상의 학습정보는 집약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시보드가 어떠한 핵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대시보드 사례 그리고 학습자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범주화한 결과, 학습준비, 학습참여,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4가지 정보유형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의 온라인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화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 초등학교 4학년 분수 영역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ath Lessons Based on Constructivism Ideas on Learners' Achievements - With Focus on The Area of Fractions for 4th Graders -)

  • 김태향;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67-84
    • /
    • 2010
  •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반영한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학력향상 중점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질통제집단 설계를 통한 준실험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집단은 학습한 내용에 대한 성취도 뿐만 아니라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학업성취도에서도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습 능력이 처지는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e-PBL 기반 정보통신교육 지도 방안 (A Teaching Method about e-PBL Ba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Cyber Home Study System)

  • 김현배;강정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91-302
    • /
    • 2009
  •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기능 습득을 중점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정보통신기술교육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학습자 중심의 변화된 교육환경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선의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컴퓨터 기능 습득만을 컴퓨터교육내용의 전부로 인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e-PBL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컴퓨터교과 지도방안을 설계한다. '울산 사이버가정학습'을 웹 환경으로 구축하고, 정보통신기술교육 교재 '우리 생활과 정보'의 각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

플립드러닝과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코딩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coding class based on flip-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method)

  • 이애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9-78
    • /
    • 2018
  • When it comes to the value of modern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perform the role of a help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role of a manager to facilitate smooth learning, and the role of a guide who has expert knowledge in the learning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here are, which require teachers to perform the roles of helper, manager, and guide, and conducted a pedagogical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to explore class models for self-directed learning. Subsequently, a class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to a coding class. In this study,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s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method were applied to constructing a coding class as a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 The feature of this class is that it enables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ners in a classroom instruction. After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actual class and analyzing it, the students taught using suggested method were more positively assessed in learning interest than those taught using a traditional method. And that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suggested method was more effective.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Course - Focused on Engineering Course Cases at C university -)

  • 이성혜;김은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s of instructors and experts on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 engineering courses which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course development project of C university from 2017-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structors and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pre-learning was not performed and checked effectively. In this regard, the instructors suggested the students' burden of pre-learn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flipped learning, and the experts suggested the lack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pre-learning. In addition,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courses were still instructor-centered. The instructors evaluated that they operated the instructor-led course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exper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t enough instruc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lecture room environment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earner- centered class were the evaluation opinions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In addition, the professor suggeste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of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 as the main opinion,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online learning system and classroom was not linked for pre-learning, classroom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flip learning based engineering course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