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24초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도심의 열변화 탐지 (Detection of Heat Change in Urban Center Using Landsat Imagery)

  • 강준묵;가명석;이성순;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7-206
    • /
    • 2010
  • 최근 선진국들은 도시의 열섬현상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심의 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의 피복변화량을 추출하고 이 변화량이 도심의 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85년 4월, 1994년 8월, 2001년 5월, 2009년 5월에 해당하는 4개의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대전광역시의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열변화를 분석하였다. 도심의 지표면 온도를 추출하기 위해 Landsat TM 열적외선 영역센서인 Band 6의 분광밝기정도를 이용하여 표면온도분포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화로 인한 열분포의 변화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심지의 면적이 최대 23.59% 상승한 반면 산림지역은 최대 27.91% 감소하였고, 도시화로 인해 도심의 지표온도가 주변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경우 산림지역에 비해 약 $2.4^{\circ}C{\sim}5.7^{\circ}C$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중시기 11월 Landsat 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일대 임상의 변화관찰 및 상록수 영급의 구분 (Observation of Forest Change and Estimation of Tree Ages of the Conifer over Kangwon-do by using Multi-Temporal, November-Landsat Images)

  • 전경미;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0-213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강원도 일대 임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상록수의 영급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1980년대에서 현재까지 축적된 Landsat-5와 Landsat-7영상 중에서, 대부분 지역에 활잡목 및 활엽수가 낙엽이 지고 눈이 아직 쌓이지 않을 시기인 11월에 촬영된 영상만을 이용하였다. 각 영상에서 양지바른 상록수, 활엽수, 그늘진 지역, 도시 및 바다 등을 클래스로 지정하여 감돌분류를 하였다. 분류 결과에서 양지바른 상록수만 추출하여 5개의 영상을 이진 분류체계로 조합한 후 임상의 시기적 변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강원대 연습림의 조림 기록 및 현황도와 상당히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Path 115, Row 34에 해당하는 강원도 일대로 연구지역을 확대하였다. 향후 Kompsat-2를 비롯한 고해상도 11월 영상이 지속적으로 촬영된다면,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이진 분류체계 방법을 통하여 산림변화의 모니터링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Landsat 위성의 센서 차이에 의한 정규식생분포지수 비교 (Comparison of Normalization Difference Vegetation Index due to difference in Landsat satellite sensor)

  • 곽재환;방건준;이진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14
  •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의 변화유무와 특성파악이 중요하다. 특히, 인공위성의 근적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을 이용한 정규식생분포지수는 식생의 활력도를 파악하고 변화유무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발사된 Landsat 8 OLI의 경우 정규식생분포지수에 영향을 주는 근적외선 밴드의 파장대역이 기존의 TM/ETM+ 위성의 근적외선 밴드의 파장대역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이러한 파장대역 변화에 의한 정규식생분포지수의 차이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연구한 사례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Landsat 8 OLI 위성영상과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식생이 활발한 여름철(9월)과 그렇지 않은 겨울철(1월)의 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식생, 도심지, 도로, 농경지, 나지의 5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정규식생분포지수를 비교해보고 상관관계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Landsat-8 위성영상을 이용한 '16년 서울시 폭염 분석 (Analysis on 2016 Extreme Heat using Landsat-8 Satellite Imagery in Seoul)

  • 이수봉;김용민;김진영;박영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362-36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이 가진 열적외 밴드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16년 지표면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16년 7월과 8월에 발생한 폭염에 의해 온열질환 환자 2,095명과 사망자 17명을 발생시켰다.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동일시기의 한반도 전체 지역 파악에는 한계가 있지만 특정 지역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해상도 30m급인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서울시의 '16년 대비 '94년과 '14년의 지표면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4년에 비해 $1.1^{\circ}C$가 낮고, '14년에 비해 $3.9^{\circ}C$ 높음으로 확인되었다.

  • PDF

효율적인 LANDSAT영상의 주기적 간섭잡음 검출 및 제거

  • 권호열;서주하;조철희;박종철;양인태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회 개요집
    • /
    • pp.42-46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LANDSAT 위성영상의 주기적 간섭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에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성영상의 잡음을 가산적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잡음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잡음주파수를 검출하고 이에 따른 잡음제거 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구안하였다. 본 제안된 방법은 반복설계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방법에 비해 보다 많은 씬호성믄을 보존되는 한편 잡음 성분은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LANDSAT영상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LANDSAT MSS 영상에 의한 자연 소택지의 식생분류 (Vegetation Classification in Natural Swamp Area Using LANDSAT MSS)

  • 지광훈;강필종;조명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1
    • /
    • 1986
  • The study was emphasized on the applicability of Landsat data for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touch as small natural swamp areas Yujeon natural swamp in Haman-gun through image processing system.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which was applied is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classified types on the Landsat image are water, nelumbo, grass, agricultural field and conifer. The computer processed classification was compared the existed data for evaluating the result,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on the exact comparison between them because of discordance of the temporal resolution. The result, anyhow, is quite remarkable that Landsat MSS data can be used for the quantitative estimates of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in such small area.

다중시기에 촬영된 Landsat 영상과 LiDAR 자료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의 토지 피복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Land Cover Changes in Nakdong River Basin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ries and LiDAR Data)

  • 정윤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2-242
    • /
    • 2015
  • Monitoring the land cover changes in Nakdong River Basins using the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datasets is necessary for preserving properties in the river basins and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river basins after the 4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This research aims to monitor the land cover changes using the multi-temporal Landsat imageries and the airborne topographic LiDAR data. Firstly, the river basin boundaries are determined by using the LiDAR data, and the multiple river basin imageries are generated from the multi-temporal Landsat imageries by using the river basin boundaries. Next the classification method is employed to identify the multiple land covers in the generated river basin imageries. Finally, monitoring the land cover changes is implement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same clusters in the multi-temporal river basin imageries.

  • PDF

Delineation Of Coastal Features And Relative Turbidity Levels In The Mid West Sea Of Korea Using Landsat Imagery

  • Youn, Oong Koo;Lee, Byung Don;Kwak, Hi-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7
    • /
    • 1976
  • Multispectral scanner data collected by LANDSAT-1 over the mid West Sea of Kore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for delineation of coastal features and turbidity distribution patterns during different portions of the tidal cycle. Imagery from two successful LANDSAT-1 overpasses of the area in October 1972 and in October 1973 had been used to prepare schematic maps of coastal features and turbidity distributions. Color composite imagery of LANDSAT MSS 4, 5 and 7 gave the best representation of shorelines, coastlines and tidal flats. MSS 5 imagery was most effective in differentiating relative turbidity levels through density slicing techniques. Referring to the tidal power development of Garolim Bay, the basin area measurements assuming dyke construction at the bay entrance,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coastal reature maps comiled from LANDSAT imagery, and thos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existing data. General areal patterns of surface turbidity distribution in the study area revealed close similarity with bathymetry of the area. Synoptic circulation patterns were also well discriminated from the LANDSAT imagery using the suspended sediment as a tracer.

  • PDF

Spectral Reflectance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by using Spectroradiometer Experiments and Landsat Data

  • Kim, Bum-Jun;Lee, Sungsoo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1-422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pectral reflectance of intertidal zone and its chang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We sampled sand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and measured its spectral reflectance by using a spectroradiometer under various water contents, compositions and granularity. We also simulated the reflectance of Landsat 7 ETM+ and compared it with an actual satellite data. Five locations were selected for sampling from the coastline towards the ocean. Grain size diminished stepwise from the coastline to ocean direction, while spectral reflectance differed with wavelength. Water contents lowered the overall reflectance especially at the water absorption bands. Spectral reflectance data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simulated one by using Landsat 7 ETM+ spectral reflectance function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Landsat 7 ETM+ images. It showed the decrease of the spectral reflectance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from seashore towards the ocean. It is shown that Landsat 7 ETM+ imagery can be efficient to extract moisture contents in the tidal flat while compositional analysis needs satellite sensors with much higher spectral resolution.

시계열 Landsat영상을 이용한 대청댐 유역의 수계변화 모니터링 (Hydrosphere Change Monitoring of the Daecheong-Dam Basin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 엄대용;박준규;이진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2-93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유역의 수계 변화를 GIS 기반에서 정량적 정성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시기의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대청댐 건설이후부터 근래까지 유역의 수계 변화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1년, 1987년, 1993년, 2002년에 해당하는 각각의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하여 수계, 식생, 도로 및 인공지형물의 클래스를 지정하고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유역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감독분류의 결과로부터 4시기 위성영상 중 수계만을 추출하여 중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청댐 유역의 수계에 대한 시계열적 변화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