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Baikal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41초

Bacterial Aggregates Formation After Addition of Glucose in Lake Baikal Water

  • Spiglazov Lev P.;Drucker Valentin V.;Ahn Tae 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57-360
    • /
    • 2004
  • For determining the process of bacterial aggregation, glucose was added into water from Lake Baikal which had been stored for seven months. In the presence of a higher concentration of glucose, the abun­dance of single bacteria and aggregates were higher, but the biovolumes of both bacteria were similar. Theses results mean that both free-living and aggregated bacteria have similar maximum sizes and that aggregates are forming with available organic materials. With available organic materials, the biovol­ume of aggregates becomes larger.

바이칼 호 Sponge에 서식하는 세균 군집 구조의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the Bacteria in Sponges of Lake Baikal by FISH Method)

  • 서은영;김미리;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18
    • /
    • 2007
  •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있는2속(genus Baikalospongia와 Lubomirskia)(5.13)의 해면 내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군집 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방법을 적용하였다. Baikalospongia와 Lubomirskia 속에 속하는 해면에 서식하는 총세균수는 각각 $7.2{\times}10^{7}-4.2{\times}10^{8}\;cells/ml$$1.2{\times}10^{8}-1.6{\times}10^{8}\;cells/ml$였다. 인근 호숫물의 총세균수는 $2.3{\times}7.7{\times}10^{5}\;cells/ml$ 범위로 해면에 서식하는 총세균수가 약 $10^{3}-10^{4}$배 더 높았다. 총세균수에 대한 세균군집 구조의 비율은 ${\alpha}-,\;{\beta}-,\;{\gamma}-Proteobacteria\;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외 다른 세균군이 genus Baikalospongia는 42.0-60.3%, Lubomirskia에서는 40.7-51.9%로, 호수물에서는 22.6-46.3%와 같이 나타났다. 이는 일반 담수에서 특정 군집이 우점하는 경향과는 다른 것으로써, 바이칼의 호숫물과 해면에 있는 세균들은 독특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Bacterial Community of Southern Lake Baikal in Winter

  • Ahn, Tae-Seok;Hong, Sung-Hee;Kim, Dong-Joo;Suck, Jung-Hyun;Valentin V. Drucker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10-13
    • /
    • 1999
  • The bacterial abundance, proportion of respiring bacteria, and bacterial community of southern Lake Baikal were analyzed at 1 m and 400m depths during winter. The total bacterial numbers were 5.1${\times}$105 cells ml-1 at 1 m and 2.5${\times}$105 cells ml-1 at 400 m depth, which are about half and quarter of the numbers of other lakes. The proportion of respiring bacteria was as low as 2.5% at 1 m and 1.4% at 400 m depth. Considering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which need to be degraded and low proportion of respiring bacteria, the bacteria could be assumed to have high activities. The EUB/DAPI ratios were 77 and 89% at 1 m and 400 m depths, respectively. Of the bacterial community, the other group was dominant at both depths, and gamma group of protebacteria followed next. But the beta group of 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s occupied very small proportions.

  • PDF

바이칼 호수에 서식하는 담수 스폰지 내 공생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Fresh Sponges in Lake Baikal)

  • 조안나;김주영;안태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39-47
    • /
    • 2014
  •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2종의 스폰지 체내 및 주변 물로부터 92개의 저온성 균주를 분리하고 각 균주들의 기질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섬유소와 지방에 대한 분해 활성도를 갖는 균주는 38.0, 34.8%로 비교적 적었으나 전분과 단백질 분해 활성도를 갖는 균주는 78.3, 57.6%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을 염기서열의 유사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Genomic Fingerprinting을 실시한 후 31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Baikalospongia sp.에서 분리한 13균주는 모두 Pseudomonas속으로 확인된 반면, Lubomirskia sp.에서 분리한 14균주는 Pseudomonas ssp., Buttiauxella agrestis, Pseudomonas fluorescens, Yersinia ruckeri, Bacillus ssp., Paenibacillus ssp.,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us simplex, Brevibacterium ssp., Acinetobacter lwoffii로 다양하게 동정되었다. 그러나 총 31개 균주 중 18개가 Pseudomonas속으로 동정된 것은 타감작용에 의한 다른 세균 성장의 방해 때문으로 평가되며, 이러한 일반적인 배양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폰지의 서식처와 세균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칼의 담수 스폰지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Actinomyces Isolated from Freshwater Sponges in Lake Baikal)

  • 정유정;정요찬;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0-136
    • /
    • 2011
  • 러시아의 바이칼에 존재하는 고유종인 Baikalospongia과 Lubomirskia의 sponge로부터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방선균은 16S rRNA gene 분석 결과, Streptomyces griseoplanus, S. halstedii, S. violascens, S. flavovirens, S. microflavus에 각각 속하였다. 이 방선균들은 온도, 탄소이용, enzyme 활성, fatty acid 조성 등의 실험 결과에서, 각각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냈었다. 분리된 방선균의 배양온도는 30-37, pH는 8-9, 염분농도는 0-1.5에서 가장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cellular fatty acid는 anteiso-$C_{15:0}$, iso-$C_{15:0}$ and iso-$C_{16:0}$로 나타났다. 특히 ATS-BA-19는 DNase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고, ATS-BA-16는 cellulase와 protease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두개의 분리된 방선균에서 그람음성 균주인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생장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칼호에서 분리한 빈영양성 세균과 저온성 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Sole-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of Oligotroph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Lake Baikal.)

  • 이건형;배명숙;박석환;송홍규;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8-253
    • /
    • 2004
  • 2000년 9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바이칼호에서 분리된 빈영양성 세균 168균주와 저온성 세균 132균주를 대상으로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탄소원의 이용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빈영양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86% (56균주)와 oxidase음성 (GN-ENT그룹)의 89% (92균주),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음성 (GN-ENT 그룹)의 82% (85균주)는 다앙한 탄소원 중에서 $\alpha$-D-glucose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93% (26 균주)는 bromosuccinic acid를 이용하였다. $\alpha$-D-lactose는 빈영양성 GN-ENT 그룹의 일부만이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균주들은 전혀 이용하지 못하였다.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동정된 균들을 속별로 살펴보면, Pseudomonas속이 49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Salmonella 속, Serratia속, Buttiauxella 속, Pantoea 속, Yersinia 속, Brevundimonas 속, Hydrogenophaga 속, Photorhabdus 속, Sphingomonas 속, Xenorhabdus 속이 동정되었다.

Bio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Lake Baikal

  • AHN TAE-SEOK;LEE GEON-HYOUNG;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1135-1139
    • /
    • 2005
  • Psychrotrophic phenanthrene-degrading bacteria were identified in th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Lake Baikal, Russia. Among 70 phenanthrene-degrading isolates, the seven that had the highest phenanthrene-degradation rates were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ing. Isolate P25, identified as the Gram-positive rod-shaped organism Rhodococcus erythropolis, had the highest growth and degradation rate at $15^{\circ}C$. It could remove $26.0\%$ of 100 mg $1^{-1}$ phenanthrene in 20 days at $15^{\circ}C$, and degradation was less at $5^{\circ}C\;and\;25^{\circ}C$. The addition of surfactants to enhance degradation was tested. Brij 30 and Triton X-100 inhibited degradation at all surfactant concentrations tested, but Tween 80 stimulated phenanthrene degradation, especially at low concentrations. When $20{\times}$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Tween 80 was added, $38.0\%$ of 100 mg $1^{-1}$ phenanthrene was degraded in 12 days at $15^{\circ}C$. This psychrotrophic phenanthrene-degrading bacterium is a candidate for use in bioremediation of polycyclic hydrocarbon contamination in low temperature environments.