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ship Competency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6초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on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하재현;이현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7-3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38 nursing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n=70) received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for six week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3 to November 8,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2.0 for the 𝑥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munication competency (t=2.44, p=.01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t=1.85, p=.067), and self-leadership (t=1.78, p=.077)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i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 guide for nursing professors at the nursing education field whe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hat apply Habruta's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pply Habruta's teaching method to various nursing majors.

중소제조업의 서비스화 결정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화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rvitization Decision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SM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rvitization Competency)

  • 서지연;박광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49-61
    • /
    • 2019
  • As the technological gap amongst manufacturers decreases, the life cycle of products has shortened, and competition accelerat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umbent manufacturing companies face growth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business issues, manufacturing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changes in business models and innovations, especially in the direction of providing services where they can maintai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ir products. In such context,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managerial leadership, differentiation strategies, and products and services pricing as 'servitization factors', which can be driving forces for moving into a new era of growth for Korean SM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rvitization compet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xecutive leadership,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y have a direct effect on service sales. Second, the process competency, partnership competency, and ICT competency, which are presented as the service competence of SMEs,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service sales in managerial leadership, differentiation strategy, product and services pricing. It also emphasized the role of the public policy such as helping to foster SMEs as key partners in the expansion of social facilities and establishing platforms through ICT and data utilization for the convergence of manufacturing services.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using Peer Evaluation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51-361
    • /
    • 2019
  • 본 연구는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실습교육평가방법이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 수강자 4학년 학생으로 총 32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한 학기동안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의 평균평점은 3.77(${\pm}.62$)점, 학습태도 3.17(${\pm}.47$)점, 비판적 사고는 3.44(${\pm}.41$)점, 셀프리더십은 3.60(${\pm}.49$)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성별, 간호학 전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실습만족도, 동료평가 전 사전학습여부, 동료평가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학습태도(r=.295, p<.001)와, 비판적사고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84, p<.001), 학습태도(r=.623, p<.001)와, 셀프리더십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53, p<.001), 학습태도(r=.529, p<.001), 비판적사고(r=.690, p<.001)와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비판적사고, 셀프리더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을 고려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 및 의사소통 능력이 프리셉터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 강윤미;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9-289
    • /
    • 2018
  • Purpose: The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7, 2017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127 preceptors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Korea. SPSS/Win 23.0 was used to analyz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s was $3.94{\pm}0.35$ (range 1-5); self-efficacy was $3.88{\pm}0.4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54{\pm}0.36$; self-leadership was $3.66{\pm}0.39$;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3.71{\pm}0.3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61,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69, p<.001), self-leadership (r=.59,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r=.58, p<.001).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s were affected b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a}=.54$, p<.001),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y (${\beta}=.24$, p<.001). The explanatory power by the factors was 51% (F=63.6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eceptors.

TOEIC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Ego-Resilience, Nunchi and Self-Leadership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mong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29-238
    • /
    • 2019
  • 본 연구는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과 의사소통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지역 소재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 참여하는 대학생 280명으로 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은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아질수록, 눈치가 높아질수록, 셀프리더쉽 이 높아질수록 의사소통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눈치 및 셀프리더쉽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토익을 학습하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 교육지원 및 중재 노력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장의 리더십 역량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Levels of Competency Components of Public Library Directors)

  • 오지은;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3-281
    • /
    • 2016
  • 본 연구는 연구자가 기 개발한 성공적인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한 공공도서관장의 리더십 역량모델을 이용하여 공공도서관장의 리더십 역량요소의 현재 수준을 측정하고, 다양한 변인이 각 리더십 역량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 가설 검증을 위한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등의 통계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내 공공도서관장 리더십 역량모델을 구성하는 19개 요소에 대한 현재의 수준을 측정하여 제시한 후 일곱 가지 변인이 리더십 역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이는 향후 공공도서관장 리더십 역량개발 및 강화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박현숙;한지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695-706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두 개의 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의 4년제 간호학과 3, 4학년에 재학 중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 성향, 임상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실습학기 (${\beta}=.223$, t=3.534, p=.001), 전공만족 (${\beta}=.257$, t=3.962, p <.001), 비판적 사고성향 (${\beta}=.217$, t=3.118, p=.002), 셀프리더십(${\beta}=.169$, t=2.260, p=.025)이었으며 30.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F=19.145, p <.001).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건강상태 (${\beta}=-.133$, t=-1.937, p=.054), 비판적 사고성향 (${\beta}=.316$, t=2.551, p=.012), 셀프리더십 (${\beta}=.323$, t=4.181, p <.001)이었으며 23.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10.948, p <.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셀프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Leadership and Learning Competency)

  • 간진숙;신미숙;권명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78-1491
    • /
    • 2016
  • This study h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project-based flipped learning model at universiti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For the study, two procedures were performed. First, a flipped learning model for a project-based learning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s. The flipped learning model has three different steps: the pre-class, the in-class, and the post-class. In the pre-class, instructors provide mini-core courses using various technologies for learners outside the class. The in-class is the step to check whether learners prepare their learning or not. Also, in this step, the in-death learning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y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ould be performed. In the post-class, learners would be able to sustain the extended learning to develop the learning tasks and activities after flipped learning class. Through this step, the learners could be experienced integrated thinking and application, document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sharing and spread of their learning.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flipped learning model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was examin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lipped learning model showed improvement on the self-directio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arning competency.

중소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Clinical Competency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최범규;정희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67-373
    • /
    • 2023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조직몰입 및 간호근무환경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요인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및 충청북도 지역의 3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3곳에서 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사 123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4월동안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조직몰입과 셀프리더십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15.4%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몰입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the Shared Leadership)

  • 이명희;정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43-257
    • /
    • 2021
  •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팀제를 운영하는 조직의 구성원 3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과업 및 조직화는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 과업 및 조직화 모두 공유 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실리테이션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현대 조직에서 요구하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